-
-
화성 아이, 지구 입양기
데이비드 제롤드 지음, 정소연 옮김 / 황금가지 / 2008년 9월
평점 :
품절
SF소설작가 데이비드 제롤드는 아이를 입양하기 위해 노력하나 자신이 동성애자라는 이유가 걸림돌이 되지 않을까 걱정을 한다.입양 박람회에 갔다가 우연히 여덟살 데니스의 사진을 발견한 데이비드는 그 아이가 바로 내 아이라는 직감이 들어 입양을 신청한다.하지만 입양 관계자들은 데니스가 알콜 중독자 부모에게서 태어난데다 유아시기에 시설에서 학대를 받아 성격이 난폭해졌다면서 데이비드가 감당하긴 힘들 거라고 난색을 표한다.비관적인 견해들과 그 견해들을 뒷바침해주고 있는 다양한 서류들속에서도 희망을 잃지 않던 데이비드는 결국 데니스를 입양하게 된다.자신이 화성인이며 언젠가는 이 지구를 떠날 것이라고 말하는 데니스,데이비드는 그 화성아이의 아빠를 한다는 것이 생각만큼 쉽지 않다는 것을 알게 된다.데니스의 끊임없는 일탈과 비행적인 행동은 데이비드의 인내심을 바닥나게 하고,그는 애초에 왜 자신이 입양을 하려 했던 것인가를 자문하게 되는데...
부모가 되어 본 적이 없는 나는 늘 의문이 드는 것이 하나 있었다.힘들다고 부모 되는걸 그만둘 수 있을까 하는...내가 싫으면 학교나 직장,애인,기타등등을 때려 치울 수는 있지만,과연 부모 되는 것도 그럴 수 있는 것일까?여기 이 책의 작가 데이비드 역시 그런 생각을 한다.자신이 낳지 않는 입양아,생각치 않는 일들을 벌이고 다니는 데니스의 행동에 질려 버린 데이비드는 그를 파양해야 하나 고민을 하게 된다.그 고비를 넘게 해준 것이 거창한 책임감이나 의무감이 아니란 점이 바로 이 책의 놀라운 점일 것이다.그것은 바로 데이비드 자신이 그동안 받은 사랑이었다.곰곰히 자신이 그동안 받은 사랑들을 되짚어본 데이비드는 자신이 받은 만큼 돌려 줘야 한다는데 생각이 미친다.그런 면에서 보면 사랑은 전염되는 것이고 학습되는 것일지도 모르겠다.언제나 난 너의 아빠라면서 기꺼이 아들을 품어 주리라 다짐을 한 데이비드의 진심을 알게 된 데니스는 그 이후 자신의 자리를 찾고 지구인이 되기 위해 열심히 노력했다고 한다.흐믓한 결론이다.두 사람이 구원되는 과정들이 유머러스하게 하지만 과장되지 않는 진실로 그려낸 소설이니 그럴 만도 하다.감동적이기도 하지만, 한때 자신을 화성인이나 외계인이라고 생각했던 사람들에게는 추억을 되살려 보는 것도 괜찮지 않을까 하여 추천작으로 넣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