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신은 위대하지 않다 (양장)
크리스토퍼 히친스 지음, 김승욱 옮김 / 알마 / 2008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신은 인간에 의해 만들어진 것이며,인간은 종교 없이 사는게 건강에 이로울 지 모른다는 저자의 주장을 담고 있는 책이다.도킨스가 <만들어진 신>에서 진화론적인 면에서 신은 없다라는 논지를 펼쳤다면 히친스는 문화적,신화적,정치적,철학적,인본주의적인 면에서 설명하고 있었다.같은 결론임에도 개인적으로 히친스가 내겐 더 맞았는데,아마도 그의 사고 방식이 나와 비슷해서가 아닌가 싶다.그럼 그렇지.<만들어진 신>이 유난히 싫길래 난 내가 무식한--도킨스의 뉘앙스에 의하면--유신론자인줄 알고 식겁했다니까.그저 도킨스를 싫어했을 뿐이라는걸 이 책을 보고 알게되서 기뻤다.그건 그렇고,난 무신론을 장려하는 집안 분위기속에서 자라서 신에 대한 환상이 없는 편이다.그래서 처음엔 종교에 대한 이 모든 소란이 도무지 이해 되지 않았다.신이 있고 없고 간에 뭐가 그렇게 중요하다고 이 난리랴?종교를 믿건 안 믿건 간에 인간이 위선적이고 위악적인거 처음 봐?했다.그런데 세계 곳곳에 만연하고 있는 종교의 악덕을 듣고 보니 그렇게 한가한 소리를 할 때만은 아니란 생각이 든다.신의 이름으로 자행되는 학살과 광기,부정,무지,부패,오만,위선,부도덕,비윤리적인 행위들이 인간다움을 상실한 채 도를 넘어서고 있었기 때문이다.신을 믿는 자,그들은 때론 속기 쉬운 자들이니...한번 쓱 보기만 해도 형편없는 논리들을 철썩같이 믿는 맹목적인 사람들을 보면서 히친스는 신의 이름이 아니라 인간의 이름으로 깨어나기를 바라고 있었다. 여기에 히친스는 오캄의 면도날이란 명제를 우리에게 상기시킨다.간단한 것이 진리일 가능성이 많다는,다시 말하면 미심쩍은 것은 진실이 아닐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예를 들자면 인간이 기적을 행할 수 있을까 없을까라는 물음에 더 간단하게 증명이 가능한 것이 진리라는 것이다.직관을 따르라.의심하라.현혹되지 마라.복잡한 변명들에 속지 마라.그러면 적어도 얼치기 목자들의 봉 노릇은 하지 않게 될 것이다.거기에 히친스는 우리가 만든허상들의 진짜 모습을 보여준다.예를 들어 보자,간디나 마더 테레사는 말년에 성인 취급을 받았다.마오쩌둥이나 김일성 스탈린은 신처럼 행동했다.인민사원 집단 자살등 종말론 말세론을 들고 나오는 사이비 교주들은 종말이 도래했다고 사람들을 현혹해 죽음으로 내 몰았다.그들 모두는 겉으로 보기엔 전혀 다른 사람들 같아 보일지 모르지만 실체는 똑같다.그들은 바로 오즈의 마법사에 불과했던 것이다. 장막 뒤에 가려져 있는 그들의 실체는 거짓말장이,허세꾼,위선자,양심없는 싸이코패스,과대망상증 환자일 뿐임에도 우린 신화로 포장해 그들을 떠받들었다고 그는 말한다.옳은 말이다.우리도 이젠 그들의 실체를 직시할 때가 됐다.더군다나 이성의 목소리를 따른다고 고문을 당하거나 화형을 당할 걱정도 없으니 그러지 않을 이유가 뭐가 있겠는가.알고보면 우린 엄청나게 운 좋은 사람들이라니까.
이 책을 읽으면서 얼마전 본 <There will be blood>가 생각났다.영화속에서 신심 깊은 목자로 나오던 일라이는 마지막에서 자신의 입으로 "난 거짓된 목자입니다"라고 소리친다.그 말에 희열을 느낀 사람은 나 하나뿐일까? 아닐 것이다.히친스 역시 신심이 깊어 보이는 신의 사제들이 정말로 믿는 것일까 아님 믿는 척하는 하는 것일지가 궁금했다고 한다.여러분도 오캄의 면도날을 배웠으니 응용해서 답을 내보시기 바란다.
읽기는 평이한 편이다.살아있는 신으로 추앙받는 여인네(마더 테레사)를 까발리는것보다 신을 박살내는게 한결 쉬웠던 모양이다.<자비의 팔다>보다 느긋하고 날이 덜 서있는 느낌이었다.이 책에서 알았는데,종교가 끝나는 곳에서 철학이 시작된다고 한다.철학적인 논쟁이 사라진 사회를 무서워 해야 하는 이유가 그 때문일수도 있겠구나 싶다.그렇다면 과연 우리 사회는 어떨까?종교의 광기에서 벗어나 건강하다고 봐도 될까?내가 전혀 두려움이 느껴지지 않았다고 한다면 거짓말일 것이다.아니 ,실은 머리속을 떠도는 생각들로 복잡했다.보다 많은 사람들이 깨이길 바라는 마음에서 이 책을 권한다.신이 없음 어떠랴?신이란 형상이 꼭 필요한건 아니지 않는가?보다 안전하고 평화로운 삶을 위한 기준을 바란 것이지.그렇다면 이제 우린 종교를 믿으면 안 되는 것일까?그렇지는 않다고 본다.인간은 물질적인 것과 함께 영적인 것들도 추구하게 되어 있는 존재다.그래서 예수나 부처 같은 영적인 스승이 필요했고.어느순간부터 그들을 우상화해서 우리의 탐욕을 채웠는가는 모르지만 그건 전적으로 우리의 잘못이지 그들의 탓은 아니다.그래서 여전히 그들은 우리의 role model로써 의미는 있다고 생각한다.떠받들거나 위선을 숨기기 위한 신이 아닌,보다 인간다운 삶을 배우기 위해 신들을 우러르는 세상을 기대해 본다.
<추신>번역이 다소 매끄럽지 않고,오자도 간간히 눈에 뜨입니다만,약간의 상상력을 발휘하면 맥락을 이해하는덴 지장이 없지 않을까 합니다.나중에 제대로 수정해서 나와줬음 하는 바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