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얼마전에 우리 지역에서 제1회 초.중.고 NIE대회와 직지토론대회가 열렸다. NIE대회는 심사위원장님과 친해서, 직지토론대회는 몇년전 독서 강의를 계기로 심사위원을 맡았다. 직지토론회에는 나도 모르는 '독서분과위원장'이라는 직함도 있다. 도교육청 직속 사서라는 타이틀이 때로는 과대평가해준다.
토론 주제가 수행평가의 기본점수는 있어야 한다 찬,반과 온라인(스마트폰) 상에서 말줄임표에 대한 찬,반토론이었는데, 고등학생들의 열띤 토론을 보며 감동했다. 많은 자료 준비와 세 명이 한조가 되어 역할 분담으로 이루어지는 모습이 멋지다!
우리 보림이도 나갔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컸다.
2.
며칠전 은행나무 가로수길이 예쁜 괴산 문광저수지에 다녀왔다. 노오란 은행나무와 어우러진 저수지위 주황 지붕이 곱다.
물위에서 자라는 나무가 신기하면서 대견하다. 은행나무를 배경삼아 사진 찍고 걸으며 가을을 흠뻑 느꼈다.
길 끝자락에 주렁주렁 달려 있는 빨간 사과가 참 먹음직스럽게도 생겼다.
먼 곳을 가지 않아도 가을은 이렇게 커다란 기쁨을 준다.

3.
이제 고3이 되는 보림이는 선배들의 수시 합격 소식을 들으며 심난해한다. 생각보다 합격률이 저조한 선배들의 결과가 당혹스러운가보다. 꿈은 높고, 현실은 아직 만족스럽지 못하니 좌절한 듯.
그런 보림이를 지켜보며 가여운 마음에 학원에서 끝난 아이 데리고 커피 마시면서 이야기 들어주고, 내 모교에 들러 가을을 느끼게 해 주었다. 그저 돌아보기만해도 가을은 지천인데 보림이는 제대로 느끼지도 못하네.
기숙사에서 입을 두툼한 자켓 사주니 다행히 입가에 미소가 한가득이다. 그렇게 해소하면서 1년만 고생하자.
수능일에 엄마랑 서울로 데이트하러 갈까?
보림이네 학교에서 영어골든벨대회가 열렸는데, 전교 1,2등하는 친구가 1번 문제 'current president' 를 묻는 질문에 '이명박 대통령'으로 답을 적어 선생님과 친구들이 당황했다고 한다. 나는 순간적으로 '왜? 맞게 썼는데....' 했다. 그분의 존재감이 부족한걸까? 아님 내가 무개념인걸까? 학사반중에 보림이만 상을 받았다는 기쁜 소식^^
4.
요즘 법륜스님의 <인생수업>을 읽고 있는데 나를 되돌아보게 하는 책이다.
'먼저 친구들과 늘 함께해야 한다는 생각을 내려놓아야 자유로워집니다. 같이 있으면 대화할 수 있어서 좋고, 혼자 있으면 혼자 있어서 좋아야 합니다. 그러면 곁에 사람이 있는 없든 아무런 상관이 없고, 언제 만나든 편할 수 있어요. '
'아이에게 나는 신과 같이 절대적인 존재다' 라는 것을 늘 자각하고, 아이를 위해서는 무엇이든 헌신할 자세가 되어야 합니다. 그러면 아이의 정신적인 씨앗이 튼튼해서, 세상의 어려움 속에서도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11월에 읽으려고 쌓아둔 책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