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금요일과 월요일까지 이어진 출장으로 일은 쌓이고 결국 피곤한 몸을 이끌고 오후 5시 즈음 사무실로 출근했다. 컴퓨터를 켜고 전자문서를 들여다 보니 갑자기 짜증이 울컥 치민다.
'전국학교도서관대회' 행사가 무의미하다고 결론지어지면서 포럼 형태로 바뀌었고, 오늘 행사 안내 공문이 왔는데 학교도서관을 담당하고 있는 시.도교육청 사서가 참석하라는 말은 어디에도 없다.
작년 9월에 직제가 변경되고 교과부에 있던 사서가 타 부서로 가고 장학관 체제로 바뀌면서 학교도서관 및 독서교육 업무는 장학사 위주로 돌아가길 바란다. 현재 각 시도 교육청에는 학교도서관을 담당하고 있는 사서가 한명씩 배치되어 있고, 도서관과 독서교육을 함께 하거나 장학사의 도움을 조금 받는 정도인데...
"모든 회의는 무조건 장학사가 참석해라." 그니의 주장이다( 그럼 사서인 나는 시다바리가?) . 학교도서관이 하드웨어적인 부분은 충족되었지만 소프트웨어의 질은 떨어진다는 말에 충분히 공감한다. 당연히 2003년부터 리모델링 추진하느라 내부적인 문제는 소홀해 질수도 있었지. 사서 체제로 가면 일은 열심히 하는데 예산문제나 관심도가 떨어진다고 한다. 전혀 공감대가 형성되지 않는다. 오히려 예산을 담당하고 있는 일반직을 상대하기에는 일반직 사서가 더 맞을수도 있다.
이제 학교도서관은 도서관다운 모습을 갖추었고, 금년부터는 인적자원 구성과 프로그램 쪽으로, 독서할 수 있는 분위기 조성에 주력하려고 다들 생각했다. 근데 그니 의도는 "니들이 독서교육에 대해 알아?"하는 분위기다.
독서교육 전문가는 누구 일까? 국어교육학과를 전공한 교사일까? 아님 도서관학 또는 문헌정보학을 전공한 사서일까? 아님 독서교육학 또는 사서교육학과를 전공한 사서교사일까? 모두 다 맞을수도 모두 다 틀릴수도 있는거 아닐까?
적어도 내 경우엔 도서관이, 독서교육이 좋기 때문에 주어진 일에 최선을 다하고, 좀 더 창의적으로 열심히 해보려고 노력했다. 20여년 가까이 공공도서관에서 일했지만 학교도서관을 담당하면서 학교도서관의 활성화와 인력충원을 위해 노력 많이 했다. 독서교육에 관심이 많아 낙후된 충북 학교에 독서바람을 일으키고자 초등학생을 위한 북스타트도 도입을 했고, 도청지원의 우리 학교 마을도서관 만들기 예산확보에도 노력을 했다.
이제 1년이 되고, 서서히 성과가 나타나는데 오늘 한장의 공문은 모든 것을 백지로 만들고 싶은 마음이 들게 한다. 나 공공도서관으로 갈래. 타 시도교육청 사서도 내맘과 같을 것이다.
난 그저 학교도서관 담당자는 사서든 장학사든 직책이 중요한 것이 아니고 누가, 얼마만큼 도서관에 애착을 갖고, 학교도서관을, 학교 독서교육을 활성화하고 발전시켜 나가는 것이 중요하다고 외치고 싶다. 이 연사 힘차게 외칩니다. (중학교때 웅변대회에 나가서 목이 쉬도록 외쳤던 생각이 나네) 절대 밥그릇 싸움을 하는 곳이 아니다.
여우꼬리) 데모가 한창이던 80년대에 학교를 다니면서 전혀 미동도 하지 않던 내가 이리 용감할 줄이야...그건 나의 자존심이고, 사서의 자존심이고, 도서관을 사랑하는 마음뿐.
- 일부 과격한(?), 정치적인(?) 내용은 삭제했음...아 난 역시 소심한 공무원이야. 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