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용선생의 시끌벅적 한국사 9 - 일본의 지배에서 해방으로 ㅣ 용선생의 시끌벅적 한국사 9
금현진 지음, 이우일 그림, 배민재 정보글, 조고은 지도, 최병택 외 감수 / 사회평론 / 2013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재미있게 읽은 한국사 책이라면 이제는 당연히 용선생의 시끌벅벅 한국사를 들 수 있을 것 같다. 어린이를 대상으로 한 역사책도 흥미와 관심을 고려하여 문화유물이나 사건, 인물로 특화된 내용을 소재로 한 것이 있고, 이 책처럼 전체를 처음부터 시간 순서대로 훑어주는 책이 있다. 나는 이 두가지를 적절하게 읽혀주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이 책 용선생 시리즈는 1권부터 이번에 새로 나온 9권까지 한국의 역사를 시간순서대로 훑어볼 수 있었다.

보통 역사책을 읽다보면 근대사까지 넘어오지 못하고 다른 책을 읽거나 포기하곤 하는데, 이번에는 근대사를 읽을 수 있었다. 광복이후 계속 터져나오는 일본의 망언들은 지금까지도 여전히 수그러들 줄 모른다. 최근에 또다시 문제가 되고 있는 바, 왜 그러한 말들이 망언일 수 밖에 없는지, 일본은 그 당시 어떤 일을 했는지 우리 어린이들이 알아야 할 필요성을 느낀다.
용선생시리즈의 장점이라면, 재미와 지식을 둘다 잡을 수 있다는 점이다. 어렵지 않게 풀어놓은 근대사를 재미있게 읽을 수 있다.

대한제국의 멸망을 하나의 선 위에 그려놓은 도표는 한눈에 시간순으로 바라 볼 수 있게 해 준다.

그런가하면 조선총독부 청사의 건립과 철거 사진을 보니 예전에 철거되던 당시의 일이 떠오른다. 근대문물의 보존과 역사적 교육가치, 그리고 상징성 때문에 철거냐 보존이냐를 두고 말이 많았던 것으로 기억한다. 어쨌든 조선총독부건물은 철거되었다. 근대는 아무래도 현대와 이어지는 이야기가 많을 수 밖에 없다. 그래서 우리가 근대를 더 잘 알아야하는 것이 아닌가 싶기도 하다.

얼마전에 대마도에 가볼까하는 생각을 한 적이 있었다. 부산에서 가깝기도 하거니와 3만9천원이면 왕복차비가 해결되니 매력적인 해외(?)이다. 거기에 덕혜옹주와 관련된 유적들이 대마도에 있으니 그걸 한번 보는 것도 좋겠다싶었다. 덕혜옹주에 대한 소설이 있었던 것 같은데, 그래서일까? 덕혜옹주는 낯설지 않다. 다만, 역사 속에서 만나는 덕혜옹주를 보니 마음이 아프기도 하다.

일본이 조선에 건설한 철도망들을 보라. 이것만 본다면, 이것을 왜 건설했는지를 모른다면, 그들이 주장하는 것처럼 미개한 조선에 기간산업을 부흥시켜준 것이라고 말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들이 자신들에게 아무 이익이 되지 않는 철도건설을 저렇게까지 열심히 했을까? 그들에게는 대륙으로 나갈 길이 필요했고, 조선의 곡물을 일본으로 가져갈 길이 필요했던 것이다.

우리 역사 속에 등장했던 많은 것들이 현대까지도 이어지는 것이 많다. 그 중에서 일제 강점기 동안 들어온 것이 정말 많다. 강제로 들어온 것이어서 자연소멸한 것도 있지만, 강제였기 때문에 지금까지도 없어지지 않고 반복되는 것들도 있다. 좋은 것도 있지만, 청산해야 할 것이 더 많다는 점은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근대를 대표하는 모던걸과 모던보이. 이들의 등장은 조선복식사에 있어서도 획기적인 변화가 아니었을까 싶다. 저런 복장을 할 수 있었던 사람은 극소수였겠지만, 그랬기에 그들에게는 자랑꺼리가 아니었을까?


수요시위, 평화비 등은 현대에 행해지고 있는 일들이다. 국가가 조직적으로 행했던 일본군 '위안부'를 부정하고, 망언들을 일삼는 일본정부를 향해 우리 할머니들과 손자 손녀들의 외침은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 이제는 그 시절을 증언해주실 많은 할머니들이 돌아가셨지만 언젠가는 그분들의 명예를 회복할 날이 오지 않을까?
근대사를 읽는데에는 무조건적인 받아들임보다는 여전히 비판의 눈으로 바라보아야할 것이 많다. 그 만큼 함께 이야기 나눌 꺼리가 많다는 이야기이기도 하다. 용선생의 신나는 역사수업을 즐겁게 동참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