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화요일, 교정엔 노오란 프리지아향이 코 끝을 맴돈다.
학교에 아침 일찍 다녀오려고 서둘렀는데 오후 2시에 졸업식이 시작됨에도 오전부터 이곳저곳에서 사진 찍느라 분주하다.
11명 입학에 4명만 졸업. 1명은 연락이 되지 않아 3명이 단촐하게 하얀 띠를 두른 가운을 입고 사진을 찍었다.
아이 가운을 빌려 입은 것처럼 어색함에 무안하기도 했지만, 버킷 리스트중 하나를 이루었다는 성취감만은 그 무엇과도 바꿀 수 없을듯. 축, 졸업!

이제 뭐할까?
주변 사람들은 박사에 도전하라고 하지만 내 삶에서 공부는 여기까지. 박사는 공부에 취미가 있거나, 관심이 있어야 하는데,
난 결코 더이상의 공부는 싫다.
사무실에서 틈틈히 영어공부를 할 것이고, 책 100권 읽기에 도전하려고 한다. 그동안 읽지 못했던 책을 야곰야곰 먹을거다.
책은 당분간 문학작품과 글쓰기, 서평 관련 책.
이곳에 하나씩 정리해 보려고 한다.
1권.
올해 첫 책은 김영갑의 그 섬에 내가 있었네.
제주도 여행을 계획하면서 골랐던 책.
사진과 글이 함께 있어서 행복하게 읽었다.
2-4권.
안나 카레니나 / 톨스토이.
논문을 쓰고 난뒤의 허탈함을 책으로 채우고 싶었다.
딱딱하지 않으면서도 무언가 얻을 수 있는 책.
안나 카레니나는 거의 한달을 붙잡고 있었는데 드디어 다 읽었다.
안나가 선택한 기차역에서의 충동적인 자살이 눈에 선하게 그려지면서,
당장 오늘 기차 탈 일이 걱정이지만 곧 잊혀지겠지......
안나, 최선의 선택이었오?
5권.
무언가 체계적인 독서법을 기대했으나 평범한 이야기들....
정제되지 않은 에세이같은 느낌이랄까.
1시간만에 후루룩 읽고는 보관해 두었다.
빌려 읽을껄.
6권.
김애란의 <달려라, 아비>, <두근두근 내인생>을 재미있게 읽었기에 이 책도 쉽게 읽겠지하고
시작했는데 난해해서 진도가 나가지 않는다. 난독증 걸린 사람처럼 계속 한페이지에서 머문다.
이내 읽기를 포기하고, 김이설님의 <흉몽>을 읽었다.
역시 평범하지 않은 내용이지만, 우리 주변에서 겪고 있을 누군가의 아픔이라고 생각하니 마음이 짠하다. 물질적인 혹은 정신적인 결핍은 사람을 피폐하게 한다. 특히 물질의 결핍은 극한 상황까지 치닫게도 한다. 주인공과 남편의 관계에서처럼..... 가족은 뿔뿔히 흩어져 하루 하루 살아가기도 힘겨운 상황에서, 빚쟁이들을 피해 도망갔던 남편이 피 묻은 옷차림과 돈가방을 가지고 나타났다면...
주인공은 남편의 안위보다는 돈을 내것으로 만들어야겠다는 욕망만 앞선다. 결국 남편을 살인 혐의로 몰아 넣고 돈을 손에 넣는다. 주인공은 과연 흩어진 자식과 재회가 가능할까? 아무렇지도 않은 듯 살아갈 수 있을까?
정신적인 결핍을 의미하는 주인집 아들과 주인공과의 관계. 그들은 서로 사랑을 하긴 했을까?
삶이 참으로 비루하다.
7권.
사소한 물음들에 답함 / 송경동.
말로만 공정사회가 아닌 모두 함께 잘 사는 사회가 되었으면......
최소한의 인권이 보장되는 사회였으면 한다.
8권.
글쓰기, 어떻게 쓸 것인가 / 엄정섭.
몇년 전 그의 서평강의를 들었다. 쉽게, 와닿는, 핵심을 콕콕 찌르는 강의가 인상적이라 우리도서관 강사로도 모셨다.
글쓰기 비법 필사, 베껴쓰기.
봄철 티파사에는 신들이 내려와 산다. 태양 속에서, 압생트의 향기 속에서, 은빛으로 철갑을 두른 바다며, 야생의 푸른 하늘, 꽃으로 뒤덮인 폐허, 돌더미 속에서 굵은 거품을 일으키며 끓는 빛 속에서 신들은 말한다. 어떤 시간에는 들판이 햇빛 때문에 캄캄해진다. 두 눈으로 그 무엇인가를 보려고 애를 쓰지만 눈에 잡히는 것이란 속눈썹 가에 매달려 떨리는 빛과 색채의 작은 덩어리들뿐이다.
- 카뮈, <티파사에서의 결혼> p.30
카뮈- 봄은 헤아릴 수 없는 밀물이다.
파리의 봄 : 하나의 약속 혹은 마로니에 잎의 새싹 하나, 그로 인해 비틀거리는 마음. 알제에서는 그 변화가 더 갑작스럽다. 그냥 장미꽃 봉오리 하나가 아니다. 어느 날 아침 숨이 컥 막히도록 맺힌 수천 개의 장미꽃 봉오리다. 우리의 가슴을 스쳐 지나가는 어떤 섬세한 종류의 감동이 아니라 수천 가지 향기와 수천 가지 눈부신 색깔들의 어마어마하고 헤아릴 수 없는 밀물이다. 뚜렷하게 드러나는 어떤 감성이 아니라 그야말로 육체가 공격을 당하는 것이다.
- 작가수첩1 p.60
내 마음 속에는 수많은 '서랍'들이 있다. 내 서랍에는 수많은 소재들이 있다. 필요한 기억과 이미지들을 서랍으로부터 끄집어낸다.
- 무라카미 하루키 p.73
9권.
나도 저작권이 있어요 / 김기태 글, 이홍기 그림.
- 아이들이 읽기 쉽도록 저작권에 대해 재미있게 설명해 놓았다.
요즘 아이들 카스, 페이스북에 출처가 불분명한 글 무심코 퍼 나르기 하는데,
이 책 읽으면 도움될 듯.
10권.
이설님이 '작가와 함께하는 글쓰기' 첫 강의때 참고했던 자료.
글쓰기에 대한 액기스가 다 들어있네.
11권.
12권.
13권.
14권.
생각의 일요일들 / 은희경 저. 달
15권.
'진정한 걷기 애호가는 구경거리를 찾아서 여행하는 것이 아니라 즐거운 기분을 찾아서 여행한다. 다시 말해서 아침의 첫걸음을 동반하는 희망과 에스프리, 저녁의 휴식에서 맛보는 평화와 정신적 충만감을 찾아서 여행한다. p.22
16권.
17권.
18권
19권
20권
21권.
22권.
23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