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극락 타이 생활기 - 쾌락의 도가니에서 살다
다카노 히데유키 지음, 강병혁 옮김 / 시공사 / 2008년 6월
평점 :
품절
표지가 정말로 촌스럽다.아니 정확히는 무섭다.다카노 히데유키에게 관심이 없었더라면 거들떠 보지 않았을 만한 표지다.일부러 이렇게 만든 것일까 의문이 들었지만 곧 영화 <주노>에서 남자 주인공이 했던 대사가 떠오른다."나 이거 엄청 신경 쓴거야"...정확치는 않지만 이 비슷했던 것 같다.그래서 표지에 대한 불만은 접어 두고 내용에 신경 쓰기로 했다.다행히 표지의 심난함과는 상관없이 내용은 괜찮았다.하긴 내용이라도 괜찮아야지,그렇지 않으면 이런 표지로는 살아남기 심히 어렵지 않겠나 싶다.
예상했던 것보다 빠르게 출간된 다카노 히데유키의 신작이다.물론 일본에서야 오래전에 나왔겠지만,우리나라에선 처음 나온 것이니 신작이라고 해도 무방하겠지.히데유키의 타이 생활 체험기인데,재밌고,날카로운데다,재치 있고,나름 통찰력도 있어 역시 나를 실망시키지 않았다.특유의 생명력과 친화력,거기에 세계인으로 살아가기에 끄떡없는 균형감각으로 무장한 저자가 약간은 엽기적이고 특이한 타이의 진면목을 폭로하고 있었는데, 이젠 지옥에 떨어졌다해도 뭔가 재밌는 이야기를 들고 살아 돌아오지 않을까 싶을 정도로 작가에게 믿음이 간다.
그가 타이로 가게 된 이유는 지극히 단순했다.타이 대학에서 일본어 강사를 구하고 있었는데,월급이 너무 적다 보니 지원자가 없어서 자원을 한 그가 뽑혔다는 것,마침 그도 일본만 아니면 어디라도 좋았다고 하니 우연을 가장한 필연이었을지 모르겠다.그렇게 해서 시작된 타이와의 인연으로 책 하나를 만들었으니 뭐 딱히 손해나는 인연은 아니었지 싶다. 타국에서 살아가는 생소함과 이질감에 외국인들이 이해하기 힘든 현지인들의 특이성들을 어느정도는 객관적인 시각으로 유머러스하게 까발려줘서 흥미로웠다.신기했던 건 일본인과 우린 엄청 다른 사람들인줄 알았는데 타이를 바라보는 시선에서는 별로 시각차가 없다는 점이었다.너무 쉽게 공감이 된다.외국인이라는 공통 분모때문인지,아님 일본의 평균적인 사람축에선 많이 벗어난 듯 보이는 작가의 넓은 시야 때문인지 모르겠지만서도...우리나라 사람이 쓴 것처럼 무리없이 친숙했다.
이 책에는 그의 시선에 잡힌 타이의 여러 모습이 실려 있는데,우리가 갖고 있는 편견과 거리가 있는 타이의 실제 모습을 다룬 것이 많았다.엽기적이고,애국심이 없으며,프로 정신도 없다지만,불합리하게 돌아가는 시국 정세와 불황에 유연하게 대처해 나갈 줄 아는,거대한 메콩강의 큼지막한 느긋함을 가졌다는 타이 사람들...그들이 우리와 다른 면들을 색안경을 쓰고 보지 않도록 절묘하게 쓴 점이 마음에 든다.표지에 "카오산로드에서는 절대 만날 수 없는 가면을 벗은 태국의 알몸이 있다"고 쓰여져 있는데,태국의 알몸이란 표현은 좀 그렇지만서도 카오산로드에서 만날 수 없는 태국이라는 말엔 수긍이 된다.다른 카오산로드를 다룬 책을 보면서 왠지 식상한 공익 광고를 보는듯 찝찝했었는데,이 책에선 전혀 그런게 없었으니까.히데유키가 착함 만을 보여주고 강요하는 책을 쓰진 않는다는건 얼마나 다행인지,속 시원한 청량제를 마신 듯한 기분이었다.그의 다른 책도 번역되고 있다는데 벌써부터 기대된다.
책속에서 밑줄 그은 말.
자민족에 대해 이야기 하는 것을 거의 취미로 삼고,"일본인론"을 다룬 책이 언제나 베스트셀러 상위에 오르는 ,자의식의 왕국에 사는 인간에게는 거의 불가사의하게 느껴지는 일이었다.--타이인에게 애국심이나 민족애가 없다는것을 발견 한 뒤 일본과 비교해서 그가 하던 말.14
타이의 담배갑에 쓰여져 있다는 다양한 경고문중에서 발췌--
*담배는 성기능 장애를 일으킵니다.-->남자에게 죽음보다 두렵다
*담배를 피우면 빨리 늙습니다.-->여자에게는죽음보다 두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