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어권 아프리카 바로보기 2강]


* 프랑코포니의 의미


Onésime Reclus, "France, Algérie et colonies" (1886) https://books.google.co.kr/books?id=lDQ7AAAAYAAJ&hl=ko&pg=PP11#v=onepage&q&f=false


Organisation internationale de la Francophonie (OIF) https://www.francophonie.org/


https://www.francophonie.org/sites/default/files/2024-11/carte_OIF_2024_800X600.pdf




Léopold Sédar Senghor (세네갈 초대 대통령), "Le français, langue de culture" (Esprit, novembre 1962)

https://www.observatoireplurilinguisme.eu/les-fondamentaux/textes-de-reference/15536-le-fran%C3%A7ais,-langue-de-culture,-l%C3%A9opold-s%C3%A9dar-senghor-revue-esprit,-novembre-1962


Habib Bourguiba (튀니지 초대 대통령) https://en.wikipedia.org/wiki/Habib_Bourguiba


https://www.facebook.com/MaisondeLaTunisie/photos/habib-bourguibala-francophonie-une-inscription-dans-luniversel-et-lhumanismesame/5267368306661958/




Hamani Diori (니제르 초대 대통령) https://en.wikipedia.org/wiki/Hamani_Diori


Norodom Sihanouk (캄보디아) https://en.wikipedia.org/wiki/Norodom_Sihanouk




Ahmed Sékou Touré (기니 초대 대통령) https://en.wikipedia.org/wiki/Ahmed_S%C3%A9kou_Tour%C3%A9


Rodrigue Kpogli (토고)


Abdelwahab Meddeb (튀니지 작가) https://en.wikipedia.org/wiki/Abdelwahab_Meddeb


Sainey Faye, "Remembering Cheikh Anta Diop, A Great African Thinker", Kairo News (2016. 2. 9.)

https://kaironews.com/2016/02/09/remembering-cheikh-anta-diop-a-great-african-thinker/


심지영, "교과서를 통해 본 세네갈의 프랑스어 교육 문제", 불어문화권연구 21 (2011)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623443


* Françafrique contre Chinafrique


[DVD] Françafrique: 50 années sous Le Sceau du Secret (2011) https://www.amazon.fr/Fran%C3%A7afrique-ann%C3%A9es-sous-sceau-secret/dp/B004IVKF7A

영어 YouTube https://www.youtube.com/watch?v=k5PkUVImHao

프랑스어 YouTube https://www.facebook.com/watch/?v=1142439030348981


La Chinafrique: Pékin à la conquête du continent noir (2008) https://www.amazon.fr/Chinafrique-P%C3%A9kin-conqu%C3%AAte-continent-noir/dp/2246736218


Chine/Afrique: Le grand pillage-Rêve chinois, cauchemar africain? (2014) https://www.amazon.fr/Chine-Afrique-pillage-R%C3%AAve-cauchemar-africain/dp/221255981X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랑스어권 아프리카 바로보기 1강]


* 프랑스어권 아프리카는 어디인가?


"L’Afrique francophone et ses apports à la langue française" (2019. 11. 2) https://laplumewriting.com/index.php/2019/11/02/lafrique-francophone-et-ses-apports-pour-la-langue-francaise/


langue-française-afrique


* https://fr.wikipedia.org/wiki/Afrique_francophone (2024. 11. 24.)



* 아프리카의 6개 권역


https://www.oecd.org/en/about/directorates/sahel-and-west-africa-club.html


아래 이미지는 OECD Sahel and West Africa Club의 "Maps & Facts" No. 48, February 2017에서 따온 것인데, 페이지마다 다른 출처, 링크를 제시하고 있고, 지금은 Academia.edu 정도에서 원래의 pdf 파일을 받을 수 있는 것 같다.




* 언어


"Top 11 Most Spoken Languages in Africa", Africa Facts https://africa-facts.org/top-10-most-spoken-languages-in-africa/




<참고문헌>



Alain Dubresson, Géraud Magrin, Olivier Ninot, Atlas de l'Afrique Un continent émergent? (2022) https://www.autrement.com/atlas-de-lafrique/978274676306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랑스어권 아프리카 바로보기 5강]





* Raï


Cheikha Rimitti

"Nouar" (2000) https://youtu.be/pCPB6WD87Yw?si=2bnQk72c4EmwWvF8

Soundcloud https://soundcloud.com/orkidz/cheikha-rimitti-nouar-orkidz-edit


Cheb Khaled

"C'est la vie" https://www.youtube.com/watch?v=5dWeeUIZFgA


Cheb Hasni

"El Baraka" https://www.youtube.com/watch?v=2PkzTaNPNag

"Ya Raï", Greedy for Best Music (2022. 5. 4.) https://www.greedyforbestmusic.com/journal/friends/ya-rai/


Sting, "Desert Rose" (Feat. Cheb Mami) https://www.youtube.com/watch?v=C3lWwBslWqg


K. Barrett Bilali, "There’s a brewing debate over who owns Rai music in North Africa", Quartz (2016. 9. 18.) https://qz.com/africa/784322/theres-a-brewing-debate-over-who-owns-rai-music-the-blues-of-the-sahara



<참고문헌>


- 정지용, "알제리 대중음악 라이Raï에 나타난 저항의 역사", 불어불문학연구 78, 2009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1348319


- "Histoire et mémoires de la manifestation du 17 octobre 1961 à Paris" (프랑스 이민박물관 홈페이지 1961년 10월 17일 사건 자료) https://www.histoire-immigration.fr/integration-et-xenophobie/histoire-et-memoires-de-la-manifestation-du-17-octobre-1961-a-paris


- 김종식, "알제리 해방 전후 프랑스-알제리 경제협력의 변화상 연구", 오토피아 33(3), 2018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07567912


- 문종현, "알제리 전쟁 이후 아르키(Harki)의 프랑스 이주 -프랑스의 모국송환자(rapatrié) 정책과 아르키-", HOMO MIGRANS 23 (2020) https://www.dbpia.co.kr/journal/articleDetail?nodeId=NODE10501786


_ 임기대, "베르베르어 사용 관련 정책 현황과 변화 가능성에 관한 소고: 알제리의 경우를 중심으로", 프랑스학연구 74, 2015 https://www.kci.go.kr/kciportal/ci/sereArticleSearch/ciSereArtiView.kci?sereArticleSearchBean.artiId=ART002048038



<기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프랑스어권 아프리카 바로보기 4강]


* 아프리카 식민화와 프랑스의 시선



"오늘날 프랑스인들이, 다른 프랑스인들이 알제리 사람들이나 마다카스카르 사람들을 대하는 방식에 분노하지 않는 이유는, 그것은 그들이 무의식 중에 식민지 주민들보다 자신들이 우월하다고 확신하고 있기 때문이며, 그러한 우월성을 증명하는 데 어떤 방법을 택하는가는 부차적이라고 여기기 때문이다." - 알베르 까뮈, Camus à Combat, éditoriaux et articles 1944-1947 (2002)




* 식민화 과정




* 1차 세계대전 이후 식민화의 완결


Grande Guerre: les batailles oubliées de l'Afrique

https://webdoc.rfi.fr/grande-guerre-afrique-colonies-1914-1918/



* 세네갈, 레오폴 세다르 상고르(Léopold Sédar Senghor)




* 카리브해 마르트니크, 에메 세제르




* L'Art Nègre. Dakar-Paris, 1966




* 아프리카 문화재 반환


"Tears, dance as Benin welcomes back looted treasures from France", FRANCE 24 English (2021. 11. 11.)

https://www.youtube.com/watch?v=-CEcN4HegRk


"‘An emotional moment’ as Benin welcomes back looted treasures from France", FRANCE 24 English (2021. 11. 11.)

https://www.youtube.com/watch?v=uvZy0X9lGXw


"Colonial-era looted art returned to Nigeria and Benin", DW (2022. 2. 20.)

https://www.dw.com/en/colonial-era-looted-art-returned-to-nigeria-and-benin/a-60845936



<참고문헌>




- Nicolas Bancel, Pascal Blanchard, Françoise Vergès, La colonisation française, Editions Milan, 2007 https://www.amazon.fr/colonisation-fran%C3%A7aise-Nicolas-Bancel/dp/2745959271


Elian Peltier, "In Senegal’s Former Capital, a Colonial Statue in Hiding Is No Longer Welcome", New York Times (May 5, 2022) https://www.nytimes.com/2022/05/05/world/africa/senegal-faidherbe-statue.html


- Awatif Bentahar, "Decolonizing Banania (Part I), the history", New Public https://newpublic.co/blog/decolonizing-banania-part-1

Awatif Bentahar, "Decolonizing Banania (Part II), the redesign", New Public https://newpublic.co/blog/decolonizing-banania-part-2-the-re-design


- Cédric Vincent, "Tendencies and Confrontations: Dakar 1966", Afterall, Vol.43 (2017) https://www.journals.uchicago.edu/doi/full/10.1086/692558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미국에서는 스마트폰과 소셜 미디어가 아이들의 정신 건강에 미치는 악영향에 관한 논의가 활발하고, 적극적으로 대책을 마련하고 있다.


  얼마 전에 나온 백악관 Kids Online Health and Safety Task Force 보고서를 비롯하여 여러 연방정부 부처에서 가이드라인을 냈거나 준비하고 있다.


  "Biden-⁠Harris Administration Takes Actions to Advance Kids’ Online Health, Safety, and Privacy" (2024. 7. 22.)

  https://www.whitehouse.gov/ostp/news-updates/2024/07/22/biden-harris-administration-takes-actions-to-advance-kids-online-health-safety-and-privacy/


  주정부 등도 학생들의 스마트폰이나 소셜 미디어 사용을 제한하는 다양한 방식의 규제를 도입하고 있다.


  권진영 기자, "'아이들의 불안을 멈춰라'…각국, 청소년 SNS 사용 규제 도입에 시동", 뉴스원(2024. 9. 14.) https://www.news1.kr/world/general-world/5542426

  김지완 기자, "메타, 10대 인스타 계정 모두 비공개 전환…한국 내년 1월부터", 뉴스원(2024. 9. 18.) https://www.news1.kr/world/international-economy/5543822

  "꼭 필요한 교내 스마트폰 사용금지", 한국일보 사설(2024. 6. 21.) http://www.koreatimes.com/article/20240620/1519100


  우리나라에서는 아이들을 보호하기 위하여 부모들이 담합을 하여도 모자랄 판에(목동 어디선가는 그렇게 한다고도 들었는데, 사실인지는 모르겠다), 부모들의 편의라는 구실로 식당 곳곳에서 말도 못하는 아이들이 스마트폰 시청을 '강제받고' 있는가 하면, 여러 학원을 뺑뺑이 도는 아이들은 초등학교에 들어가기도 전부터 자신의 휴대용 기기를 받아 가지게 된다. 세계 어디서나 크게 다르지는 않을 것 같지만 부모들 자신부터가 스마트폰에서 헤어나오지 못하고 있다. 다행스럽게도, 국가인권위원회에서 그동안 학교의 휴대전화 일괄 수거 조치를 인권 침해라고 판단해 오다가(허울 좋은 "통신의 자유"이고, "인권"의 오용 같다는 생각이 든다), 최근 다르게 결정하였다는 소식이 들린다(2024. 10. 7.에 열린 2024년 제18차 전원위원회에서 의결된 모양인데, 결정문은 아직 올라오지 않은 것 같다).


  국가인권위원회, "2024년 제18차 전원위원회 개최 알림 [10. 7.(월) 15:00]" 중 "(의결 24-15) 고등학교의 휴대전화 수거로 인한 인권침해(23진정0175100)(재상정)" (2024. 10. 2.) http://humanrights.go.kr/base/board/read?boardManagementNo=25&boardNo=7610592


  안성우 기자, "'학교서 스마트폰 금지하면 인권침해'…다른 나라는" SBS 뉴스(2024. 9. 25.)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7812777 (SBS는 위 23진정0175100 사건이 국가인권위원회에서 곧 논의될 것이라는 것을 알고 이 기사를 냈던 건가? 개최 공고일을 보면 그렇게 생각하기 어려운데, 재상정되어 그런가? 바로 며칠 뒤에 상반되는 아래 기사가 나온 것이 신기하다.)


  정성진 기자, "'휴대폰 일괄 수거, 인권 침해 아냐'…10년 만에 뒤집혔다" SBS 뉴스(2024. 10. 8.) https://news.sbs.co.kr/news/endPage.do?news_id=N1007827179


  아무튼 미국 여기저기서 『The Anxious Generation』을 이야기하는 것이 들린다. 『The Righteous Mind(바른 마음)』을 참 재미있게 잘 읽었는데, 또 한 번 메가 히트작을 내셨다 싶다. 대단히 중요한 책이고, 사회적으로 널리 읽혀야 할 것 같다. 우리말로도 신속하게 번역되어 참 다행이다. 번역도 기대하고 있다. 머리를 맞대고 더 적극적으로 토론하면 좋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