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그게 뭐 어쨌다고 - 소중한 꿈을 가진 이에게 보내는 김홍신의 인생 절대 메시지
김홍신 지음 / 해냄 / 2011년 11월
평점 :
40대가 되어 뒤돌아보는 나의 2-30대는 참으로 치열하게 살았고, 지금의 상황이 남들보다 특출나거나 잘나진 않았지만 그래도 내가 지나온 시간들에 후회는 없다. 그 당시에는 엄청난 무게로 다가오던 고민들도 지금 생각하면 하나의 덩어리로밖에 인식되지 않는다. 물론 나의 과거가 그때와 다른 길이었다면 지금의 나도 달라졌을 것이다. 그러나 그 길이 지금의 나보다 더 나은 삶이었을 거라 어찌 장담할 수 있을까?
김홍신은 "학력, 재력, 인물, 배경...그게 뭐 어쨌다고?"라고 말한다. 내 삶에 후회가 없다고는 하나 이 말에 선뜻 동의할 수는 없었다. 정말 그런 것들이 아무 관련이 없을까? 내가 꾸는 꿈 앞에 턱 하니 가로막은 장벽들이 바로 저것들이었다. 학력, 재력, 인물, 배경에서 결코 자유로울 수 없었던 것이다. 저자 역시 그것들이 내 삶에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말하는 것은 아닐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희망의 싹을 틔우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하는 것이다.
'1장 방황해도 좋다, 청춘이기에'에서는 젊음은 도전이라고 말한다. 자기 자신을 사랑하는 한 젊은 시절의 방황은 내일을 위한 희망일 수 있다.
'2장 얽매이거나 움츠러들 때 뿌리칠 여섯 가지'에서는 얽매이거나 움츠러들 때 뿌리칠 여섯 가지로 운명, 학력, 두려움, 경제력, 욕망, 죽음을 들고 있다. 정말 뿌리치기 힘든 것이 바로 이것들 아니던가? 지금의 어렵고 힘든 상황이 운명이라고 여기고 내일의 변화를 포기해서는 안된다. 학력이나 경제력 때문에 자신의 가치평가가 달라지는 것을 자주 경험한다. 그러나 이 역시 마음먹기에 달려있다. 저자는 금, 은, 동메달을 딴 선수들의 표정에서 나타난 만족도를 통해 모든 것이 내 마음에 달려있음을 보여준다. 결국 두려움이나 욕망 역시 이것과 관련이 있을 것이다.
'3장 그대, 스스로 세상과 소통하세요'에서는 긍정과 꿈, 자유로움, 희망을 말하며 마음공부를 하고 세상과 소통하기를 권한다. 긍정의 힘이야 두말하면 잔소리, 꿈과 희망이 있다면 그 힘은 더 커질 것은 당연.
'4장 물처럼 유유하고 바람처럼 걸림 없이'에서는 세상과 함께 살아가는 나에 대해 이야기한다. 나를 제 아무리 사랑하고, 나의 마음을 잘 다스린다한들, 세상과 격리되어 살아가지 않는 이상, 다른 이들과 늘 부딪치며 살기 마련이다. 저자가 기차 안에서 만났던, 코고는 아저씨 이야기는 이 역시 마음먹기에 따라 다르게 여겨짐을 알려준다.
'5장 오늘이 내 남은 인생의 첫날입니다'에서는 이 땅의 청춘들에게 주는 여덟 가지 당부와 함께 희망을 가져야 한다고 전한다. 첫째, 사람과 맺은 인연을 소중하게 가꿔야 한다. 개인적으로 나는 人福이 많은 사람이라고 생각한다. 내 인생의 고비마다 나와 인연을 맺은 이들이 나타나 나의 고민을 덜어주었기 때문이다. 사람과의 인연은 언제 어디서든 그 힘을 보여준다. 둘째, 경제적으로 궁핍하지 않도록 쌓으라. 잘 벌고 싶다면 잘 쓸 생각을 하라는 말이 와닿는다. 셋째, 개성에 맞는 일을 찾아 즐겁게 일하라. 넷째, 취미생활을 게을리말고 여행을 통해 세상을 널리 보라. 다섯째, 꾸준히 운동하고 가볍게 먹어라, 여섯째, 웃으면서 재미있게 살아라, 일곱째, 지혜로운 사람이 도리ㅏ, 여덟째 물처럼 유유하고 바람처럼 살아라. 물처럼 모든 걸 사랑하고 보듬으며 바람처럼 자유롭게 살라고 하는데, 사실 이 마지막 당부가 제일 어렵게 여겨지기도 한다.
지금 당장은 힘들고 어렵더라도 지나고보면 그때 그랬지 하고 넘길 수 있는 일들이 많다. 돌이켜 생각하면 그때 왜 그런 걸로 고민을 했을까 하는 생각도 한다. 지나면 아무 것도 아닌 일들로 우리는 많은 시간을 고민하고 힘들어한다. 물론 그런 경험들(실패와 좌절)이 모여서 또다른 성공의 밑거름이 되기도 한다. 실패와 좌절의 시간을 어떻게 이겨낼 것인가? 그것은 바로 긍정과 희망의 힘이다.
* 이 도서는 출판사로부터 제공받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