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닥터스 씽킹
제롬 그루프먼 지음, 이문희 옮김 / 해냄 / 2007년 10월
평점 :
"의사들은 어떻게 생각하는가?"가 원제다.글쎄,의사라고 다른 사람하고 다를까?책이 시작되자마자 저자는 자신의 인턴시절을 회상한다.한밤중에 응급실에 젊은 여자가 실려왔다.배가 아프다고 호소하는 그녀,척 보니 술탈이 난 창녀같다.어림짐작만으로 그는 그녀를 홀대해도 되는 인간이라고 결론 내린다.그리고 그건 곧바로 무성의한 진료로 이어진다.계속 아프다는 그녀를 그는 모른 척했고,놀랍게도 응급실의 아무도 그를 제지하지 않았다고한다.훗날 그 당시를 되돌아보면서 작가는 자신이 그렇게도 나빴다는 사실에 경악한다.왜 그랬을까? 안 그랬어도 됐을텐데.어차피 의사는 환자를 위해 대기하고 있는 존재라고 규정 한다면 환자가 누구란 것에 상관없이 치료를 했어야 했다.하지만 그건 이론일 뿐이고,실제로는 그렇지 못했다.저자는 자신의 경험에 비추어 의사 개인의 주관적인 판단이 환자를 치료하는데 걸림돌이 되는 경우가 있지 않을까 연구를 한다.바로 그 결과가 이 책이다.의사는 어떻게 생각을 하는가?라는 질문에서 시작하지만 결론은 의사는 이렇게 생각해야 한다.고 마침표를 찍어주는 책.그렇다면 의사는 과연 어떻게 생각을 해야 하는 것일까?
이 책에서 저자는 객관적인 데이타와 해박한 지식에 바탕을 두고 냉철한 결론을 내릴 것 같은 의사들이 사실은 그렇지 못하다는 것을 알려준다.그게 가능하지 못한 이유는,
1.<지식 수집의 한계>아무리 공부에 공부를 해도 인간의 몸이 일으키는 고장들의 원인과 그 변수들을 다 알기엔 인간의 머리는 한계가 있다.하지만 환자들은 의사 가운만 입으면 의사들이 저절로 모든 증상들에 대해 해박할 거라고 지레 짐작한다.
2.<인간적인,너무도 인간적인...>의사 역시 인간일 뿐이다.의사가 경멸하는 환자도 제대로 된 진료를 받기 힘들지만,너무 친해져도 문제가 된다.안스러운 마음에 힘겨운 검사를 피해가려 하기 때문이다.
3.<의사 개인의 능력>대개 보통의 의사는 환자의 증상을 들으면 다섯가지 정도의 병명을 생각해 낸다고 한다.명의라고 불리는 사람은 일곱~에서 여덟가지 정도의 경우의 수를 생각해 낸단다.여기 매우 친절하지만 무능한 의사가 있다고 생각해보자.그는 세가지 정도를 생각해낼 것이다.그 세 가지중 하나가 환자의 증상에 적중한다면 문제는 없다.하지만 만일 어느것에도 맞지 않는다면 그 의사는 어떻게 행동할까?아무리 생각해도 잘 모르겠다고 말하지는 않을 것이다.그건 자존심이 허락하지 않는다.그럴 때 가장 많이 등장하는 광경은 환자가 꾀병이라고 넌지시 알려주는 것이다.맘을 편하게 먹으면 나을 거라고 말이다.
4.<가끔 의사들은 새로운 진단명을 발명해낸다.>전문의라 해도 자신이 이해가 안가는 병을 만날때가 있다고 한다.그럴때 그들은 해괴한 진단명을 개발해 낸다.환자들은 그게 없는 병명인지 알지 못한다.공평하게도 그건 전문의가 아닌 다른 의사들 역시 마찬가지라 한다.속이자고 작정을 한 사람에게 당할 장사는 없다는 말이 의료계에서도 일상적이라는 것이다.지식을 가장했지만, 거짓말이고,사기다.하지만,사람들이 알아내기 힘들기에 만연하다고 저저는 우려한다.결국 그건 의사 본인의 양심에 맡겨야 하기 때문이다.
5.<이성의 오류>인간의 몸은 합리적인 이성만으로 해결되지 않는 부분이 아직은 존재한다고 한다.그런 간극을 메꾸는 것인 직관인데,좋은 의사란 직관이 들려주는 말을 무시하지 않는 사람이라고한다.이성이 만능은 아니라는 것이다.
6.<의사는 환자가 하는 말에 얼마나 귀를 기울이는가?>명의와 일반의의 차이는 얼마나 환자의 말을 진지하게 경청하는가에 달렸단다.명의는 환자의 말 속에서 진단을 위한 중요한 정보를 가려내는 귀를 가졌다고.
7.<환자 당신은 의사에게 제대로 된 정보를 제공하고 있는가?>대답이 No라면 의사에게 뭐라할 자격이 없다는 걸 본인이 잘 알 것이다.
결국 의사의 실수를 가져오는 인식의 오류는 인간관계에서 생기는 문제점들이 극단적으로 확대된것에 지나지 않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든다.그들도 때론 무능하다.그들도 편견에 사로잡혀 있으며,성격이 더러운 사람일 수도 있다.그건 당신이 만난 의사가 가학 성향의 싸이코가 아니란 것만으로도 감사해야 할 일이란 뜻이다.그들도 거짓말을 하고,병명을 모르겠을 시 환자에게 화를 내며 떠 넘긴다.한마디로 그들은 완벽하지 않다.하지만 사람들은 의사들이 완벽한 줄 안다.tv드라마 속의 의사상에 심취해 현실을 도외시 하는 것이다.이 책에서 알려주고자 하는 것은 우리 모두가 깨몽 하라는 것이다.의사나 환자 모두...환자는 이상하다고 느낄 시 의문 부호를 떠올려야 하고,의사들은 매너리즘과 거짓에서 벗어나는 것이 옳다는 것이다.결국 좋은 의사가 되는 것은 좋은 인간이 되는 것과 별로 다르지 않다는 생각이 든다.어쩜 그래서 좋은 의사는 드문 것인지도 모르겠다.그래서 포기하자고?No Way!그래도 희망을 가지련다.왜냐면 이런 책이 나왔다는 것 만으로도 뭔가 희망이 보이는 일이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