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51 | 1152 | 1153 | 115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
바보들은 이렇게 묻는다 - 개정판
김점선 지음 / 여백(여백미디어) / 2009년 7월
평점 :
품절



너무나 반가웠다.
그녀가 이 꽃을 좋아해서 거기 두었던 아니던간에
내가 좋아하는 꽃이 내가 좋아하는 사람과 함께 있다는 사실이 반가웠다.

결코 한번도 만난적은 없지만
잘알지도 못하지만
같은 하늘아래 같은 것을 보고 있다는 사실이 반가웠다.

시든 꽃잎마저도 그 색이 너무 예쁘고
말려서 걸어두어도 그 색과 모양이 오래 가는 꽃 ~!
향기 또한 너무너무 좋은 꽃!

그렇게
후리자아는 그녀의 곁에서 방긋 방긋 미소를 보내고 있는것이다.

----------------

이렇게
그녀는 너무나 독특하고 너무나 색다른 그림으로 우리에게 기쁨을 주지만
그녀도 나같이 꽃을 좋아하는 여자다.
그녀의 그림속에선 꽃보다 더 예쁜 색들이 우리 눈을 즐겁게 한다.
삶을 참 나름대로의 개똥철학을 펼치면서 개성적으로 살아가는 사람이지만
결코 미워할 수 없는
꽃을 사랑할 줄 알고
모기 한마리도 쉽게 죽일 줄 모르며
자신 없는 일에는 쉽게 손을 대지 않고
자신이 생각한일은 꼭 해 보고싶어 안달을 하는
참 사람다운 사람이다.

이 책 또한 그녀만큼이나 독특하다.
내가 만들어 가는 수제책이란다!
처음 이 책을 받아드는 사람들에게는
책이 불량인가 생각하게끔 만드는
잘려지지 않은 뭉툭한 페이지들이 당황스럽게 하겠지만
함께 동봉된 그림엽서와 나무칼이 주는 의미를 생각하며
다시 한번 책을 잘 살펴 본다면
'아하! 나더러 한장 한장 뜯으며 보라는 얘기구나'하며
무릎을 치게 하는 그녀의 독특한 센스에 감탄할것이다.

숨겨진 페이지를 울퉁불퉁 잘라서 펼칠때마다
거기엔 정말 상상도 할 수 없는 세계가 나를 반갑게 맞아준다.
그래서일까?
쉽게 다음 페이지를 펼칠수가 없었다.
그녀의 이야기가 그림과 어울리든 아니든
그것은 느린기차를 탄
스쳐지나가지만 그저 자연스럽게 펼쳐지는
놓치고 싶지 않은 아름다운 자연의 한부분같은것이어서
또 다음은 어떤 것이 있을까 기대 만땅이게 하니깐....

펼쳐 보기에 아깝지만 너무나 보고 싶은 마음과 갈등을 하며
그렇게 책을 다 보고난 후 그 까만 마지막 페이지마저 내겐 무한한 상상의 세계로의 손짓으로만 여겨졌다.
그리고 너덜너덜해진 그녀의 책이 참 사랑스러웠다.
내게 책을 만들어가는일에 별 힘들이지 않고 완성할 수 있게 해준 그녀가 참으로 사랑스서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달의 궁전
폴 오스터 지음, 황보석 옮김 / 열린책들 / 200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린 어떤 출발점에서 삶을 시작하고 있는걸까?
해를 바라보며 새로운 출발을 하는걸까?
아님 이 책 속의 주인공처럼 노랗게 떠오른 둥근달을 보며 출발을하는걸까?
어떻든지간에 자포자기 하지 않고 출발 할 수 있는 마음을 가진다는것이 중요하지 않을까?

도서관에서 이책 저책을 고르던중 영화속이나 어떤 책속의 소재로 등장하는 이 책의 제목을 보고
또 어떤 글친구가 좋아한다는 작가'풀 오스터'란 작가의 이름을 보고
읽어보기로 했다.

그리고
너무나 많은 사람들의 손을 타서인지 세월의 때가 묻어서인지
여기 저기 상처투성이,땜빵 투성이인 시커멓고 두꺼운 표지의 그 책이 탐이 났다.
두께가 장난이 아니다.
누군가 그랬던거 같기도하다. 잠잘때 배개용으로 쓴다고....
그럴수도 있겠다는 생각을 가지고 읽어내려가는 내내 난 전혀 그런 생각을 할 수가 없었다.
어찌보면 끊임없이 쏟아지는 아줌마의 수다처럼 이어지는 주인공의 이야기가 정말이지 책에서 손을 놓지 못하게 했던것이다.

이 책의 출발은
'인간이 달위를 처음 걸었던 것은 그 해 여름이었다.'
로 시작된다.
시작이 심상치가 않다.
그래서일까?
소용돌이치는 운명의 수레바퀴속에서
주인공은 우연히 할아버지의 마지막을 함께 했으며
또 그 우연으로 자신은 전혀 알지 못한채 아버지의 생의 마지막여행도 함께 하게 된다는 사실은 정말 당황스럽기까지 하다.
소름이 돋는다.
그런 사실을 알 수 있었던 기회가 진작에 여러번 있었음을 나중에 알게되면서
그는 이렇게 말한다.

'그것은 모두 놓쳐버린 관계, 잘못된시기. 어둠속에서 생겨난 실수였다. 우리는 언제나 잘못된 시간에 옳은곳에 옳은 시간에 잘못된 곳에 있었다. 언제나 서로를 놓쳤고 언제나 간발의 차이로 전체적인 일을 알지 못했다. 우리의 관계는 결국 그렇게 잃어버린 기회의 연속이 되고 말았다. p363'

마지막으로 그 모든것을 다 잃고 이제 갈곳도 없는 그가 다시 돌아온 출발의 자리에서 희망을 본다.
'여기가 내 출발점이야, 여기가 내 삶이 시작되는 곳이야.
나는 마지막 남은 석양이 사라질때까지 한참이나 그 해변에 서 있었다. 내 뒤쪽으로 라구나 해변 마을이 귀에 읽은 세기말의 미국적 소음을 내며 깨어나기 시작하고 있었다. 내가 해안의 굴곡을 바라보고 있을동안 한 집 두 집 불이 켜지기 시작했고, 다음에는 언덕 위에서 달이 떠올랐다. 달아오른 돌처럼 노란 둥근 보름달이었다. 나는 그 달이 어둠 속에서 자리를 잡을 때까지 눈 한번 떼지 않고 밤하늘로 솟아 오르는 모습을 지켜 보았다. ' p 445

이 이야기는 끝이 아닌 시작을 의미하는듯하다.
이야기의 끝이 시작이 될 수 있다는것!
우리의 인생도 차고 기우는 달처럼
둥근 달을 보며 내일을 희망할 수 있음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9)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처음 처음 | 이전 이전 | 1151 | 1152 | 1153 | 1154 |다음 다음 | 마지막 마지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