맛있는 들풀
마루야마 나오토시 지음, 김창원 옮김, 타카모리 토시오 그림 / 진선북스(진선출판사) / 2007년 2월
품절


봄이 성큼 다가온 요즘 같은 날이면 나들이 가고 싶은 맘이 굴뚝이다.
아이들과 '맛있는 들풀'이란 책을 들고 들풀 찾으러 간다.
먼저 책을 쭈욱 살핀다.


그리고 책을 들고 나섰다.
가장 먼저 발견한 황새냉이를 두고 옥신각신!
책속의 그림과 조금 다른거 같다고 둘이서 맞다 아니다 야단이 났다.
사실 이 꽃은 얼마전에도 공원에서 가장 먼저
얼굴 내민 꽃이었던 걸로 기억하는데
들꽃은 좋아하지만 꽃이름 잘 모르는 엄마는 참 반가웠다.
그리고는 쑥이랑 토끼풀만 이름이 나와 있고
다른 것들은 없어서 뒷산에 오르기로 했다.

우리 아파트 바로 뒤엔 멋진 동산이 있다.
책을 들고 나들이 하는 기분이란 참 ...
하지만 아직 이른 봄이어서 인지 책속의 들풀들은
눈에 잘 띄지 않았다.
그래도 열심히 찾는 아이들!

드디어 아들아이가 하나 찾았다.
열심히 책을 뒤적거리더니 비슷한 것을 발견 !
엄마가 보기에도 냉이 같은데 책 속 그림과
비슷하기는 한데 다른거 같기도 하고
엄마인 나도 헷갈린다.

그래서 아예 뿌리채 뽑아서 비교해 보기도한다.
하지만 뿌리까지 자세히 나와있지 않은
그림들이 아쉬움을 남긴다.

하지만 책속엔 길가, 산 , 들, 바닷가, 숲에서 볼 수 있는
먹을 수 있는 것과 없는 들풀들을
여린싹과 다 자란 모습을 앞뒤로 잘 비교해 볼 수 있도록
배치해 놓았다.

그리고 이상하고 재미난 이름들의 들풀들이 참 많기도 하다.
아들은 이름이 왜 이렇게 웃기냐고 마구 웃는다.
'방가지똥, 개보리뺑이, 뚱딴지,갯방풍' 등등,,
이것들 중 뽕나무를 보더니 자기도 안다고 큰소리다.
실은 한두해전 우리 집 앞에 이 나무가 있었던 덕분이다.

그리고 딸아이는 일년내내 먹을 수 있는 들풀중에 토끼풀을 보더니 의아해 한다.
이유인즉슨 강아지들이 똥싸고 오줌싸는 우리 아파트 화단을 떠올린 탓이란다.
꽃을 먹는다는 말에도 살짝 반감을 가지는 아이들! 꽃을 어떻게 먹어?
하더니 제주도에서 진달래 꽃을 따먹은 기억을 떠올리며 끄덕끄덕!


그리고 뜻하지 않게 이 책 덕분에 뒷동산의 새로워진 모습을 발견하고
탐험을 하듯 동산을 휘 둘러 보게 되었다.
주민들위해 만은 운동기구와 계단가 평탄한 길들을 오르 내릴 수 있도록
만들어 놓은 길을 걸으며
책은 참 길을 알려 주는 마법사 같다는 생각을 한다.
특히나 이렇게 직접 들고 나설 수 있는 도감책의 경우!
하지만 우리 작가의 우리 들판이 아니란 사실은 아주 많이 아쉬움이 남는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빨간 줄무늬 바지 보림 창작 그림책
채인선 지음, 이진아 그림 / 보림 / 2007년 2월
장바구니담기


맨처음 해빈이란 아이가 입었던 빨간 줄무늬 바지를
동생이 물려 입고 또 사촌이 물려 입으면서 모양이 조금씩 변해간다.
인형을 달아 주었다가 딸기 단추를 달아 주었다가
축구공 모양을 붙여 주었다가 멜빵바지로 변신
나중에는 발레복으로 까지 재활용을 하게 되는데
참으로 끝이 없을것만 같은 신기한 이야기이다.


알뜰한 주부들이라면 한번쯤 아니 그이상 동생에게 언니나 누나의 것을
물려 입히지 않았을까?
이렇게 마지막엔 너무 작아져 더 이상 입지 못하는 옷을
토끼 인형에게 입히고 아직도 끝나지 않은 이야기라고 한다.
정말 이처럼 아이들의 옷이 더이상 입을 수 없을때
덩치큰 곰돌이 인형에게 입힌 기억이난다.


바로 이 분홍 나시티를 입은 아들아이의 사진이 그 증거물이다.
아주 어려 아직 돌이 되지 않았을때 네살 터울 누나가 입던
분홍 나시티를 그냥 입히게 되었는데 저렇게 그네를 타고 잠이 든 모습의 사진을 발견하고 그때가 떠올라 미소를 지었다.
지금 11살이 된 아들에게 이 사진을 보여주며
너도 누나옷 이렇게 물려 입었었단다 하고 말해 주니
왜 남자인 자기에게 분홍옷을 입혔냐며 창피하단다.
하지만 어려서 아무것도 모르던 때라 참 다행이라 여기는데..
사실 더 많이 누나옷을 물려 입혔단 것을 말하지 못했다.
실은 겨울 내복중엔 아직도 물려 입는것이 있는데...

책속에는 참 좋은 아이디어인 빨간바지 바느질 본이 들어 있다.
아들에게 한번 해 보겠냐고 했더니 그런단다. 짜식~!
바늘에 찔릴까봐 어찌나 조심조심 바느질을 하는지
한참에야 끝낼 수 있었는데 솜을 집어 넣으면서는
또 마구 마구 쑤셔 넣어도 자꾸만 들어 가는 솜이 너무 신기하다고
계속 쑤셔 넣고 있다.

그리고 창구멍은 엄마의 센스!
참 뚱뚱한 인형이 되어 버렸는데 아이의 정성이 들어가서인지
너무너무 사랑스러웠다.
토끼의 빨간 줄무늬 바지가 다시 이렇게 아이의 손에 의해
재활용 된다고 생각하니 아이가 책속의 주인공이 된듯 여겨지나 보다.

이건 엄마에게 선물한단다.
엄마 휴대폰 보다 더 큰 인형이 조금 부담스럽지만
달랑 달랑 거리는 인형을 볼때마다 아이의 바느질 하는 모습이 떠올라
그저 행복한 미소만 짓게 될듯하다.
그리고 저 인형이 또 어떻게 재활용이 될까?


댓글(3)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뽀송이 2007-03-16 19: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_*
와~우^^ 넘!! 멋져요!!
더 많이 누나옷을 물려 입혔단 말은 하지 마셔요.^^;;;;;

행복희망꿈 2007-03-16 20: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정말 멋진 아드님 이네요.

책방꽃방 2007-03-17 08:48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네!
그치만 내복은 알아채더라구요! 감사^^
 
 전출처 : 뽀송이 > [퍼온글] 노벨연구소가 선정한 세계문학 100대 작품

출처:http://blog.naver.com/th3030/120003995291

- 역사상 최고소설, <돈키호테> -

중세 말 17세기 기사계급의 몰락을 풍자적으로 그린 <돈키호테>가 역사상 최고의 소설로 뽑혔다고 영국 BBC방송이 2002년 5월 7일 보도했다. 노르웨이의 노벨 연구소와 북 클럽스가 세계 50여개국 출신 100명의 유명작가에게 설문조사를 한 결과 스페인 출신 미겔 데 세르반테스의 돈키호테가 50%가 넘는 득표율로 이 같은 영예를 안았다고 방송은 전했다. 세르반테스는 문학에 맞는 문체를 완성했으며 돈키호테는 세계문학의 첫번째 위대한 소설이라는 평을 받아왔다.

이번 설문에 참가한 작가는 살만 루슈디(인도)와 노먼 메일러(미국), 밀란 쿤데라(체코), 카를로스 푸엔테스(멕시코) 등 거장들이다. 노벨 연구소 등은 이들 작가에게 세계문학에서 가장 중요하고 중심적인 소설 10편씩을 꼽아달라고 부탁했으며 이를 토대로 최고작품 및 100대 작품을 선정했다.

러시아의 문호 도스토예프스키는 이 가운데 가장 많은 4편의 작품이 올랐으며 윌리엄 셰익스피어(영국)와 프란츠 카프카(체코), 톨스토이(러시아)가 3편으로 뒤를 이었다. 이밖에 구스타브 플로베르(프랑스)가르시아 마르케스(콜롬비아), 호머(고대 그리스), 토마스 만(독일), 버지니아 울프(영국) 등도 2편씩 포함됐다.

아래는 노벨연구소가 세계적인 작가에게 의뢰하여 선정한 100대 작품목록이다.

- 그리스 -

호메로스, <일리아드>, <오디세이>
소포클레스, <오이디푸스 왕>
에우리피데스, <메데아>
카잔차키스, <그리스인 조르바>


 

 

 

 

 

- 이탈리아 -

오비디우스, <변신 이야기>
베르길리우스, <아에네이드>
단테, <신곡>
보카치오, <데카메론>
지아코모 레오파르디의 '시집'
이탈로 스베보, <제노의 고백>
엘자 모란테, <이야기>


 

 

 

 

- 프랑스 -

프랑수아 라블레, <가르강튀아와 팡타그뤼엘>
몽테뉴, <수상록>
디드로, <운명론자 자크>
스탕달, <적과 흑>
발자크, <고리오 영감>
플로베르, <마담 보바리> <감정교육>
마르셀 프루스트, <잃어버린 시간을 찾아서>
루이-페르디낭 셀린, <밤의 끝으로 여행을>
알베르 카뮈, <이방인>
사무엘 베케트, <삼부작 : ­몰로이 · 말론 죽다 · 이름붙일 수 없는 것>
마르그리트 유르스나르, <하드리아누스의 회상록>

 

 

 

 

 

 

- 영국 -

초서, <켄터베리 이야기>
조나단 스위프트, <걸리버 여행기>
윌리엄 셰익스피어, <햄릿> <리어왕> <오델로>
로렌스 스턴, <트리스트럼 샌디의 삶과 의견>
에밀리 브론테, <폭풍의 언덕>
조지 엘리어트, <미들마치>
제인 오스틴, <오만과 편견>
찰스 디킨즈, <위대한 유산>
로렌스, <아들과 연인>
제임스 조이스, <율리시즈>
버지니아 울프, <델러웨이 부인> <등대로>
조셉 콘라드, <노스트로모>
조지 오웰, <1984>
도리스 레싱, <황금 노트>
살만 루시디, <한밤의 아이들>

 

 

 

 

 

 

 

- 아일랜드 -

<니알의 사가(saga)>
할도어 렉스네스, <해방된 민중>

- 독일 -

괴테, <파우스트>
토마스 만, <붓덴부르크 일가> <마의 산>
카프카, '단편', <심판> <성>
되블린, <베를린 알렉산더 광장>
로베르트 무질, <특성 없는 남자>
파울 첼란의 '시집'
귄터 그라스, <양철북>



 

 

 

 

- 러시아 -

고골리, <죽은 혼>
레오 톨스토이, <전쟁과 평화> <안나 카레리나> <이반 일리치의 죽음> 외
도스토예프스키, <죄와 벌> <백치> <악령> <카라마조프가 형제들>
안톤 체호프, <단편선>

 

 

 

 

 

 

 

- 포르투갈 -

페르난도 페소아, <근심의 書>
주제 사라마구, <눈먼 자들의 도시>  

 

 

 

 

- 스페인 -

로르카, <집시의 노래>
세르반테스, <돈 키호테>

- 미국 -

허만 멜빌, <모비딕>
마크 트웨인, <허클베리 핀의 모험>
에드가 앨런 포, <단편전집>
월트 휘트먼, <풀잎>
헤밍웨이, <노인과 바다>
포크너, <압살롬 압살롬> <음향과 분노>
블라디미르 나보코프, <롤리타>
랄프 엘리슨, <보이지 않는 인간>
토니 모리슨, <당신>

 

 

 

 

 

-북유럽 -

안데르센, <동화집>(덴마크)
입센, <인형의 집>(노르웨이)
크누트 함순, <굶주림>(노르웨이)
아스트리드 린드그렌, <말괄량이 피피>(스웨덴)

 

 

 

 

- 아시아 -

루쉰, '소설집'(중국)
<마하브하라타>(인도)
발미키, <라마야나>(인도)
칼리다사, <사쿤탈라>(인도)
시키부 무라사키, <겐지 이야기>(일본)
가와바타 야스나리, <설국>(일본)


 

 

 

 

- 아프리카 -

타예브 살리흐, <북쪽으로 가는 계절>(수단)
치누아 아체베, <모든 것은 무너진다>(나이지리아)

 

 



 

 

 

- 라틴아메리카 -

후안 룰포, <페드로 마라모>(멕시코)
보르헤스, <단편집>(아르헨티나)
마르케스, <백년동안의 고독> <콜레라 시대의 사랑>(콜롬비아)
호아오 귀마레스 로사, <오지에서의 곤경>(브라질)


 

 

 

 

- 아랍권 -

<길가메쉬 서사시>(메소포타미아)
<천야일야>(페르시아)
<욥기>(이스라엘)
자랄 앗-딘 루미, <마트흐나위>(이란)
세이크 무스하리프 웃-딘 사디, <과수원>(이란)
나지브 마흐푸즈, <우리 동네 아이들>(이집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십장생을 찾아서
최향랑 글.그림 / 창비 / 200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전 이 책에 홀딱 반했습니다.
그래서 제가 책을 읽고 아이들에게 마구 자랑을 했답니다.
우리 딸아이는 이런 엄마가 이상하다고 생각이 되는지 웃네요!
 
우리 전통물건들을 이용한 이런 책을 많이 나올수록 참 좋다는 생각입니다.
왜냐구요?
그 속에 담긴 조상님들의 깊은 뜻이 나도 모르게 내 맘속에 스르륵 스며들지요
혹은 그들과 이야기도 나눌 수 있으니 말이죠!
그럼 책속 주인공과 함께 학을 타고 날아 올라 볼까요?
물론 빨간 주머니도 잊지 말아야죠!
물론 할아버지의 쾌유를 비는 간절한 맘을 담아서 훨훨~!
 
할아버지와 오래오래 함께 하고 싶은 아이의 마음이 참 이쁩니다.
그리고 하나하나 만나게 되는 십장생속의 주인공들!
그들의 바램도 하나같이 불노장생하는 것이겠지요!
그래서일까요?
하나하나 모아 빨간주머니에 담을때마다 그 주머니가 정말 특별해 집니다.
작지만 그 빨간주머니속에 담을 수 있는 것들은 열가지 오래 오래 살 수 있는
할아버지를 살릴수 있는 약처럼 참으로 소중합니다.
 
책을 펼치면 그림 하나하나가 살아있는듯 여겨져
마음속 오래 묵은 것들이 싹을 틔우는 느낌이 듭니다.
빨간 주머니 속에서 학이 나타났을때는 아이와 함께 나도 깜짝놀랍니다.
날개 하나하나 손으로 바느질을 한 자국이 수를 놓은 자국이 너무너무 정겹습니다.
정말이지 색동빗살을 가진 화끈한 햇님도 너무 강렬합니다.
그리고 언제나 푸르른 소나무의 굽어진 나뭇가지에 나도 살짝 앉아 봅니다.
와삭와삭 자개장 대나무 잎을 먹는 사슴과 꽃과 다른것들이 반짝반짝 갖고 싶은 맘이굴뚝입니다.
헝겊조각 덧대고 수를 놓은 불로초! 나두 아이따라 빨간 주머니속에 담습니다.
출렁출렁 누비이불 바다는 드러 ‡떠?싶을정도로 포근해 보입니다. 거북이가 고맙습니다.
이제 높은 산봉우리에 올라 구름을 잡아 타고 할아버지에게 갑니다.
 
과연 우리 할아버지는 오래오래 살 수 있을까요?
네!
바로 빨간 주머니속 오래오래 죽지 않을 십장생처럼 아이의 맘속에 오래 오래 살아계십니다.
 
그리고 작가의 말을 읽고는 이 책이 볼수록 더 소중해지는 이유를 알았습니다.
한땀한땀 바느질과  그림 한점 한점이 2년여간 들인 작가의 정성어린 오래오래 남을 책이기 때문입니다.
원화를 보고 싶은 마음이 너무너무 간절해지는 책입니다.
학의 날개만이라도 진짜 천을 덧댄 것이었더라면 우리 작은 아이들에게 더 좋은 책이 되었을거 같다는 욕심이 듭니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뽀송이 2007-03-15 15:4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_*
이 책 추천하는 분들이 많으시더라구요.^^
정성을 쏟은 만큼... 귀한 책이 만들어지는 것 같아요.^^;;
저도 소장하고 싶은 책이예요.^^
 
진실을 배반한 과학자들 - 되풀이되는 연구 부정과 '자기검증'이라는 환상
니콜라스 웨이드.윌리엄 브로드 지음, 김동광 옮김 / 미래인(미래M&B,미래엠앤비) / 2007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가끔 주위를 둘러 보면 나는 너무나 과학적인 세상속에 사는듯하지만 그것들을 제대로 잘 누리고 살지 못할때가 많다.
그런 과학이라면 정말 내게 필요한 것일까?

표지를 본다.
일단 '진실을 배반한'이란 말에 심히 불쾌함을 감출 수 없다.
도대체 어떤 진실을 배반했다는 말일까?
그리고 알사람은 다 알듯한 인물들의 눈을 가리고 있다.
그들의 눈을 가린이유는 뭘까?
그들은 진실보다는 눈에 보이는것과 보이지 않는것에 더 중점을 둔지도 모르겠다.
아니 거꾸로 우리가 보고 싶어 하는 것에 더 치중해서 그들을 보는지도 모르겠다.

자꾸만 들먹거려 지는 황우석 사태만해도 희대의 사기극이었으며
세계를 깜빡 속인 그의 똑똑한 머리를 왜 그런쪽으로 썼을까 하는 의구심을 잔뜩 갖는다.
그것은 그에게나 우리에게나 가려져 있는 진실을 보지 못하는 눈가림때문은 아니었을까?

진보된 과학의 산물앞에서 우리 인간은 너무나 약해져만 가고 있다.
어느순간 어떤 영화에서 보듯 그렇게 발달된 미래 과학기술의 노예가 될지도 모른다는 생각이 자꾸만 앞날에 대한 불안감으로 먹구름을 드리운다.

이 책은 그런 과학자들을 예로들어 우리가 어떤 진실을 배반당하고있는지를 잘 보여주는 책이라 하겠다.
우리가 증명할 수도 없고 그들의 알 수 없는 증거란 것이 아무리 풀어 설명한다한들 우리가 이해할날이 오기는 하는걸까?
제발 그네들의 양심에 그네들의 진실을 담은 과학을 보여주기를 바랄뿐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