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첸의 세계명화비밀탐사 탐사와 산책 8
모니카 봄 두첸 지음, 김현우 옮김 / 생각의나무 / 2002년 4월
평점 :
절판


제목처럼 거창하게 무슨 큰 비밀을 밝힌건 아니고 잘알려져 있는 그림들에 대한 이런저런 이야기들을 모아놓았다고 할 수 있다.

이 책에서 서술하고 있는 작품은 8개다. 미켈란젤로의 다비드, 레오나르도 다 빈치의 모나리자, 고야의 1808년 5월 3일, 마네의 올랭피아, 고흐의 해바라기, 뭉크의 절규, 피카소의 아비뇽의 처녀들, 잭슨 플록의 가을의 리듬. 이들에서 알 수 있듯이 이 책에서 대상으로 하고 있는 그림들은 너무 유명해서 일종의 그 자체가 문화적 아이콘이 되어버린 작품들에 대한 이야기다. 각각의 작품들이 탄생하게 된 과정과 화가의 이야기, 그리고 그 작품이 하나의 아이콘이 되어가는 과정에 대해서 이런 저런 자료들을 모아 서술해놓았다. 하지만 특별히 새로운 것은 없고 대부분 기존의 여러 책들에서 얘기되어진 것들이라 신선도는 떨어진다.

읽기는 편했고 또 워낙에 유명한 그림들이다 보니까 몇가지 호기심도 충족시킬 수 있었고... 미술에 이제 관심을 가지기 시작한 사람이라면 재밌게 볼수 있을 것 같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박사가 사랑한 수식
오가와 요코 지음, 김난주 옮김 / 이레 / 2004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나는 흔히 사람들이 가슴이 따뜻해지는 이야기라고 말하는 책들을 별로 안좋아한다. 딱 집어서 말하라면 '좋은 생각'류의 글이나 TV에서 하는 행복한 동화류의 이야기들 말이다. 왜냐고... 글쎄... 난 별로 착하게 살고 싶지 않은데 자꾸 나보고 착하게 살라고 강요하는 것 같기도 하고, 또 그런류의 글들이 강제로 사람의 감정을 짜내는 것 같아서 인것 같다. 그런데 사람이란게 참 웃기는 존재라서 말은 그렇게 하면서도 또 따뜻한 얘기를 들으면 새삼스럽게 감동하기도 하고 눈물을 찔끔거리기도 하고...쯧쯧...

이 책은 전형적인 그런 가슴이 따뜻해지는 이야기다. 영화 '레인맨'같은 분위기랄까? 교통사고 이후 기억이 80분밖에 지속되지 않는 나이든 수학교수와 그의 젊은 미혼모 가정부, 그리고 그녀의 아들이 서로 80분의 관계를 맺고 그 관계속에서 정을 쌓아나가는 그런 이야기다. 사람이 살아가면서 늘 있을법한 그만그만한 사건들이 있고 위기들도 있고 아이의 성장담도 있고...

제일 좋은 건 사람의 감정을 억지로 짜내지 않는다는데 있는 것 같다. 책은 시종일관 담담하게 이들의 일상을 ?아간다. 결론 역시 담담하다. 그러나 오히려 그 담담함이 더 따뜻함으로 다가온다.

보너스 하나! 이 책의 숨은 매력은 전직 수학교수가 가정부와 그녀의 아들을 만날 때 마다 늘어놓는 수에 관한 이야기. 수학이 얼마나 아름다운 학문일수 있는지 경이롭기 까지 하다. 이 느낌은 내가 수학을 좋아해서 그런건지 알 수는 없지만 이 소설을 들여다 보고 있으면 옛날 수학책을 꺼내 다시 보고 싶은 황당한 생각이 든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kleinsusun 2004-12-23 13:0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읽어봐야 겠어요. 따뜻한 이야기라서가 아니라 수학이 얼마나 아름다운 학문인지 느끼기 위해서.... 전 아직까지도 "수학 Forbia" 가 있어요. 고등학교 때 수학시험 때 시간이 모잘라 몇문제를 못푼 일도 많았고, 제가 참 수학을 못했었거든요.

그래서 대학을 가고 나서도 처음 얼마 동안은 수학 문제를 다 못풀었는데 종이 치는 꿈을 꿔서 자다 깨곤했어요. 수학이란 그런 강박관념을 주는 "산수"가 아닌 것 같은데, 그 아름다움을 만난 적이 없거든요. 잘 읽고 갑니다.
 
사요나라, 갱들이여
다카하시 겐이치로 지음, 이승진 옮김 / 향연 / 2004년 8월
평점 :
구판절판


꽤 큰 기대를 가지고 책을 읽기 시작했다. 1부, 2부, 3부를 다 읽고 책을 덮을 때까지 정말 혼란스럽다. 도대체가 뭘 말하자는 건지.... 1,2,3부의 연관관계는 뭔지.... 도통 뭐가 뭔지 알 수 가 없었다. 다른 책보다 훨씬 긴 저자 약력까지 샅샅이 읽고 역자의 소개글까지 다 읽었다. 단서가 될 만한 말 한마디. 이 책이 일본 학생운동세력이었던 전공투의 최후의 종말을 가져온 '아사마 산장 사건'을 배경으로 한다는 것, 그리고 저자 역시 전공투 세대였을뿐만 아니라 전공투의 종말 이후 10년간이나 실어증에 걸렸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결국 전공투에 대한 자료들을 이것 저것 뒤지면서 책을 다시 읽어보기 시작했다. 결론적으로 '아사마 산장 사건'을 잠시 잊어도 된다는 역자의 말은 전혀 아니었다. 물론 문학을 전공한다는 사람들은 이 책의 독특한 문체나 구성 같은 것에서 뭔가 의미를 끄집어 낼 수 있는지 모르겠지만 평범한 나같은 독자들에게는 그래도 적어도 책의 내용이 뭘 말하는지는 이해가 되어야 하지 않겠는가? 그런 의미에서 전공투나 아사마 산장 사건을 빼놓고 이 책을 이해한다는 건 거의 불가능 할 것 같다.

1968년 대규모의 좌파운동이 온 유럽을 휩쓸고 있을 때 일본 역시 학생운동에서 전공투(일본 대학생들의 연합조직이었던 전국학생 공동 투쟁회의의 준말이다.)가 결성되고 세계적인 흐름과 발을 같이 하게된다. 우리의 80년대가 그러했던것처럼 어쩌면 그보다도 더 이들의 투쟁은 폭발적이었고 점점 더 격렬해졌다. 결국 게릴라전의 성격을 띠고 무장투쟁으로까지 나아갔으나 강력한 탄압에 의해 거의 무력화되었고 마지막 남은 전공투원들은 1972년 2월 아사마 산장에서 산장사람들을 인질로 잡고 인질극을 벌이다 결국 모두 죽게되었다. 일본 학생운동의 끝은 다른 어떤 지역과도 다른 처절한 비극이었다. 더 큰 비극은 이들 세대의 주장이나 사상이 그 이후 일본 사회에서 거의 잊혀졌다는데 있는 것 같다. 유럽의 68세대나 우리나라의 386세대들이 이후 사회의 변화속에서 별 무리없이 섞여 들어가고 일부는 주류사회로 진출하고(우리나라에서는 국회의원까지 대거 진출하고 있지 않은가? 물론 그들이 잘하고 있는 것 같지는 않지만...), 또 그 세대들의 이념이 적어도 후대 사회에서 전적으로는 아니더라도 긍정적으로 받아들여지기까지 한 것과는 다르게 말이다.  완전히 잊혀진 세대가 된다는 것, 그들 세대 전체가 가지는 허무감은 어떤 것일까? 사요나라 갱들이여는 바로 그런 세대에 대한 비가(悲歌)이다.

책을 다시 들춰보자. 1부의 내용은 남자와 여자가 만나 서로 이름을 지어주고 아이를 낳고 그리고 그 아이가 죽게되는데서 끝난다. 일본 전공투가 싸웠던건 세계의 제국주의적 재편과 그 속에서 교육에 행해병?고도의 관리주의적 체제였다. 그런 관리와 자본의 간섭속에서 젊은 그들이 느꼈을 절벽과 그 속에서 벗어나고 싶은 몸부림, 그러나 미약한몸부림이 느껴졌다. 이 책을 보고 있으면 감수성 예민하고 섬세한 지나치게 순수한 한 청년의 모습이 그려진다. 아마도 작가 자신이리라. 그런 그가 바라는 '시(詩)적인 감수성을 마음껏 표현할 수 있는 세상이 2부의 모습이 아닐까? 비록 초라해보일지라도 말이다.3부의 내용은 거의 '아사마 산장 사건'에 대한 재현으로 볼 수 있다. 물론 사실적인 재현은 아니다. 상징적이고 은유적인 짧은 문장들속에 그것은 꼭꼭 숨어있다.

흔히 후일담소설들이 잘 빠져드는 감상주의나 전날에 대한 지나친 낭만화에서 이 소설은 비켜간다. 그저 담담히 자신을 잊지는 말아달라는 Ÿ셉떳?같다. 그래서 더 이 글이 슬프게 다가온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05-03-31 12:53   URL
비밀 댓글입니다.

바람돌이 2005-04-03 13:20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유식하다니요? 부끄럽게.... 전 정말 이 책을 읽고도 뭔 말인지 도저히 알 수가 없어서 이 책이 일본 전공투의 마지막을 배경으로 하고 있다는 얘길 들은걸 토대로 이 책 저책 Ÿ贄틤?것 뿐이랍니다. 그러고도 몇날을 다시 읽으며 뭘 말하는걸까를 고민하고서야 겨우 이정도의 생각에 이른건데..... 근데 이렇게 보는게 맞는지도 사실은 잘 모르겠답니다.
 
 전출처 : 심상이최고야 > 올 여름에 가고 싶은 곳

올 여름에 꼭 가고 싶은 곳 

< 오대산 자생식물원 >


약 2000 평 정도의 벌개미취 동산

 


걷 고  싶 은  꽃 길

 


산 토 끼 꽃

 


습 지 원 에  핀  수 련

 


오 대 산  전 나 무  오 솔 길

 


자 생 식 물 원  근 처  허 브 농 장

 


물 방 울 과  잎 사 귀

 


봉 평  인 근  메 밀 밭

 

**Daum에서 놀다가 우연히 여행/항공 컨텐츠로 들어오게 되었다. 
요즘은 이상하게도 수목원, 숲길, 꽃길들이 너무 땡긴다. 그런 풍경을 찍어놓은 사진들을 보면 가슴이 마구 설렌다. 그리고 조만간에 꼭 가고 싶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 
우와~ 보기만 해도 기분이 좋은데 진짜 땅을 밟고 공기를 마시고 눈으로 즐기게 된다면 그 짜릿함이란!!!!!!!!!

(위의 사진들은 Daum 까페 '화니와 함께하는 여행'에서 발췌했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왕의 정부
엘리노어 허먼 지음, 박아람 옮김 / 생각의나무 / 2004년 8월
평점 :
품절


대부분의 제대로 된 역사서들은 여성의 이야기를 하지 않는다. 왜냐고.... 할 얘기가 없기 때문이다. 역사학계에서 제대로 쳐주는 분야들, 정치, 경제,문화 등에는 극히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하고 여성이 끼여들 여지는 없다. 이게 여성의 탓이 아님은 알만한 사람은 다 알리라


그러다 보니 여성에 관한 얘기는 늘 어린이용 이야기책 수준 아니면 궁중의 behind 스토리 위주다. 그 behind 스토리의 대표주자로 옛날 우리 나라엔 '왕비 열전'이 있었다(지금도 있나? 글쎄~) 지금은 구경하기도 힘든데 어쨌든 난 고3겨울 방학에 그걸 다 읽었었다. 엄청나게 빽빽한 글씨에 두께도 상당했던 것 같은데 - 처음엔 꽤 야한 맛에 열심히 봤지만 나중에 20여권을 넘어서면서는 한번 시작한 책은 반드시 끝낸다는 신조를 지키기 위해 대단한 인내력으로 봤던 기억이 난다. 어쨌든 나의 역사상식은 이 책에서 많은걸 빚지게 되었다. 대부분이 별 쓸모가 없다는게 문제였지만...


그런데 이 책도 거의 서양의 왕비열전 수준이다. 물론 똑같다고야 할 수없고 여러가지 사료적인 노력이나 이것 저것 분류의 학문적인 노력을 한 것 정도는 인정해줄수도 있으나 그정도야 자기 이름으로 책을 내는 사람의 기본이지 딱히 인정해줘야 할 부분은 아닌 것 같고....


재밌게는 읽었다. 역시 뒤에는 좀 지겨웠지만.... 그러나 왕의 정부들에 대한 학문적인 분석이나 역사적인 판단이나 시대적인 상황이나 이런건 기대하지 마시라. 본격적인 역사서라고 얘기하기는 좀 힘들다.


언제쯤이면 이 시대의 여성상을 제대로 복원해내는 제대로 된 역사서를 볼 수 있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