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상천외한 곤충 친구들 ㅣ 재미있는 곤충 학교 1
우샹민 지음, 샤지안 외 그림, 임국화 옮김, 최재천 외 감수 / 명진출판사 / 2011년 11월
평점 :
품절
요즘 아이들은 시골에서 자연과 함께 생활하기 보다는 도시에서 땅을 딛고 자연과 친하게 생활하기 보다는 컴퓨터나 집 안에서의 생활에 익숙해져 있기 때문에 곤충이나 벌레에 민감한 반응을 보이는 아이들이 많다.그래도 그런 속에서도 '사슴벌레'를 키우거나 곤충에 남다른 관심을 보이는 아이들도 있다. 우리집 아이들도 시골생활은 외가를 갈 때 뿐이기에 곤충이나 벌레라면 난리 난리다.하지만 난 어린시절을 시골에서 자랐고 고향도 그렇지만 뒷산에 다니며 자연과 함께 하는 생활이 좋기에 곤충에도 관심이 많다. 어린시절 물가에 가면 물방개를 잡아다 우물갓 세수대야에 담가 놓고 물방개가 노는 것을 관찰하기도 하고 여치집을 만들어 넣어 놓는가 하면 반딧불이를 잡아 그 불의 밝기가 얼마나 센지 밤이면 친구들과 반딧불이를 잡으러 다니기도 했던 그런 추억도 있다.
뒷산에 다니다보면 철마다 다른 곤충들이 폴짝 폴짝 길동무 하자고 나타나는 경우도 있고 꽃을 따라가다보면 곤충을 만나는 경우도 있고 신기한 녀석들의 생김새에 다가가는 경우도 있곤 하다. 꽃을 찍을 때에는 꼭 벌이나 나비를 넣어서 찍거나 녀석들을 기다리는 경우도 많다. 그냥 꽃을 찍으면 꽃이지만 곤충과 함께 하면 왠지 꽃이 살아 있다는 느낌도 들고 꽃과 곤충을 함께 감상할 수 있는, 꽃 때문에 곤충을 한번 더 관찰하는 기회를 가지게 되는 행운도 얻기도 한다. 이 책에는 우리가 잘 알거나 모를 경우도 있지만 녀석들의 특징을 재밌고 유쾌한 동화를 읽어나가며 웃다보면 나도 모르는 사이에 곤충들의 습성에 대하여 공부하듯이 머리에 쏙쏙 지식충전을 할 수 있다.
곤충학교의 교장선생님은 '메뚜기'다 선생님의 말을 읽자마자 '빵' 터졌다. '이곳은 사방에 위험이 넘쳐나는 곳입니다. 어떤 불량 학생은 깜빡하고 도시락을 싸 오지 않았다며 선생님을 잡아 먹기도 했어요. 정신 똑바로 차리지 않으면 언제 누구의 도시락이 될지 모르지요.' ㅋㅋ 정말 웃기다. 이런 학교에 다니고 싶을까? 하지만 읽다보면 이 학교에 들어오고 싶어하는 곤충아닌 것들이 많다는 것,아니 나도 곤충이라고 우기는 비슷한 것들도 있다는 것을 알게 된다. 그럼 진짜 선생님을 잡아 먹고 친구를 잡아 먹는 일이 벌어질까? 뭔가 으스스 하지만 어차피 먹이사슬이 존재하고 약육강식이 존재하는 '곤충'의 세계이니 먹이사슬이 높은 단계의 강에 속하는 녀석들이 자신보다 약한 것을 '냠냠' 하는 경우가 발생할 것이다. 그렇다면 정신 똑바로 차리고 읽어야 한다.언제 그런 일이 벌어질지 모르기에.
금파리 선생님은 누구에게 잡아 먹힐까? 파리는 '위이잉위이잉' 정말 시끄럽고 지저분한 존재이다. 동화에서는 금파리가 딱정벌레반 선생님이지만 사슴벌레도 소똥구리도 아무도 금파리 선생님의 말을 들으려고 하지 않는다. 선생님의 말은 '위이잉위이잉' 자장가로 들려 사슴벌레는 책상에 엎드려 잠을 자기도 한다.그러다 선생님이 사라졌다. 거미가 쳐 놓은 거미줄에 걸려,학생에게 잡아 먹힌 선생님이 되고 말았다.푸하하.정말 재밌다. 곤충을 의인화 하여 교실에서 벌어질 수 있는 재미난 곤충학교 이야기들이 정말 포복절도다. 얼마나 웃었던지. 소똥구리의 주식은 '소똥' 이니 어라만 냄새가 날까? 소똥구리가 학교에 다니는한은 늘 교실에서 소똥냄새가 난다. 그것도 입가에 잔뜩 똥을 묻히고 다닌다. 이거 정말 공부할 맘이 나지 않을 듯 하다.
곤충들이 서로가 잘났다고 싸운다. 자신들의 특징을 내세우면서 싸우기도 하고 친구를 잡아 먹기도 한다. 그런데 선생님을 잡아 먹거나 친구를 잡아 먹으면 어떻게 될까? '선생님이나 다른 학생을 맛보는 것을 금지하며 특히 도시락을 싸 오지 않았다는 이유로 선생님이나 다른 학생을 잡아먹어서는 안된다. 이를 어기는 학생은 바로 퇴학 처리된다.' 정말 웃기다 선생님이나 친구를 잡아 먹으면 '퇴학'이다. 그래서 금파리 선생님을 잡아 먹은 거미는 퇴학조치가 내려진다. 이런 설정으로 정말 재밌게 이야기를 이끌어 나가면서 먹이사슬의 관계도 나타내고 어느 곤충이 어떤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도 잘 설명해 놓았다. 웃으며 배울 수 있는 자연이고 곤충학습이다.
곤충학교 학생들의 이름이 낯설까.안그렇다 읽다보면 술술 입에서 나오게 된다. 금파리선생,사슴벌레,앞장다기풍뎅이,늑대거미,땅강아지,비단벌레 길앞잡이,꿀벌,장수풍뎅이,소똥구리,물방개,칠성무당벌레,알락하늘소,꽃등에,헤라클레스장수풍뎅이... 낯선 곤충들의 이름이 재밌게 의인화되어 누가 누구보다 더 힘이 세고 개미와 진딧물은 서로 도와주는 관계이며 호주에서는 소똥구리들이 캥거루와 코알라의 똥만 좋아하고 소똥은 먹지를 않아 소똥이 넘쳐나는 끔찍한 일이 일어나기도 했단다. 그래서 중국의 소똥구리를 호주로 보내 소똥을 처리했다는 이야기도 담겨 있는데 읽다보니 이런 일도 있구나. 곤충이라고 보잘것 없다고 생각했는데 큰 의미로 놓고 보니 정말 자연에 그들의 작은 힘이 얼마나 큰 역할을 하는지 새삼 깨닫게 되었다.
재밌는 이야기와 곤충들의 습성을 유쾌 통쾌하게 웃으면서 읽다보면 금세 곤충들과 친해 지기도 하고 더이상 곤충은 이제 무섭거나 위험한것이 아니라 우리와 함께 살아가고 자연을 지키고 그들이 살아야 우리도 살 수 있다는 것을 배우게 된다. 어느 것 하나 소중하지 않은 존재는 없을 것이다. 꿀벌이 없으면 꽃이 수정이 안되듯이 말이다. 그런 곤충들에게 위기가 닥치기도 한다. 꿀벌이 그들의 딱정벌레반에 꿀을 팔러 왔는데 처음에 소똥구리가 꿀 맛을 보다가 그만 입에 묻은 똥 찌꺼기가 떨어져 그들은 차용증을 써주고 그 꿀을 사야만 했는데 꿀벌이 오고 꿀벌이라고 하는 꽃등에가 오고 정점 그들의 빚은 늘어만 간다.그럴 때 그들은 하나가 되어 위기를 모면하기도 하고 빚을 청산하기 위하여 힘을 합치기도 한다. 곤충 또한 혼자서는 자연에서 살아가지 못한다. 개미에게는 진딧물의 '단물' 이 필요하듯이 서로에게 천적이 될 수도 있지만 어느 면에서는 꼭 필요한 존재들인 것이다.

아이들과 읽으면 정말 재밌어 할 듯 하다. 나 또한 읽으며 얼마나 웃었는지.그리고 이야기가 하나가 끝나면 이야기 속의 그 곤충에 대하여 자세하게 그림과 함께 설명해 놓아서 재밌게 읽어가며 공부할 수 있다. 그리고 그 곤충들이 어떻게 될까 궁금하여 마지막까지 손에서 놓을 수 없게 된다. 딱정벌레반에서 제일 힘이 세다가 우기는 사슴벌레,정말 사슴벌레보다 강적은 없을까. 그런데 어느 날 사슴벌레를 '발라당' 뒤집어 버린 친구가 나타났다.일명 '헤라클래스장수풍뎅이' 곤충계의 거인 헤라클래스장수풍뎅이는 뿔의 길이가 무려 7cm에 몸길이가 18cm나 되는 녀석들도 있다고 하니 과히 곤충계의 거인이라고 할 수 있고 이름값을 제대로 하는 녀석인듯 하다.그런 녀석이 나타나 딱정벌레반의 힘이라고 딱 버티고 있던 사슴벌레를 뒤접어 놓는 희대의 사건이 터지기도 하고 사슴벌레는 감성적인 곤충으로 변하기도 한다. 정말 상상 그 이상의 이야기들이 웃다가 웃다가 녀석들과 더 가깝게 하는 계기를 만들어 준다. 이제 '기상천외한 곤충 친구들'을 읽었다면 자연에 나가 소똥구리를 만나거나 사슴벌레를 만나도 하나 겁이나지 않고 이름을 불러가며 친구하자고 하는 것은 아닌지 모르겠다.더불어 자연은 그들이 존재할 때 소중하게 지켜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