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친구
쟈핑와 지음, 김윤진 옮김 / 이레 / 2008년 4월
평점 :
절판
친구라는 제목 아래 쓰여진 朋友 라는 한자가 정겹게 들린다.고등학교 졸업한 뒤로 거의 뇌리에서 잊혀진 단어였는데...친구라는 의미는 똑같음에도 한자 朋友 가 더 깊이 있게 다가오는 것은 왜일까?
누구나 인생을 홀로 살아갈 수는 없다.그래서 우리에겐 친구가 필요하다.영혼이 고독한 사람일수록 더 많은 친구가 필요하다고 이 책의 저자는 말하지만,그런 거창한 표현이 아니라도 친구가 필요하다는 것쯤은 누구나 다 경험으로 알고 있을 것이다.친구라는 타이틀로 메뉴얼을 만든 사람들이 중국인이여서 그런가는 모르겠지만, --친구 사이에는 신의가 있어야 한다고 말한 사람도, 친구가 가끔 찾아오면 그 또한 반갑지 아니한가...라고 말한 사람도 모두 중국 사람이다.--인생에 친구가 차지하는 비중을 더 쳐주는 사람들이 중국인들이 아닐까 싶다.
이 책은 중국의 대표적 작가라는 쟈핑와가 들려주는 자신의 친구들 이야기다.간간히 자신의 가족 이야기도 섞여 있긴 하지만, 가족도 기본적으로 인생의 동반자들이란 면에서 보면 친구라는 제목하에 넣는다고 해도 무리는 아닐 것이다.
친구의 이야기만으로 어떻게 책 하나가 나올까 싶었지만 역시 대륙작가답게 책 하나가 넉근하게 채워 지는것 보니 놀라웠다. 만약 내가 친구를 소재로 글을 쓴다면 몇 장이나 되려나 속으로 세어보니 머리 속이 하얘진다.단박에 그가 얼마나 대단한지 짐작이 되고도 남는다.그가 소개하던 친구들은 상당히 다양한 층이었지만,기본적으로는 비슷했다.예술을 이해하고,개성이 넘치며, 서예나 그림,문학에 종사하는 사람들이거나, 그도 아니면 한가지 일에 열정을 가지고 매진하는 사람들이었는데,그들과 우정을 나누면서 풍요로운 인생을 만드는 작가를 보자니 부러웠다.중국엔 인구 수가 많아서 그런가 작가 주변엔 어쩜 그렇게도 강한 개성의 특이한 친구들이 많던지... 어떻게 한 사람 주변에 이렇게 좋은 사람들이 많을까? 조금은 오바가 아닐까 라는 삐딱한 생각은 책을 읽어 나가 면서 소리없이 사라졌다.그렇다기 보다는 이 작가의 인품이 열쇠겠다는 생각이 들어서다. 쟈핑와는 좋은 서화를 알아보는 탁월한 안목을 지닌 사람답게 인간을 대하는 넓은 이해력과 아량을 지닌 사람이었는데,그러다 보니 좋은 사람이 꾀는 것은 당연 지사였다.결국 사람을 담는 것도 그 사람의 그릇의 크기에 달린 것이지 않는가 새삼 깨닫게 된다.
담백한 수필집이었다.욕심 없는 필체에 과거의 향수를 불러 일으키는 잊혀진 덕목들이 곳곳에 박혀 있는...물론 진중함보다는 가벼움과 재치를 더 높게 치는 현대에서 얼마나 그의 말이 다가올지 의문이긴 했다.그는 말한다.수필은 아무나 쓰냐고.맞는 말이다.수필은 아무나 쓰면 안 된다.쓰는 이의 품격이 고스란히 드러나기 때문에,자신의 인품에 웬만한 자신이 있지 않다면 포기해야 마땅함에도 요즘엔 그걸 헤아리는 사람이 드물지 않는가 싶다. 작가로 명망이 높음에도 고심하며 한자 한자 써 내려가는 그의 글을 보면서 탁류 속의 청량제 같단 생각이 들었다.그래,자고로 수필은 이래야 한다. 그냥 생각 나는 데로 내 지른 문장들을 어찌 수필이라 말 할 수 있을까.이 책을 보면서 문득 그런 생각이 든다.
친구라는 제목 아래 쓰여진 朋友 라는 한자가 정겹게 들린다.고등학교 졸업한 뒤로 거의 뇌리에서 잊혀진 단어였는데...친구라는 의미는 똑같음에도 한자 朋友 가 더 깊이 있게 다가오는 것은 왜일까?
누구나 인생을 홀로 살아갈 수는 없다.그래서 우리에겐 친구가 필요하다.영혼이 고독한 사람일수록 더 많은 친구가 필요하다고 이 책의 저자는 말하지만,그런 거창한 표현이 아니라도 친구가 필요하다는 것쯤은 누구나 다 경험으로 알고 있을 것이다.친구라는 타이틀로 메뉴얼을 만든 사람들이 중국인이여서 그런가는 모르겠지만, --친구 사이에는 신의가 있어야 한다고 말한 사람도, 친구가 가끔 찾아오면 그 또한 반갑지 아니한가...라고 말한 사람도 모두 중국 사람이다.--인생에 친구가 차지하는 비중을 더 쳐주는 사람들이 중국인들이 아닐까 싶다.
이 책은 중국의 대표적 작가라는 쟈핑와가 들려주는 자신의 친구들 이야기다.간간히 자신의 가족 이야기도 섞여 있긴 하지만, 가족도 기본적으로 인생의 동반자들이란 면에서 보면 친구라는 제목하에 넣는다고 해도 무리는 아닐 것이다.
친구의 이야기만으로 어떻게 책 하나가 나올까 싶었지만 역시 대륙작가답게 책 하나가 넉근하게 채워 지는것 보니 놀라웠다. 만약 내가 친구를 소재로 글을 쓴다면 몇 장이나 되려나 속으로 세어보니 머리 속이 하얘진다.단박에 그가 얼마나 대단한지 짐작이 되고도 남는다.그가 소개하던 친구들은 상당히 다양한 층이었지만,기본적으로는 비슷했다.예술을 이해하고,개성이 넘치며, 서예나 그림,문학에 종사하는 사람들이거나, 그도 아니면 한가지 일에 열정을 가지고 매진하는 사람들이었는데,그들과 우정을 나누면서 풍요로운 인생을 만드는 작가를 보자니 부러웠다.중국엔 인구 수가 많아서 그런가 작가 주변엔 어쩜 그렇게도 강한 개성의 특이한 친구들이 많던지... 어떻게 한 사람 주변에 이렇게 좋은 사람들이 많을까? 조금은 오바가 아닐까 라는 삐딱한 생각은 책을 읽어 나가 면서 소리없이 사라졌다.그렇다기 보다는 이 작가의 인품이 열쇠겠다는 생각이 들어서다. 쟈핑와는 좋은 서화를 알아보는 탁월한 안목을 지닌 사람답게 인간을 대하는 넓은 이해력과 아량을 지닌 사람이었는데,그러다 보니 좋은 사람이 꾀는 것은 당연 지사였다.결국 사람을 담는 것도 그 사람의 그릇의 크기에 달린 것이지 않는가 새삼 깨닫게 된다.
담백한 수필집이었다.욕심 없는 필체에 과거의 향수를 불러 일으키는 잊혀진 덕목들이 곳곳에 박혀 있는...물론 진중함보다는 가벼움과 재치를 더 높게 치는 현대에서 얼마나 그의 말이 다가올지 의문이긴 했다.그는 말한다.수필은 아무나 쓰냐고.맞는 말이다.수필은 아무나 쓰면 안 된다.쓰는 이의 품격이 고스란히 드러나기 때문에,자신의 인품에 웬만한 자신이 있지 않다면 포기해야 마땅함에도 요즘엔 그걸 헤아리는 사람이 드물지 않는가 싶다. 작가로 명망이 높음에도 고심하며 한자 한자 써 내려가는 그의 글을 보면서 탁류 속의 청량제 같단 생각이 들었다.그래,자고로 수필은 이래야 한다. 그냥 생각 나는 데로 내 지른 문장들을 어찌 수필이라 말 할 수 있을까.이 책을 보면서 문득 그런 생각이 든다.
친구라는 제목 아래 쓰여진 朋友 라는 한자가 정겹게 들린다.고등학교 졸업한 뒤로 거의 뇌리에서 잊혀진 단어였는데...친구라는 의미는 똑같음에도 한자 朋友 가 더 깊이 있게 다가오는 것은 왜일까?
누구나 인생을 홀로 살아갈 수는 없다.그래서 우리에겐 친구가 필요하다.영혼이 고독한 사람일수록 더 많은 친구가 필요하다고 이 책의 저자는 말하지만,그런 거창한 표현이 아니라도 친구가 필요하다는 것쯤은 누구나 다 경험으로 알고 있을 것이다.친구라는 타이틀로 메뉴얼을 만든 사람들이 중국인이여서 그런가는 모르겠지만, --친구 사이에는 신의가 있어야 한다고 말한 사람도, 친구가 가끔 찾아오면 그 또한 반갑지 아니한가...라고 말한 사람도 모두 중국 사람이다.--인생에 친구가 차지하는 비중을 더 쳐주는 사람들이 중국인들이 아닐까 싶다.
이 책은 중국의 대표적 작가라는 쟈핑와가 들려주는 자신의 친구들 이야기다.간간히 자신의 가족 이야기도 섞여 있긴 하지만, 가족도 기본적으로 인생의 동반자들이란 면에서 보면 친구라는 제목하에 넣는다고 해도 무리는 아닐 것이다.
친구의 이야기만으로 어떻게 책 하나가 나올까 싶었지만 역시 대륙작가답게 책 하나가 넉근하게 채워 지는것 보니 놀라웠다. 만약 내가 친구를 소재로 글을 쓴다면 몇 장이나 되려나 속으로 세어보니 머리 속이 하얘진다.단박에 그가 얼마나 대단한지 짐작이 되고도 남는다.그가 소개하던 친구들은 상당히 다양한 층이었지만,기본적으로는 비슷했다.예술을 이해하고,개성이 넘치며, 서예나 그림,문학에 종사하는 사람들이거나, 그도 아니면 한가지 일에 열정을 가지고 매진하는 사람들이었는데,그들과 우정을 나누면서 풍요로운 인생을 만드는 작가를 보자니 부러웠다.중국엔 인구 수가 많아서 그런가 작가 주변엔 어쩜 그렇게도 강한 개성의 특이한 친구들이 많던지... 어떻게 한 사람 주변에 이렇게 좋은 사람들이 많을까? 조금은 오바가 아닐까 라는 삐딱한 생각은 책을 읽어 나가 면서 소리없이 사라졌다.그렇다기 보다는 이 작가의 인품이 열쇠겠다는 생각이 들어서다. 쟈핑와는 좋은 서화를 알아보는 탁월한 안목을 지닌 사람답게 인간을 대하는 넓은 이해력과 아량을 지닌 사람이었는데,그러다 보니 좋은 사람이 꾀는 것은 당연 지사였다.결국 사람을 담는 것도 그 사람의 그릇의 크기에 달린 것이지 않는가 새삼 깨닫게 된다.
담백한 수필집이었다.욕심 없는 필체에 과거의 향수를 불러 일으키는 잊혀진 덕목들이 곳곳에 박혀 있는...물론 진중함보다는 가벼움과 재치를 더 높게 치는 현대에서 얼마나 그의 말이 다가올지 의문이긴 했다.그는 말한다.수필은 아무나 쓰냐고.맞는 말이다.수필은 아무나 쓰면 안 된다.쓰는 이의 품격이 고스란히 드러나기 때문에,자신의 인품에 웬만한 자신이 있지 않다면 포기해야 마땅함에도 요즘엔 그걸 헤아리는 사람이 드물지 않는가 싶다. 작가로 명망이 높음에도 고심하며 한자 한자 써 내려가는 그의 글을 보면서 탁류 속의 청량제 같단 생각이 들었다.그래,자고로 수필은 이래야 한다. 그냥 생각 나는 데로 내 지른 문장들을 어찌 수필이라 말 할 수 있을까.이 책을 보면서 문득 그런 생각이 든다.
친구라는 제목 아래 쓰여진 朋友 라는 한자가 정겹게 들린다.고등학교 졸업한 뒤로 거의 뇌리에서 잊혀진 단어였는데...친구라는 의미는 똑같음에도 한자 朋友 가 더 깊이 있게 다가오는 것은 왜일까?
누구나 인생을 홀로 살아갈 수는 없다.그래서 우리에겐 친구가 필요하다.영혼이 고독한 사람일수록 더 많은 친구가 필요하다고 이 책의 저자는 말하지만,그런 거창한 표현이 아니라도 친구가 필요하다는 것쯤은 누구나 다 경험으로 알고 있을 것이다.친구라는 타이틀로 메뉴얼을 만든 사람들이 중국인이여서 그런가는 모르겠지만, --친구 사이에는 신의가 있어야 한다고 말한 사람도, 친구가 가끔 찾아오면 그 또한 반갑지 아니한가...라고 말한 사람도 모두 중국 사람이다.--인생에 친구가 차지하는 비중을 더 쳐주는 사람들이 중국인들이 아닐까 싶다.
이 책은 중국의 대표적 작가라는 쟈핑와가 들려주는 자신의 친구들 이야기다.간간히 자신의 가족 이야기도 섞여 있긴 하지만, 가족도 기본적으로 인생의 동반자들이란 면에서 보면 친구라는 제목하에 넣는다고 해도 무리는 아닐 것이다.
친구의 이야기만으로 어떻게 책 하나가 나올까 싶었지만 역시 대륙작가답게 책 하나가 넉근하게 채워 지는것 보니 놀라웠다. 만약 내가 친구를 소재로 글을 쓴다면 몇 장이나 되려나 속으로 세어보니 머리 속이 하얘진다.단박에 그가 얼마나 대단한지 짐작이 되고도 남는다.그가 소개하던 친구들은 상당히 다양한 층이었지만,기본적으로는 비슷했다.예술을 이해하고,개성이 넘치며, 서예나 그림,문학에 종사하는 사람들이거나, 그도 아니면 한가지 일에 열정을 가지고 매진하는 사람들이었는데,그들과 우정을 나누면서 풍요로운 인생을 만드는 작가를 보자니 부러웠다.중국엔 인구 수가 많아서 그런가 작가 주변엔 어쩜 그렇게도 강한 개성의 특이한 친구들이 많던지... 어떻게 한 사람 주변에 이렇게 좋은 사람들이 많을까? 조금은 오바가 아닐까 라는 삐딱한 생각은 책을 읽어 나가 면서 소리없이 사라졌다.그렇다기 보다는 이 작가의 인품이 열쇠겠다는 생각이 들어서다. 쟈핑와는 좋은 서화를 알아보는 탁월한 안목을 지닌 사람답게 인간을 대하는 넓은 이해력과 아량을 지닌 사람이었는데,그러다 보니 좋은 사람이 꾀는 것은 당연 지사였다.결국 사람을 담는 것도 그 사람의 그릇의 크기에 달린 것이지 않는가 새삼 깨닫게 된다.
담백한 수필집이었다.욕심 없는 필체에 과거의 향수를 불러 일으키는 잊혀진 덕목들이 곳곳에 박혀 있는...물론 진중함보다는 가벼움과 재치를 더 높게 치는 현대에서 얼마나 그의 말이 다가올지 의문이긴 했다.그는 말한다.수필은 아무나 쓰냐고.맞는 말이다.수필은 아무나 쓰면 안 된다.쓰는 이의 품격이 고스란히 드러나기 때문에,자신의 인품에 웬만한 자신이 있지 않다면 포기해야 마땅함에도 요즘엔 그걸 헤아리는 사람이 드물지 않는가 싶다. 작가로 명망이 높음에도 고심하며 한자 한자 써 내려가는 그의 글을 보면서 탁류 속의 청량제 같단 생각이 들었다.그래,자고로 수필은 이래야 한다. 그냥 생각 나는 데로 내 지른 문장들을 어찌 수필이라 말 할 수 있을까.이 책을 보면서 문득 그런 생각이 든다.
친구라는 제목 아래 쓰여진 朋友 라는 한자가 정겹게 들린다.고등학교 졸업한 뒤로 거의 뇌리에서 잊혀진 단어였는데...친구라는 의미는 똑같음에도 한자 朋友 가 더 깊이 있게 다가오는 것은 왜일까?
누구나 인생을 홀로 살아갈 수는 없다.그래서 우리에겐 친구가 필요하다.영혼이 고독한 사람일수록 더 많은 친구가 필요하다고 이 책의 저자는 말하지만,그런 거창한 표현이 아니라도 친구가 필요하다는 것쯤은 누구나 다 경험으로 알고 있을 것이다.친구라는 타이틀로 메뉴얼을 만든 사람들이 중국인이여서 그런가는 모르겠지만, --친구 사이에는 신의가 있어야 한다고 말한 사람도, 친구가 가끔 찾아오면 그 또한 반갑지 아니한가...라고 말한 사람도 모두 중국 사람이다.--인생에 친구가 차지하는 비중을 더 쳐주는 사람들이 중국인들이 아닐까 싶다.
이 책은 중국의 대표적 작가라는 쟈핑와가 들려주는 자신의 친구들 이야기다.간간히 자신의 가족 이야기도 섞여 있긴 하지만, 가족도 기본적으로 인생의 동반자들이란 면에서 보면 친구라는 제목하에 넣는다고 해도 무리는 아닐 것이다.
친구의 이야기만으로 어떻게 책 하나가 나올까 싶었지만 역시 대륙작가답게 책 하나가 넉근하게 채워 지는것 보니 놀라웠다. 만약 내가 친구를 소재로 글을 쓴다면 몇 장이나 되려나 속으로 세어보니 머리 속이 하얘진다.단박에 그가 얼마나 대단한지 짐작이 되고도 남는다.그가 소개하던 친구들은 상당히 다양한 층이었지만,기본적으로는 비슷했다.예술을 이해하고,개성이 넘치며, 서예나 그림,문학에 종사하는 사람들이거나, 그도 아니면 한가지 일에 열정을 가지고 매진하는 사람들이었는데,그들과 우정을 나누면서 풍요로운 인생을 만드는 작가를 보자니 부러웠다.중국엔 인구 수가 많아서 그런가 작가 주변엔 어쩜 그렇게도 강한 개성의 특이한 친구들이 많던지... 어떻게 한 사람 주변에 이렇게 좋은 사람들이 많을까? 조금은 오바가 아닐까 라는 삐딱한 생각은 책을 읽어 나가 면서 소리없이 사라졌다.그렇다기 보다는 이 작가의 인품이 열쇠겠다는 생각이 들어서다. 쟈핑와는 좋은 서화를 알아보는 탁월한 안목을 지닌 사람답게 인간을 대하는 넓은 이해력과 아량을 지닌 사람이었는데,그러다 보니 좋은 사람이 꾀는 것은 당연 지사였다.결국 사람을 담는 것도 그 사람의 그릇의 크기에 달린 것이지 않는가 새삼 깨닫게 된다.
담백한 수필집이었다.욕심 없는 필체에 과거의 향수를 불러 일으키는 잊혀진 덕목들이 곳곳에 박혀 있는...물론 진중함보다는 가벼움과 재치를 더 높게 치는 현대에서 얼마나 그의 말이 다가올지 의문이긴 했다.그는 말한다.수필은 아무나 쓰냐고.맞는 말이다.수필은 아무나 쓰면 안 된다.쓰는 이의 품격이 고스란히 드러나기 때문에,자신의 인품에 웬만한 자신이 있지 않다면 포기해야 마땅함에도 요즘엔 그걸 헤아리는 사람이 드물지 않는가 싶다. 작가로 명망이 높음에도 고심하며 한자 한자 써 내려가는 그의 글을 보면서 탁류 속의 청량제 같단 생각이 들었다.그래,자고로 수필은 이래야 한다. 그냥 생각 나는 데로 내 지른 문장들을 어찌 수필이라 말 할 수 있을까.이 책을 보면서 문득 그런 생각이 든다.
친구라는 제목 아래 쓰여진 朋友 라는 한자가 정겹게 들린다.고등학교 졸업한 뒤로 거의 뇌리에서 잊혀진 단어였는데...친구라는 의미는 똑같음에도 한자 朋友 가 더 깊이 있게 다가오는 것은 왜일까?
누구나 인생을 홀로 살아갈 수는 없다.그래서 우리에겐 친구가 필요하다.영혼이 고독한 사람일수록 더 많은 친구가 필요하다고 이 책의 저자는 말하지만,그런 거창한 표현이 아니라도 친구가 필요하다는 것쯤은 누구나 다 경험으로 알고 있을 것이다.친구라는 타이틀로 메뉴얼을 만든 사람들이 중국인이여서 그런가는 모르겠지만, --친구 사이에는 신의가 있어야 한다고 말한 사람도, 친구가 가끔 찾아오면 그 또한 반갑지 아니한가...라고 말한 사람도 모두 중국 사람이다.--인생에 친구가 차지하는 비중을 더 쳐주는 사람들이 중국인들이 아닐까 싶다.
이 책은 중국의 대표적 작가라는 쟈핑와가 들려주는 자신의 친구들 이야기다.간간히 자신의 가족 이야기도 섞여 있긴 하지만, 가족도 기본적으로 인생의 동반자들이란 면에서 보면 친구라는 제목하에 넣는다고 해도 무리는 아닐 것이다.
친구의 이야기만으로 어떻게 책 하나가 나올까 싶었지만 역시 대륙작가답게 책 하나가 넉근하게 채워 지는것 보니 놀라웠다. 만약 내가 친구를 소재로 글을 쓴다면 몇 장이나 되려나 속으로 세어보니 머리 속이 하얘진다.단박에 그가 얼마나 대단한지 짐작이 되고도 남는다.그가 소개하던 친구들은 상당히 다양한 층이었지만,기본적으로는 비슷했다.예술을 이해하고,개성이 넘치며, 서예나 그림,문학에 종사하는 사람들이거나, 그도 아니면 한가지 일에 열정을 가지고 매진하는 사람들이었는데,그들과 우정을 나누면서 풍요로운 인생을 만드는 작가를 보자니 부러웠다.중국엔 인구 수가 많아서 그런가 작가 주변엔 어쩜 그렇게도 강한 개성의 특이한 친구들이 많던지... 어떻게 한 사람 주변에 이렇게 좋은 사람들이 많을까? 조금은 오바가 아닐까 라는 삐딱한 생각은 책을 읽어 나가 면서 소리없이 사라졌다.그렇다기 보다는 이 작가의 인품이 열쇠겠다는 생각이 들어서다. 쟈핑와는 좋은 서화를 알아보는 탁월한 안목을 지닌 사람답게 인간을 대하는 넓은 이해력과 아량을 지닌 사람이었는데,그러다 보니 좋은 사람이 꾀는 것은 당연 지사였다.결국 사람을 담는 것도 그 사람의 그릇의 크기에 달린 것이지 않는가 새삼 깨닫게 된다.
담백한 수필집이었다.욕심 없는 필체에 과거의 향수를 불러 일으키는 잊혀진 덕목들이 곳곳에 박혀 있는...물론 진중함보다는 가벼움과 재치를 더 높게 치는 현대에서 얼마나 그의 말이 다가올지 의문이긴 했다.그는 말한다.수필은 아무나 쓰냐고.맞는 말이다.수필은 아무나 쓰면 안 된다.쓰는 이의 품격이 고스란히 드러나기 때문에,자신의 인품에 웬만한 자신이 있지 않다면 포기해야 마땅함에도 요즘엔 그걸 헤아리는 사람이 드물지 않는가 싶다. 작가로 명망이 높음에도 고심하며 한자 한자 써 내려가는 그의 글을 보면서 탁류 속의 청량제 같단 생각이 들었다.그래,자고로 수필은 이래야 한다. 그냥 생각 나는 데로 내 지른 문장들을 어찌 수필이라 말 할 수 있을까.이 책을 보면서 문득 그런 생각이 든다.
친구라는 제목 아래 쓰여진 朋友 라는 한자가 정겹게 들린다.고등학교 졸업한 뒤로 거의 뇌리에서 잊혀진 단어였는데...친구라는 의미는 똑같음에도 한자 朋友 가 더 깊이 있게 다가오는 것은 왜일까?
누구나 인생을 홀로 살아갈 수는 없다.그래서 우리에겐 친구가 필요하다.영혼이 고독한 사람일수록 더 많은 친구가 필요하다고 이 책의 저자는 말하지만,그런 거창한 표현이 아니라도 친구가 필요하다는 것쯤은 누구나 다 경험으로 알고 있을 것이다.친구라는 타이틀로 메뉴얼을 만든 사람들이 중국인이여서 그런가는 모르겠지만, --친구 사이에는 신의가 있어야 한다고 말한 사람도, 친구가 가끔 찾아오면 그 또한 반갑지 아니한가...라고 말한 사람도 모두 중국 사람이다.--인생에 친구가 차지하는 비중을 더 쳐주는 사람들이 중국인들이 아닐까 싶다.
이 책은 중국의 대표적 작가라는 쟈핑와가 들려주는 자신의 친구들 이야기다.간간히 자신의 가족 이야기도 섞여 있긴 하지만, 가족도 기본적으로 인생의 동반자들이란 면에서 보면 친구라는 제목하에 넣는다고 해도 무리는 아닐 것이다.
친구의 이야기만으로 어떻게 책 하나가 나올까 싶었지만 역시 대륙작가답게 책 하나가 넉근하게 채워 지는것 보니 놀라웠다. 만약 내가 친구를 소재로 글을 쓴다면 몇 장이나 되려나 속으로 세어보니 머리 속이 하얘진다.단박에 그가 얼마나 대단한지 짐작이 되고도 남는다.그가 소개하던 친구들은 상당히 다양한 층이었지만,기본적으로는 비슷했다.예술을 이해하고,개성이 넘치며, 서예나 그림,문학에 종사하는 사람들이거나, 그도 아니면 한가지 일에 열정을 가지고 매진하는 사람들이었는데,그들과 우정을 나누면서 풍요로운 인생을 만드는 작가를 보자니 부러웠다.중국엔 인구 수가 많아서 그런가 작가 주변엔 어쩜 그렇게도 강한 개성의 특이한 친구들이 많던지... 어떻게 한 사람 주변에 이렇게 좋은 사람들이 많을까? 조금은 오바가 아닐까 라는 삐딱한 생각은 책을 읽어 나가 면서 소리없이 사라졌다.그렇다기 보다는 이 작가의 인품이 열쇠겠다는 생각이 들어서다. 쟈핑와는 좋은 서화를 알아보는 탁월한 안목을 지닌 사람답게 인간을 대하는 넓은 이해력과 아량을 지닌 사람이었는데,그러다 보니 좋은 사람이 꾀는 것은 당연 지사였다.결국 사람을 담는 것도 그 사람의 그릇의 크기에 달린 것이지 않는가 새삼 깨닫게 된다.
담백한 수필집이었다.욕심 없는 필체에 과거의 향수를 불러 일으키는 잊혀진 덕목들이 곳곳에 박혀 있는...물론 진중함보다는 가벼움과 재치를 더 높게 치는 현대에서 얼마나 그의 말이 다가올지 의문이긴 했다.그는 말한다.수필은 아무나 쓰냐고.맞는 말이다.수필은 아무나 쓰면 안 된다.쓰는 이의 품격이 고스란히 드러나기 때문에,자신의 인품에 웬만한 자신이 있지 않다면 포기해야 마땅함에도 요즘엔 그걸 헤아리는 사람이 드물지 않는가 싶다. 작가로 명망이 높음에도 고심하며 한자 한자 써 내려가는 그의 글을 보면서 탁류 속의 청량제 같단 생각이 들었다.그래,자고로 수필은 이래야 한다. 그냥 생각 나는 데로 내 지른 문장들을 어찌 수필이라 말 할 수 있을까.이 책을 보면서 문득 그런 생각이 들었다.
친구라는 제목 아래 쓰여진 朋友 라는 한자가 정겹게 들린다.고등학교 졸업한 뒤로 거의 뇌리에서 잊혀진 단어였는데...친구라는 의미는 똑같음에도 한자 朋友 가 더 깊이 있게 다가오는 것은 왜일까?
누구나 인생을 홀로 살아갈 수는 없다.그래서 우리에겐 친구가 필요하다.영혼이 고독한 사람일수록 더 많은 친구가 필요하다고 이 책의 저자는 말하지만,그런 거창한 표현이 아니라도 친구가 필요하다는 것쯤은 누구나 다 경험으로 알고 있을 것이다.친구라는 타이틀로 메뉴얼을 만든 사람들이 중국인이여서 그런가는 모르겠지만, --친구 사이에는 신의가 있어야 한다고 말한 사람도, 친구가 가끔 찾아오면 그 또한 반갑지 아니한가...라고 말한 사람도 모두 중국 사람이다.--인생에 친구가 차지하는 비중을 더 쳐주는 사람들이 중국인들이 아닐까 싶다.
이 책은 중국의 대표적 작가라는 쟈핑와가 들려주는 자신의 친구들 이야기다.간간히 자신의 가족 이야기도 섞여 있긴 하지만, 가족도 기본적으로 인생의 동반자들이란 면에서 보면 친구라는 제목하에 넣는다고 해도 무리는 아닐 것이다.
친구의 이야기만으로 어떻게 책 하나가 나올까 싶었지만 역시 대륙작가답게 책 하나가 넉근하게 채워 지는것 보니 놀라웠다. 만약 내가 친구를 소재로 글을 쓴다면 몇 장이나 되려나 속으로 세어보니 머리 속이 하얘진다.단박에 그가 얼마나 대단한지 짐작이 되고도 남는다.그가 소개하던 친구들은 상당히 다양한 층이었지만,기본적으로는 비슷했다.예술을 이해하고,개성이 넘치며, 서예나 그림,문학에 종사하는 사람들이거나, 그도 아니면 한가지 일에 열정을 가지고 매진하는 사람들이었는데,그들과 우정을 나누면서 풍요로운 인생을 만드는 작가를 보자니 부러웠다.중국엔 인구 수가 많아서 그런가 작가 주변엔 어쩜 그렇게도 강한 개성의 특이한 친구들이 많던지... 어떻게 한 사람 주변에 이렇게 좋은 사람들이 많을까? 조금은 오바가 아닐까 라는 삐딱한 생각은 책을 읽어 나가 면서 소리없이 사라졌다.그렇다기 보다는 이 작가의 인품이 열쇠겠다는 생각이 들어서다. 쟈핑와는 좋은 서화를 알아보는 탁월한 안목을 지닌 사람답게 인간을 대하는 넓은 이해력과 아량을 지닌 사람이었는데,그러다 보니 좋은 사람이 꾀는 것은 당연 지사였다.결국 사람을 담는 것도 그 사람의 그릇의 크기에 달린 것이지 않는가 새삼 깨닫게 된다.
담백한 수필집이었다.욕심 없는 필체에 과거의 향수를 불러 일으키는 잊혀진 덕목들이 곳곳에 박혀 있는...물론 진중함보다는 가벼움과 재치를 더 높게 치는 현대에서 얼마나 그의 말이 다가올지 의문이긴 했다.그는 말한다.수필은 아무나 쓰냐고.맞는 말이다.수필은 아무나 쓰면 안 된다.쓰는 이의 품격이 고스란히 드러나기 때문에,자신의 인품에 웬만한 자신이 있지 않다면 포기해야 마땅함에도 요즘엔 그걸 헤아리는 사람이 드물지 않는가 싶다. 작가로 명망이 높음에도 고심하며 한자 한자 써 내려가는 그의 글을 보면서 탁류 속의 청량제 같단 생각이 들었다.그래,자고로 수필은 이래야 한다. 그냥 생각 나는 데로 내 지른 문장들을 어찌 수필이라 말 할 수 있을까.이 책을 보면서 문득 그런 생각이 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