허둥지둥 바쁜 하루가 좋아 I LOVE 그림책
리처드 스캐리 지음, 원지인 옮김 / 보물창고 / 200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리처드 스캐리의 책을 세번째 본다. '와글와글 낱말이 좋아' '북적북적 우리동네가 좋아' 그리고 이번에 보게 된 '허둥지둥 바쁜 하루가 좋아'이다. 일단, 리처드 스캐리의 책은 그림 속에 정말 많은 정보가 숨어있다. 그 많은 정보를 글로 표현했다면 얼마나 딱딱하고 재미없는 책이 되었을지는 안봐도 뻔하다. 그런데, 그림 속에 제대로 녹여내었다. 외국그림책이다 보니 우리나라 실정과 맞지 않는 것도 있고, 조금 오래된 책이어서 지금은 찾아보기 힘들어진 일도 많이 있지만, 그런 것을 감안하고 책을 즐기면 괜찮다. 아이가 우리 나라의 마을이나 일하는 사람들에 대해 어느 정도 정보를 갖고 있을 때 읽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한다. 그런 정보없이 읽히기에는 조금 저어되는 면이 있다.

한솔이(27개월)가 이 책을 보기에는 조금 어렵다고 생각했는데, 의외로 재미있게 읽는다. 최근에 말이 많이 늘고 자기의사표현이 가능해지면서 그림을 단순히 받아들이는데서 끝나지 않고 '비교와 대조'의 개념을 사용하게 되었다.

나는, 아이에게 개월수에 맞는 책만 보여주지는 않는다. 그냥 제 손에 잡히는 책이라면 같이 읽는 편이다. 물론 그런 가운데 내가 고른 한솔이 연령에 맞는 책을 끼워넣는다. 이 책은 한솔이 연령과는 차이가 나는 책이다. 그런데 아이는 책 속에서 자기가 취할 것은 취하고 버릴 것은 버린다.

북적북적 마을에는 다양한 사람들이 살고 있다. 페이지 가득 많은 사람들이 자기 일을 열심히, 그리고 즐겁게 하고 있다. 이 그림책 한권에 얼마나 많은 정보가 들어있는지 눈이 휘둥그레해질 지경이다. 앞서 본 리처드 스캐리의 책에서 다룬 것들이 구석구석 다시 등장하고 깊이가 더해졌다.

한솔이는 소방차, 경찰차, 구급차를 아주 좋아한다. 결론적으로 보자면 눈에 띄는 색깔과 각기 다른 소리때문에 관심을 끌었을 것이다. 차에서 시작한 관심은, 소방관, 경찰관, 의사 선생님으로 확장되고 이어서 소방서, 경찰서, 병원으로 관심이 이동한다.

이 책에서는, 한솔이가 좋아하는 모든 것이 들어있다. 책 한권을 꼼꼼하게 본다는 것은 의미가 없을 것같다. 한솔이가 좋아하는 것만 골라서 보아도 시간이 훌쩍 지나갈 정도이다. 익살스러운 그림이 아이의 관심을 잡아주니 그것도 좋다.

그리고 이 책에서는 우리 주변에서는 흔히 볼 수 없는 직업에 대해서도 많은 지면이 할애되어 있다. 처음에는 그런 것들이 거슬렸지만, 지금은 건너띄고 조금 시간이 흐른 후에 다시 보면서 이야기해도 될 것 같다는 생각이 들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전호인 2008-10-16 09: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대문에 귀여운 따님이 서재를 더욱 밝게 하는 군요
똥골똥골 귀여운 이미지입니다. ^*^

하양물감 2008-10-16 12:32   좋아요 0 | URL
감사합니다^^ 요즘은 귀엽다기보다는 좀 능글맞습니다만...^^
 
뽀뽀해요 꼬마 사파리 놀이 3
앙뚜완느 기요뻬 글.그림, 이정현 옮김 / 사파리 / 2008년 9월
평점 :
품절


한솔이는 뽀뽀를 시키면, 꼭 입에다 합니다. 볼에다 뽀뽀를 하라고 하면, 언제나 자기 볼을 엄마 볼에 갖다대곤하지요. 손키스를 날리는 것도 곧잘 합니다. 기분이 좋을 때는요.

아이와 함께 뽀뽀를 할 때는, 정말 기분이 다른 것 같아요. 아이와 엄마 사이의 유대감, 일체감은 물론이고, 뽀뽀를 통해 서로의 믿음에 대한 안정감을 느끼는 것 같습니다.

뽀뽀해요, 라는 책의 표지를 보고 의아했습니다. 자기 새끼와 하는 뽀뽀가 아니라, 다른 종들과 하는 뽀뽀 그림이었으니까요. 그렇지만 이 책의 미덕은 바로 그것이 아닐까요? 어쩌면 서로 싸우고, 할퀴는 상대, 함께 어울릴 것 같지 않은 상대와의 뽀뽀를 통해 아름다운 세상을 꿈꾸는 것. 거창하게 말하자면 평화. 라고 해도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뽀뽀를, 사랑해~의 의미로만 생각하다 다양한 의미를 알게 되었습니다. 마음이 따뜻해지는 뽀뽀, 슬픔을 잊게 하는 뽀뽀도 있다는 것을요.

물론 한편으로는 책 전체로 볼 때 약간 어수선하게 느껴지는 점도 있습니다. 누구와 누구의 뽀뽀를 이야기하는가하면, 뽀뽀를 할 때의 느낌을 이야기하기도 하고, 뽀뽀가 주는 의미를 말하기도 합니다. 결론은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뽀뽀는 태어나서 처음 하는 뽀뽀라고 하는 것도 좀 억지스럽구요. 그런 아쉬움이 있기는 하지만, 어느 누구와도 할 수 있고, 어디에서도 할 수 있는 뽀뽀를 통해 세상은 더욱 아름다워질 수 있다는 생각도 하게 합니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순오기 2008-10-14 18:3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어머~ 한솔이 사진이 바뀌었네요~~~ 뽀뽀하고 싶어라!!^^

하양물감 2008-10-16 12:33   좋아요 0 | URL
^^;
 
냠냠냠 꼬마사파리 자연관찰 1
보린 외 지음, 신동준 그림 / 사파리 / 2008년 9월
평점 :
절판


귀여운 달팽이 한마리가 여러가지를 맛있게 먹고, 먹은 것과 같은 색의 똥을 싸면서 흔적을 남기는 그림을 보고 있노라면, 재미가 있습니다.

한솔이가 대소변을 가린 상태에서 똥, 오줌에 대해 알고 있으니 달팽이가 싼 색깔똥을 관심을 갖고 보는 것 같아요. 특히, 요즘은 아이들이 똥을 더럽다고 여기기보다는 당연히 싸야 하는 것으로 여기고, 놀이의 대상으로도 삼기도 하니 이런 식의 표현도 거부감없이 받아들일 수 있는 것 같아요.

이 책은, 예전에 읽었던, [알록달록 애벌레]가 색깔이 있는 음식을 먹으면 몸의 색이 섞여서 변하는 것이라면, 이 책은 먹은 그대로의 색이 나타납니다. 그래서, 순서상으로는 이 책 먼저, 그 다음엔 [알록달록 애벌레]를 보면 좋을 것 같네요.

달팽이가 먹은 음식에 따라 초록똥, 빨간똥, 노란똥, 하얀똥, 까만똥을 싸는데 그 똥색깔과 똑같은 대상이 똥의 주위에 자리하고 있어서 색깔공부를 하면서 같은 색의 사물을 하나로 엮어볼 수도 있습니다.

귀여운 달팽이가 남긴 흔적을 따라 색깔여행을 하기에 좋은 책이네요. 0-3세 아이들에게 딱인 책입니다. 우리 아이도 이것 저것 가리지 않고 맛있게 먹고 잘 컸으면 좋겠네요.


댓글(2)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늘바람 2008-10-15 01:5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 태은이도 사주어야 겠네요

하양물감 2008-10-16 12:32   좋아요 0 | URL
색공부할때 괜찮은거같아요^^
 
뚜깐뎐 푸른도서관 25
이용포 지음 / 푸른책들 / 200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뚜깐뎐이라니, 도대체 뚜깐이 누구일까?

책을 손에 들었을 때 처음 든 생각이다. 아무래도 무슨무슨~전, 하면 대충 떠오르는 인물이 있기 마련인데 이 낯선 이름은 도대체 누구란 말일까? 작가의 상상력으로 태어난 '뚜깐'을 만나기 위해 책을 펼쳐들었다.

지극히 고전의 향기를 풍기는 표지와 제목과는 달리 시작은 2044년. 눈을 깜빡여 컴퓨터를 조작하고 제니와 캐빈이라는 아이가 등장한다. '한글창제 600주년 기념'이라는 뜬금없는 메시지도 당황스럽기만 하다. 뒤이어 제니 엄마의 유품으로 남겨진 '뚜깐뎐' 속으로 들어간 후에는 '뚜깐'의 이야기를 따라가다 보니 이 모든 낯설음이 금방 사라지고 만다.

미래의 우리 아이들의 모습일지도 모르는 제니와 캐빈은 똥뚜깐에서 낳았다고 붙여진 이름 '뚜깐'이 '해문이슬'이라는 아름다운 이름으로 다시 태어나는 과정을 읽으면서, 선머슴같이 뛰어다니던 뚜깐이 자신의 존재의미를 새롭게 변모시키는 것을 본다. 그러면서 자신들의 정체성을 깨닫게 된다.

물론 이 과정에는 우리말과 우리글이 큰 역할을 담당한다. 세종대왕과 집현전학사들이 백성들이 글을 모르는데서 오는 어려움을 해소시켜주기 위해 한글을 만들었다는 것에는 약간의 이견이 있기는 하나, 적어도 한글(언문)이 있어서 사회적 약자들이 자신의 의견을 피력할 수 있는 수단이 생긴 것만은 확실하다. 뚜깐이 살고 있는 시대는, 연산군이 한글사용을 금지하고 한글서책을 불태운 적이 있다는 사실을 소설 속에 끌인 들인 시대이다. 영어 몰입 교육이다, 영어공용화다 말이 많은 요즘과 대치시켜 볼 수도 있겠다. 우리말을 우리글로 표현할 수 있는 것은 큰 행운이다. 뚜깐의 사부가 우리글로 시를 지을 수 있어야 한다고 강조한 것은, 우리글이 우리의 생각과 감정을 가장 잘 표현할 수 있는 수단임을 알고 있기 때문일 터다.

그렇다고 이 소설이 한글사용에 대한 이야기만 하고 있는 것은 아니다. 만약 그랬다면, 소설로서의 재미를 잃어버렸을지도 모른다. 뚜깐이 바우뫼, 세모돌, 뜰에봄을 만나 한글을 배우는 과정, 뚜깐이 서진도령을 맘에 품고 바라보며 애태우기도 하고 배신감을 느끼기도 하는 사랑이야기, 어미의 죽음 앞에서야 지아비와 아버지로서의 모습을 보여준 아비의 모습 등은 재미와 애달픔을 동시에 느끼게 해준다.

그리고 이 책을 읽는 즐거움은, 장의 첫머리마다 있는 해문이슬의 시와, 등장인물들이 구성지게 풀어내는 사투리에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닐 듯하다. 한글이 아니라면 그 정겨운 사투리의 맛깔 나는 표현을 어떻게 담아낼 수 있을까? 그리고 해문이슬의 시가 주는 느낌을 얼마나 전해줄 수 있을까? 국제적인 의사소통을 위한 도구로서 영어가 필요하다는데 대해서는 이견이 없지만, 이 땅에서 나고 자란 우리의 감성을 표현하고 자신의 존재의미를 찾는 데는 우리글만한 것이 있을까라는 생각을 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생각하는 ABC - 이보나 흐미엘레프스카의 그림사전 그림책은 내 친구 15
이지원 기획, 이보나 흐미엘레프스카 그림 / 논장 / 2006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한솔이에게 영어를 접하게 해주고 싶어서 영어동요를 들려주고 있다. 사실, 지금이 한참 한국어 어휘가 늘고 있는 중이라 영어때문에 혼란이 생기지는 않을까 걱정스러운 것도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영어를 들이밀 수 밖에 없는 것은, 엄마의 조급함때문이라고만은 할 수 없을 것이다.

나는 한솔이가 영어에 대한 부담을 갖지 않기를 바란다. 그냥, 늘 듣는 한국어처럼 영어도 그런 말 중에 하나라는 걸 알았으면 한다.

요즘 한솔이 할머니가 알파벳을 공부하고 있다. 사실 정확하게 말하자면 4년 넘도록 공부중이시다. (알파벳만!!!) 아직도 R과 L을 구분못하신다. 그래서 요즘은 어린이용 교구를 가지고 들으면서 글자 맞추기를 하고 있는데, 꽤 재미있으신가보다. (할머니가 알파벳을 공부하는 이유는, 정년퇴직 후에 임시직으로 일을 하고 계신데, 알파벳을 읽어야 (단어가 아니라 말 그대로 알파벳이다) 할 일이 있기 때문이다. 그 옆에서 한솔이가 기웃거리더니 관심을 보였다.

그래서, 이런 책은 어떨까 싶어서 구입하게 되었다. 알파벳을 그림을 표현하고 거기에 그 알파벳이 들어간 단어까지 알 수 있게 만들어진 책이다. 영어그림사전이라고 해도 무방할 듯하다. 일단, 한솔이가 이 책에 관심을 많이 보인다. 나는, 그것만으로도 이 책을 구입한 의의를 찾았다고 생각한다. 스스로 이 책을 꺼내들고 한장 한장 넘기면서 보는 모습은 귀엽기만 하다.

ABC를 알아가는 중에 자연스럽게 해당 알파벳이 들어간 단어를 익힐 수 있게 되어있는데, 한솔이는 그 정도까지는 하지 못한다. 예를 들어 D를 보면, 뼈다귀와 개를 합쳐서 D의 모양으로 그려놓았는데 한솔이는 'D'라고 읽고는 '멍멍이'라고 말한다. 또 나뭇가지에 고릴라가 매달려 있는 모습을 보고 'G'라고 읽고 '고릴라'라고 말한다. 나는 그것을 DOG나 GORILLA라고 가르쳐주지 않는다. 아직은 영어단어보다는 한국어단어 어휘를 늘리는데 중점을 두고 싶기 때문이다.

그래도 나는 만족한다. 아이가 이 책을 스스로 꺼내들고 와서 한장 한장 넘기는게 귀엽고 예쁘다. 그림을 보면서 자기가 그걸 안다는 사실에 즐거워하는 모습이 좋다. 나는 아이가 관심을 갖는 것만으로 기뻐한다. 재미있게 즐기지 않으면 모든 것이 의미가 없다.

그리고 엄마와 함께 이 책을 보는 동안, 그림을 가지고 많은 이야기를 나눌 수 있을 것 같다. 그림들이 하나하나 신경을 쓴 게 보인다. 거울에 비친 M을 보고 거울놀이를 하고, 아빠 엄마와 손을 잡고 있는 아이의 그림을 보면서 P와 PARENTS를 이야기한다. 한참을 봐도 좋을 책인 것 같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비로그인 2010-10-14 10:0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이 작가의 새로운 상상그림책 <문제가 생겼어요!>가
최근에 출간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