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문학 속에 핀 꽃들 - 우리가 사랑한 문학 문학이 사랑한 꽃이야기
김민철 지음 / 샘터사 / 2013년 3월
평점 :
관심을 갖고 있는 대상이 무엇인가에 따라 똑같은 책을 읽어도 다른 면을 발견한다.
아무리 지천에 널려 있어도 관심을 갖고 보지 않는 사람에게는 보이지 않지만,
관심을 갖고 애정을 보이는 대상이라면 구석에 처박혀 있어도 찾을 수 있다.
이 책을 읽는 동안 나는 한 명의 지인을 떠올렸다.
그녀는 언제 어디를 가든 작은 꽃들을 발견하고 그것을 카메라에 담고 또 그것을 보며 즐거워한다.
사람들은 그녀가 발견한 것들을 보면서
"이런 것도 있었어?" 라거나, "몰랐는데 참 예쁘네." 라며 공감을 표시한다.
그렇지만, 그녀가 찾아내는 것들을 우리는 같은 곳에 있어도 발견하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내 관심이 그것을 향해 있지 않기 때문이다.
이 책의 저자는 문학 속에서 다양한 야생화와 꽃을 발견한다.
책 속에서 큰 의미를 갖고 있는 소재로 사용된 꽃이 아니라면
우리는 그냥 지나치는 것들을 저자는 하나하나 발견하여 이야기한다.
제목으로 쓰인 꽃 조차도 꽃 자체보다는 그 꽃의 교과서적 해석 외에는 관심을 보이지 않았던 나도
'아하', 무릎을 탁 치게 하는 글이었다.
우리 문학 속에는 어떤 꽃들이 있을까?
우리 작가가 쓴 우리 문학이기에 우리나라 산천에 있는 꽃들이 등장한다.
김유정의 <<동백꽃>>에 나오는 동백꽃이 노란 생강나무의 꽃이라는 걸 아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정채봉의 <<오세암>>이 동자꽃 전설을 모티브로 했다는 것을 아는 사람은 또 얼마나 될까?
황순원의 <<소나기>>에 그렇게 많은 꽃이름이 등장하는지 기억하는 사람은?
신경숙의 <<엄마를 부탁해>>에 나오는 장미는?
최명희의 <<혼불>>에서 여뀌는 어떤 의미를 지니는걸까?
나는 이 책을 우리집 서재에 꽂으면서 문학관련서적에 놓을까? 자연(꽃)관련 서적에 놓을까를 잠시 고민했다. 책이 꽃을 다루고 있지만, 야생화의 생태를 다룬 책이 아니라 문학적 의미를 찾으면서 서술된 책이기에 문학서쪽에 놓아야할 것같다고 판단했다. 그러니까, 나는 이 책을 꽃을 소재로 한 문학서로 읽은 것이다.
작가들이 하나의 소재를 선택하는데 있어서도 얼마나 많은 생각과 고민을 하는지, 허투루 쓰인 소재가 하나도 없다는 것에 생각이 미쳤다. 새삼 이 책에 나오는 책들을 다시 읽어야하나 하는 생각마저 들었다. 책을 다시 읽는다면, 저자가 찾았던 그 꽃들을 다시 한번 눈여겨 볼 것이다.
나는 이 책에서 김훈의 <<칼의 노래>>에 대해 쓴 글이 가장 기억에 남는다.
저자는 작가가 쑥부쟁이, 백일홍, 옥수수와 같은 소재를 사용함에 있어서 오류가 있다고 지적한다.
"다만 꽃에 대한 묘사에 몇 가지 오류가 있다. 쑥부쟁이는 초가을부터 피는 꽃이다. 꽃이 피지 않았어도 4월에는 덩굴 속에 사람이 들어가 있을만큼 식물이 자라지 않는다. 백일홍은 초본과 목본 두 가지가 있다. 초본은 원예종인데 화단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꽃이다. 그런데 '허드러지게'라는 표현으로 보아 목본인 배롱나무를 말하는 듯하나 이것도 7~9월에 핀다."(p.203)
"'고하도 수영 둔전에 옥수수가 우거졌다. 옥수수의 긴 잎들이 해풍에 쓸리면서 썰물소리로 서걱거렸다'라는 대목이 있다. 그러나 옥수수는 임진왜란 때 명나라 군사들이 식량으로 가져와 퍼진 것이다. 따라서 왜란 중에 남도의 섬에 옥수수 잎이 무성하기는 어려웠을 것이다." (p.205)
이러한 오류에 대해 김훈 작가는 "그 장면에는 쑥부쟁이가 꼭 나와야하고, 옥수수잎이 서걱거려야하는데 어떻게 하겠느냐"라고 반문을 했다 한다. 작가의 의지에 의해 쓰여진 이러한 표현은 약간의 문학적 오류에 해당한다고 할 수 있다. 모르고 쓴 것이 아니라 의도적으로, 혹은 그 장면에 꼭 필요하여 선택한 소재인 것이다.
어쨌든 나는 저자의 이러한 시도를 통해 몰랐던 것들을 배운다. 문학적허용에 대해서도 생각을 한다.
더불어 이 책 말미에는 작가의 에필로그로 정이현의 <<삼품백화점>>을 소개한다. 부제는 터뜨리지 못한 꽃잎, 개나리. 세월호 침몰로 인해 사회적 분위기가 어수선하다. 1990년대의 슬픈 기억이기도 한 삼품백화점 붕괴사고는 지금 많은 이들이 다시 떠올리는 사고이기도 하다. 책장을 덮으며 생각에 잠기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