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구가 김은실씨 강연회 등록한다고 해서 무심결에 오케이...토요일 오전에 부랴부랴 아이들은 플레이키즈 실내 놀이터에서 놀게하고 GS(LG)마트로 향했다. <사교육 1번지 대치동 엄마들의 입시전략> <대치동 엄마들의 2008년 입시전략> 의 저자 김은실씨. 첫번째 책을 읽으면서 허걱 했었는데.... 어쨌든 들어보면 도움이 되겠지.
절대 지금부터 입시준비 한다는거 결코 아니다. 그저 정보나 한번 들어보려는..소박한 생각이다.
저자는 서울대, 연대, 고대 신입생을 대상으로 인터뷰한 내용을 주로 말하고 있다. 서울대 경영학과 1학년생의 예를 들면서 그 친구는 사고, 파는 컴퓨터 게임을 하면서 경제에 흥미를 느껴, 초등학교 4학년때 경제에 관련된 책을 읽기 시작하고, 중학교, 고등학교때 경제 관련 대회(?)에서 두각을 나타냈단다. 모의주식투자 1등, 모의투자 1등...등 크고작은 경제 관련 대회를 휩쓸었다는 이야기. 아쉽게도 수시모집에서 떨어지고, 정시모집에서 논술시험을 봤는데...심사위원이 "아니 자네를 어떻게 떨어뜨릴수가 있지" 했다는 이야기를 한다. 책으로 무장하고, 실전을 두루두루 경험한 그 이기에 당연히 정형화된, 그렇고 그런 논술이 아닌 뭔가 다른 논술을 썼다는 이야기를 강조한다. 심사위원이 보면 "얘랑 얘는 같은 학원 다녔네" 하는 이야기를 한다니.......역시 책은 위대해~~~
논술은 단순히 책을 읽고 끝나는 것이 아니고, 책을 읽고 난 느낌을 이야기 하고, 새로운 생각을 끌어내고, 나의 생각, 너의 생각, 우리의 생각까지 끌어내야 한다는 말을 한다. 서론, 본론, 결론이 명확히 들어나는 글... 다독과 글쓰기가 병행되어야 한다는 말을 한다. 말은 쉬운데 행동이 어렵다.
영어. 이것도 예로 설명을 한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영어경시대회에서 1등을 한 중학교 1학년생. 어릴적 한글을 배울때 부터 한글 낱말카드와 영어 낱말카드를 동시에 보여주었단다. 이중언어생활을 한것이다. 영어학원을 보내기 보다는 엄마가 영어동화를 읽어주고, 영어 비디오를 보여주고, CNN, AFKN을 봤단다. 미국에 1년 반정도 살다와서는 과외를 했다고 한다...... 결론은 영어를 생활화..
"엄마의 능력에 따라 아이의 성적을 결정한다"니.... 단순히 학원보내고, 학습지 한다고 아이들을 방치하지 말고, 채점도 하고, 수준도 파악하고, 테스트도 하란다. 아이가 학교에서 돌아오면 "오늘 뭐 먹었니, 뭐했니"하고 묻기 보다는 "오늘 할일이 뭐지" 하여 아이 스스로 스케줄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란다. 휴......
수학은 어릴적에는 교구를 활용한 수업을 하고, 단순한 덧셈, 뺄셈 보다는 창의력, 논리력을 키우란다.
에구 완전 대학 입시 준비구만.....아직은 먼 얘기인가, 아님 지금부터 준비를 해야한다는 말인가???? 머리 아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