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우리도서관에서 추진한 충북평생학습축제가 끝났다.
도내 공공도서관, 대학교평생교육원, 학교, 평생교육기관이 참여하는 제법 규모가 큰 행사.
내년에는 '도서관 북 페스티벌'로 추진할 예정인데 도서관과 컨셉이 잘 맞을듯^*^
올해 색다른 프로그램은 축하공연에 '샌드아트'를 기획한것,
그리고 원화전시회, 시인 이병률 초청강연회, 중고도서 판매, 자음으로 책이름 맞추기, 평생학습꿈나무 희망달기...
작년에 했던 행사로는 평생학습동아리 발표회, 평생학습 작품전시회, 홍보체험관 운영.
참여했던 사서, 학부모, 강사, 담당자들이 행사가 알차고 풍성했다고 해주니 나름 만족한다.
특히 가을에 어울리는 목소리로 조분조분 이야기를 끌어간 이병률 시인의 여행 이야기는
당장이라도 베니스로 떠나고 싶더라.
죽을때 그 도시에서 죽으면 다음 생애에서는 그 도시 사람이 된다는 이야기도 재미있네.
난 유럽에서 태어나고 싶다. 나라는 좀 더 가본 뒤에 결정해야지.



2.
멀리서 나비님과 무스탕님이 오셨다.
축제를 함께 나누니 기쁨이 배가 된다.
축제 담당자라 자리를 오래 비울 수 없기에 짧은 만남이었지만 우린 행복했다.
마치 오랜 시간 함께 한 벗들처럼.....
나비님은 친구이면서 언니처럼 잘 통한다. 긍정의 에너지가 고스란히 전달된다.
매우 솔직함이 그녀의 큰 장점! 그런 언니가 알라딘에 있어 참 좋다.
매우 핸섬한 옆지기 로버트님, 그리고 인형처럼 잘생긴 해든이도 함께라서 더 좋았다.
무스탕님과 난 동갑이다. 알라딘에서 우린 친구사이임을 강조하면서 우정을 키워 나갔다.
덕분에 처음 만났지만 전혀 낯설지 않다.
그녀의 순수함과 깊은 배려심에 감동하며 우린 눈을 마주치는 것만으로도 행복해 했다.
절대 동안, 무스탕님!
여우꼬리)
이제 큰 행사는 끝이 났다.
배우가 공연뒤의 허탈함, 무력감이 이 기분일까?
몸을 추스리고 마무리를 해야 겠지.
어제 옆지기랑 문장대에 다녀왔다.
빠알간 단풍잎, 노란 은행잎이 참으로 곱더라.
3.
축제가 열리기 전날 어수선한 마음에 이 책을 집어 들었다.
노벨 문학상을 수상한 모옌 작품.
마치 <허삼관 매혈기>를 떠올리게 한다.
평생을 몸바쳐 일한 공장에서 퇴직을 한달 남겨두고 쫓겨난 주인공.
그렇게 열심히 일했지만 모아 놓은 돈도 없다.
그나마 남은 돈은 자전거 타다 넘어져 병원비로 몽땅 쓰게 되고....
마누라의 타박에 돈 벌 궁리를 하던 그는,
그를 사부라며 따르던 제자의 도움으로 폐차를 이용해 간이 러브 호텔(?)을 만든다.
정의롭지 않은 방법으로 돈을 번다는 죄책감에 노이로제에 걸리면서 끝이 난다.
어찌보면 참으로 구질구질한 일상이지만, 생각할수록 재미있다.
모범생처럼 앞만 보고 달려온 주인공이 찾은 돈벌이가 간이 러브 호텔이라니....
은근히 코믹하고, 잘 읽힌다.
신문의 북리뷰를 읽다가 눈이 간 책.
글을 쓸때, 말을 할때 요렇게 한마디로 요약하는 기술이 있다면
큰 도움이 될듯.
<아트 스피치>와 같은 맥락일수도 있겠다.
보관함에 넣어 두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