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워도 괜찮아! - 동물의 겨울나기 네버랜드 생태 그림책 6
슈테펜 발렌토비츠 그림, 모니카 랑에 글, 조국현 옮김, 박시룡 감수 / 시공주니어 / 2004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작년에 한참 읽었던 책. 오늘같이 무더운 여름날, 동물들의 겨울나기 이야기를 읽는 것도 색다른 재미네. (^^)

 

첫 페이지에 여름과 겨울을 비교하는데 여름에 이 책을 펼쳐도 민망하지 않을듯. 이 여름이 자나고 가을이 오면 어떤 동물들은 겨울 양식을 모으고 어떤 동물들은 여행을 떠난다. (사실 어제 본 마당을 나온 암탉 때문에 철새에 대한 책을 다시 한 번 찾아서 읽고 있는 중이다.) 그런가하면 겨울이 오면 추위를 이기기 위해 털옷을 입거나 겨울잠을 자는 동물도 있다. 동물들이 겨울을 날 때 우리가 도움을 주려면 먹이를 매달아두거나 먹이상자를 마련해주면 가능하다. 그렇지만, 삭막한 이 도시에서 할 수 있는 일이 아닌것 같아 조금 아쉽기도 하다. 이 책은 다시 봄이 시작되면서 끝난다.

 

개인적으로 나는 이런 생태그림책이 우리나라의 자연환경과 이야기를 담은 책이 많이 나왔으면 한다.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것, 우리가 직접 실천할 수 있는 방법들, 그리고 도시를 벗어나 접할 수 있는 자연생태계를 찾아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책이 있었으면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매 나간다 - 봉받이 삶을 가꾸는 사람들 꾼.장이 7
이승 지음, 고광삼 그림 / 사파리 / 2009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꾼장이 시리즈 중 '봉받이'에 대한 책이다.

 

'봉받이'는 그 이름이 참 낯설다. 매사냥이나 매를 길들이는 것을 소재로 쓴 소설을 읽어본 적은 있는데 그때는 배경이 우리나라가 아니라 몽골 쪽이었던 것 같다. 우리 나라에서도 매를 받아 부리는 일을 했다는 것을 새삼스럽게 알게 되는 계기가 된 그림책이다.

 

매사냥은 야생 매를 받아 길들여서 꿩을 잡는 겨울철 전통 사냥법이라고 한다. 이 그림책에서는 오랫동안 함께 한 매를 산으로 돌려보내고 손자의 매를 맏는 장면에서 시작된다. 매를 받을 때 필요한 도구는 물론이고 '시치미를 떼다'할 때 '시치미'가 무엇에서 유래되었는지도 알 수 있다. 그러고보면 우리가 시치미 뗀다는 말을 자주 하는데 매사냥에서 비롯된 말이라면 우리나라의 매사냥의 역사가 오래되었음을 알 수 있는것 같다.

 

지금이야 성능좋은 기계의 힘을 빌려 모든 것을 쓸어버리지만, 예전에는 자연의 힘으로 자연을 활용하고 또다시 자연의 품으로 돌려보냄으로써 과하지도 모자라지도 않게, 그리고 자연과 함께 어우러지며 살았다는 생각이 든다.

 

한솔이의 눈길을 끄는 그림은 아니지만, 매사냥의 분위기를 느낄 수 있게 하는 그림인 것 같다.

 

꾼장이 시리즈를 읽다보면 지금은 찾아보기 힘들지만 '꾼'들의 정신은 이어받아야할 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뭐든 후딱후딱 만들어내고, 인간의 욕심을 채우기에만 급급하여 자연을 파괴하고, 다시 되돌려줄줄 모르는 우리들에게 그 옛날 자연과 함께 더불어 살았던 어른들의 지혜, 꾼들의 이야기를 통해 다시 한번 바성해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상을 구한 활 - 궁장 삶을 가꾸는 사람들 꾼.장이 6
선자은 지음, 홍선주 그림 / 사파리 / 2009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꾼장이 시리즈 중 하나로 이번엔 활을 만드는 '궁장'에 대한 이야기이다.

 

'활'과 관련해서는 주몽의 이야기가 대표적이기도 한데, 이 이야기는 활을 사용하는 사람에 대한 것이 아니라 '활을 만드는 사람, 활을 만드는 방법'에 초점을 둔 이야기이다. 활을 만드는 과정을 '신화'처럼 풀어놓았다. 그림이 그렇고 글이 그러하다. 고구려 벽화 속의 인물 그림을 보는 듯한 그림들도 눈길을 끈다.

 

갑자기 나타난 검은 해 때문에 땅과 하늘 사이의 모든 것이 죽어가기 시작하고 활을 쏘아 검은해를 떨어뜨리고자하는데...

 

세상을 구할 활을 만들기 위해 두봉이와 장이는 활의 재료를 찾아나선다. 활은 무엇으로 만들까? 두봉이와 장이를 따라가다보면 활의 재료를 만나게 되는데 활채를 만드는 대나무, 손잡이는 참나무, 고자는 뽕나무, 활시위는 누에가 만든 명주실, 부레로 만든 풀, 활을 단단하게 감쌀 물소의 뿔과 힘줄을 구해서 돌아온 두봉이와 장이. 그런데 이 둘은 그 재료를 다루는 태도는 물론 그 재료로 활을 만드는 과정에서도 다른 모습을 보여준다. 시간과 정성을 들인 활은 검은 해를 떨어뜨리게 되고 세상은 다시 평화롭게 된다.

 

하나의 이야기가 자연스럽게 활의 재료를 구하고 활을 만드는 과정을 보여주고, 재료를 다루고 만드는 과정을 통해 장인의 태도를 보여준다.

 

이야기의 끝부분에는 궁장과 활에 대한 정보(재료와 만드는 과정)를 싣고 있어서 정리하고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자원봉사나가는 어린이도서관에서 초등학생대상으로 도서관학교를 열었는데 오늘 마지막날이었고 나는 두시간짜리 수업을 했다. 느낀점 1 . 요즘 초등학생은 그림을 진짜 잘그린다. 깜짝 놀랐음. 느낀점 2 . 글쓰기는 확실히 차이가 난다. 뒷이야기만들기를 했는데 반전과 예상치못한 결말을 만들어내는 아이가 있는가하면 계속 행복하게 살았습니다 라는 한줄로 끝낸 성의없는아이도 있었다. 부끄러운점 하나 틀린 정보가 적힌 자료집 (수정요청했으나 원인에서 바뀌지 않은) 을 아이들이 방학숙제로 제출한다는데 엉터리라고 할까 부끄럽다. 다음엔 내가 맡은 부분을 미리 좀더 챙겨봐야지 그냥 맡겨두어선 안되겠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하늘바람 2011-08-13 09:5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자원봉사를 하시는군요 그런 님을 보면서 한솔이가 밝고 맑게 자라겠어요

하양물감 2011-08-15 10:09   좋아요 0 | URL
네, 도서관 자원봉사는 아이에게도 저에게도 좋은 일 같아요. 도서관 예절을 지키지 않아 가끔씩 야단을 쳐야 할 때가 있지만요^^
 
미술관에 간 윌리 웅진 세계그림책 25
앤서니 브라운 글 그림, 장미란 옮김 / 웅진주니어 / 2000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 오래전에 한솔이가 보앗던 책이다. 그때는 윌리가 그린 그림을 재미있게 보고 넘겼는데, 이번에는 여러 화가들의 작품을 감상한 후에 이 그림책을 다시 보게 되었다. 최근에 명화엽서책을 볼 일이 있어서 보았는데, 한솔이가 내가 읽는 책 표지에 있던 그림을 기억해내거나, 어떤 그림책에서 비슷한 장면을 본 적이 있다고 말하는 것을 듣고, 이 책을 다시 보여주어야겟다고 생각했다.

 

예전엔 빌려서 읽었기때문에 책이 집에 없어서 얼마전에 구입해두었는데, 이번에 요긴하게 보여줄 수 있게 되었다. 한솔이가 전시회에 가서 본 그림들(특히 요즘 많이 하는 매직아트니, 트릭아트니 하는 것들)과 이야기책에서 본 것, 명화엽서책에서 본 것, 그리고 클래식 음악을 들으며 본 것들을 다시 한번 떠올리면서 이 책을 보았다.

 

그림 속에는 수많은 이야기가 담겨져 있어서 보는 이마다 서로 다른 느낌을 받을 것이다. 물론 미술평론가의 입을 빌어 정보로 유통되기도 하지만 개인의 경험에 의해서 새롭게 각인되는 그림도 있다. 앤서니브라운이 그린 그림은 기존의 그림을 재해석하여 그렸다. 그래서 모티브는 거장들의 작품이지만 이 그림책 속의 그림에는 앤서니브라운의 이야기가 담겨 있다.

 

화가들이 그림 속에 수많은 이야기를 숨겨놓듯 앤서니브라운도 이 그림들 속에 이야기를 그려넣었다. 그걸 읽어내는것은 이 그림책을 보는 또다른 재미이다. 한솔이가 어렸을 때(두, 세살 때) 이 책을 보고 명화들을 직접 찾아보았다면 6살인 지금은 명화를 본 다음 이 그림책을 보며 또하나의 이야기를 만들어낸다.

 

재미있는 그림책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늘바람 2011-08-10 14:5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한솔이는 이런 책도 좋아하나요? 태은이는 새로운 책은 잘 안볼려해서 걱정이에요

하양물감 2011-08-10 18:09   좋아요 0 | URL
한솔이는 특별히 가리는 책은 없어요. 초등학생들이 보는 책도 좋아하고요. 새로운 것일수록 더 좋아하는 경향이 (--) 그래서 새책이 오면 엄청 즐거워하죠...ㅋ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