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연으로부터 - 감히 그 이름을 말할 수 없는 사랑을 위해
오스카 와일드 지음, 박명숙 옮김 / 문학동네 / 2015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스카 와일드의 글을 읽게 되면 대개 두 종류의 반응을 보이는 것 같다. 오스카와 사랑에 빠지던가, 오스카 그게 뭐? 하던가.

동성 스캔들로 2년 실형을 받고 감옥에서 연인 더글러스에게 쓴 서간문『심연으로부터』의 첫 페이지를 열 때, 내게 오스카 와일드는 그저 <행복한 왕자>를 쓴 동화작가였으나 책을 절반쯤 읽었을 때 이런 첫인상은 완전히 전복된다. 이토록 예민하고 감성충만하며 나르시시즘 덩어리인 작가를 어떻게 좋아하지 않을 수 있을까.

다만 이 '좋아해'는 좀 복합적인 감정이어서 '좋아서 미치겠어'가 아니라 연민, 동정, 호감, 비호감 등등을 단서로 달고있는 '좋아해'다.

 

육체적 죽음이든, 사회적 매장이든 작가의 생명이 끝나는 순간은 언제나 비극적이다. 그 순간이야말로 작가의 재능이 스러지는 현장이기 때문.

 

 

문학은 언제나 삶을 앞지르지. 삶을 모방하는 게 아니라 자신이 원하는 대로 삶을 빚는 거야. - p.9

 

책을 읽다 보면 유미주의자이며 자타공인 나르시시스트였던 그가 현실의 삶과 문학 속 삶을 혼동한 게 아닐까 의심하게 되는 지점이 있다. 드문 일은 아니지만 오스카의 경우는 불행히도 혼동에서 나아가 현실의 삶이 가상의 세계에 매몰되어 현실 세계가 파탄에 이르게 된다. 재능에 대한 대가랄까, 피그말리온의 비극은 예술가들의 숙명인가 싶기도 하고. 여하튼 그런 관점으로 보면 오스카의 생애 마지막 5년은 그 자체로 이미 충분히 문학적이다. 사랑과 배신과 용서와 우정으로 점철된 마지막 시기는 참으로 드라마틱해서 그러한 불행조차도 오스카가 스스로 조탁한 문학의 한 방식이 아닐까 싶은 의심이 들 정도.

  

 

어느 날, 와일드의 어머니의 친구였던 애나 드 브레몽 백작 부인이 그에게 왜 더이상 글을 쓰지 않는지 묻자(그녀는 전날 그를 모른체 했던 것을 미안해했다) 그는 이렇게 말했다. "난 이미 글로 쓸 수 있는 것을 다 썼습니다. 나는 삶이 무너지는 의미를 모를 때 글을 썼지요. 이젠 그 의미를 알기 때문에 더이상 쓸 게 없습니다. 삶은 글로 쓸 수 있는 게 아닙니다. 그저 살아내는 것입니다. 나는 삶을 살아냈습니다." (p.32)

 

읽으면서 가장 슬펐던 일화인데, 이는 오스카 스스로 자신의 작가적 생명이 끝났음을 인정하는 장면이기 때문.

자신의 작가적 정체성에 스스로 사망 선고를 내린 오스카. 그에게 가장 중요한 건 예술가인 자신이 예술가의 삶을 사는 것이었는데, 인간을 포함해 지상의 모든 것 위에 존재했던 예술이 지상으로 내려와 지상의 것들과 섞이자 단 한 줄도 못 쓰게 된 것이다.

예술은 대중의 사랑을 자양분으로 삼는데 애초에 사랑을 못 받았으면 모를까 성공의 가장 정점에서 추문과 함께 끌어내려진 오스카는 아마 실형을 받고 레딩 감옥에 입소할 때까지도 자신에게 닥친 불행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했던 것 같다. 그러니 기소 전과 선고 직후 해외로 달아날 수 있는 두 번의 기회를 거부했던 것일 거고.

아주 어려서부터 문학적인 시각으로, 문학적 틀 안에서, 문학적인 삶을 지향했던 오스카는 감옥에서 그 어떤 것보다 냉엄하고 엄혹한 현실과 직면했을 것이고 그 경험은 오스카를 비로소 가상세계에서 현실세계에 발 딛게 했을 것이다. 그리고 현실이라는 지상에 발을 딛은 그는 더 이상 예술의 허구를 끌어안지 못했을 것이다. 원래 가짜가 진짜의 흉내를 더 잘 내는 법이다.

그리하여 2년 형기를 마치고 출옥할 때 작가 오스카는 이미 인간 오스카가 되어 있었지만 그럼에도 오스카는 자신이 다시 작가로서 살 수 있을 거라 믿었던 것 같다. 그리고 레딩 교도소장의 예언보다 조금 더 살긴 했지만 불과 3년을 못 넘기고 사망한다. 그의 육체적 사망을 연장했던 것도, 앞당겼던 것도 아마 소설에 대한 열망이었을 것이다.

  

 

사실 우리 삶에서 사소한 일이나 큰일 같은 건 없어. 모든 게 다 똑같은 가치와 똑같은 크기로 이루어졌지. 모든 것에서 당신에게 굴복하는 내 습관ㅡ 처음에는 대부분 무관심에서 비롯된ㅡ은 서서히 진정한 내 본성의 일부가 되어버리고 만 거야. 내가 그 사실을 의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그러한 습관은 나의 기질을 영구적이고 치명적인 한 가지 성격으로 고착시키고 만 거라고. (p.56)

 

'Dear Bosie'로 시작하는 옥중 서간『심연으로부터』가 더글러스에게 보내는 장렬한 구애이며, 로비(로버트 로스)를 통해 전하게 한 건 질투심을 유발하기 위함이라는 장정일의 해석에 동의하기 힘든 것은, 오스카가 더글러스를 바라보는 시선의 위치 때문이다. 오스카는 언제나 더글러스를 내려다 봤다.

연민은, 츠바이크에 의하면 양날의 검이다. 오스카는 악덕, 위악, 경박, 천박, 즉물성으로 다져진 더글러스의 모든 단점을 제법 객관적으로 파악했다. 그리고 그것을 연민하고 때로 동정하며 가련한 한 인생을 자신이 구원할 수 있으리라 자신한다.

감히 자신이 한 인간을 구원할 수 있으리라고 신의 흉내를 냈던 오스카 와일드. 오스카가 거듭 말하는 것처럼 그는 실제로 더글러스에 대해 더글라스 본인보다 더 잘 알고 있었을지는 모르나, 자신이 신이 아니라는 사실을 몰랐던 것이 그의 불운이었다. 그런 이유로 오스카의 통렬한 자기순애보적 고백, 자기참회는 동성 스캔들로 인해 야기된 현실적인 문제보다 왜 삶은 문학을 모방할 수 없는가를 향한 비탄으로 읽힌다.

오스카는 무신론자였으나 형기를 마치고 나왔을 때 가톨릭 영세를 받기를 원한다. 그러나 가톨릭은 그의 회심을 받아들이지 않았고 안타깝게도 그의 바람이 이루어진 건 사후였다.

 

신들은 참 이상해. 우리를 벌줄 때 우리의 악덕을 그 도구로 사용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한지, 우리 안의 선하고 다정하고 인간적이고 사랑스러운 것들을 이용해 우리를 파멸로 이끄니 말이야. - p.80

 

난 이제 우리는 자신이 저지른 악행뿐 아니라 자신의 선행 때문에도 벌을 받을 수 있다는 사실을 인정해야만 해. 나는 그러는 것이 정당하다고 굳게 믿고 있어. -p145-146

 

11장은 이전 장에 비해 오스카의 종교적인 태도가 뚜렷해진 차이가 확실히 느껴진다.

 

 

"당신은 이야기를 눈으로 듣는군요. 그래서 당신한테 이 이야기를 들려주려 합니다. 나르키소스가 죽자, 들판의 꽃들은 몹시 슬퍼하면서 강물에게 그를 애도하기 위한 물방울을 달라고 요구했어요. 그러자 강물은 이렇게 대답했죠. '그럴 수 없어요. 내 물방울들이 모두 눈물이 된다면 내가 나르키소스를 애도하는 데 필요한 물이 부족해질 거예요. 난 그를 사랑했어요.' 그러자 들판의 꽃들이 말했어요. '오! 어떻게 나르키소스를 사랑하지 않을 수 있겠어요? 그렇게 아름다운 청년을 말이에요.' '그가 아름다웠나요?' 강물이 물었어요. '누가 그걸 당신보다 더 잘 알 수 있겠을까요? 그는 매일 당신의 기슭에서 몸을 숙여 당신 물속에 자신의 아름다운 모습을 비춰보았는걸요…….'"

와일드는 잠시 말을 멈추었다가 이어 말했다.

"그러자 강물이 대답했어요. '내가 그를 사랑했던 것은, 그가 내 위로 몸을 숙일 때마다 그의 눈 속에 비친 내 모습을 볼 수 있었기 때문이랍니다.'"

와일드는 야릇한 웃음을 터뜨리고는 거드름을 피우면서 덧붙였다.

"이 이야기의 제목은 「제자」입니다."

 

-pp.251-252,「오스카 와일드를 기리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7)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주말에 보관함에 담은 6-7월 신간.

요즘 책을 구매하는 패턴은 M&M's 지퍼백에서 손에 걸리는대로 골라 먹는 식의, '보관함 picker'에 빙의 중. 한마디로 구매 우선 순위가 없다. 출판사 이벤트에 휩쓸릴 때도 있고, 아무 전조 없이 한참 뒷페이지 보관함의 책을 장바구니에 옮길 때도 있고.

 

 

워크룸프레스의 사뮈엘 베케트 선집으로 '장편'과 '단편집'.

가지고 있는 책과 목록이 겹치는 것도 있고 아닌 것도 있고.

워크룸프레스가 이 시리즈에 비소설 산문도 포함했는지 궁금하다. 산문이 나오면 바로 구매각.

'선집', '전집' 등의 타이틀이 붙으면 반드시 꼭 사야될 것 같은 압박감이 든다.

이래저래 전작주의자는 피곤.

 

 

 

보르헤스의 신간『꿈 이야기』『상상동물 이야기』

남미 환상문학 작가를 향한 내 선호는 보르헤스 >>> 마르께스.

이쯤이면 보르헤스 전집이 한번 나와줘도 좋을 텐데, 늘 목마르게 기다리는 소식.

 

 

 

 

로버트 해리스의 로마사 트릴로지 중 3부『딕타토르』

신간에서 이 책을 발견하고 일순 흠칫.

나 좀 모자란가봐- 했던 것이, 트릴로지이니 당연히 3부작인데 1, 2부를 구입하고선 관심을 끊었다는 거다. 우연히 발견 못했더라면 책장에 책 두 권 꽂아두고 내내 "로마사 트릴로지가 조기 있넹" 했을 것이 분명하다.

 

내년 1월에 시즌2 방영 예정인 동명 미드의 원작『익스팬스 1,2』

로커스상 수상, 휴고상 최종 노미네이트작. 덕분에 오랜만에 미드를 둘러봤다.

한드에 관심을 끊으니 미드, 일드, 중드 모두 시들. 이럼 안 되는데...ㅠㅠ

 

데이비드 웨버의 아너 해링턴 시리즈 중 장편소설『여왕 폐하의 해군』이 행책 작가선집으로 출간됐다. 근데 전작『바실리 스테이션』은 폴라북스, 후작은 행책이다...;  다행히 행책의 배려인지 표지의 위화감은 거의 안 느껴진다. 역자는 모두 김상훈. 행책 작가선집은 자칫 절판 지뢰를 밟을 위험이 크므로 이 책은 무조건 구매 우선 순위.

 

제임스 P.호간의『별의 계승자』가 아작에서 복간됐다. 나는 오멜라스 시리즈로 가지고 있는데, 이 책이 절판 뒤 중고가가 꽤 높았던 모양이다. 상품페이지 평에 온통 중고가와 복간 얘기인 걸 보면서 가진 자의 여유랄까 '오, 그랬군' 신기했다. 여튼, 복간됐다고 안심할 게 아니라 관심이 있거나 구매하려고 찾아 헤맨 사람은 얼른 얼른 사는 게 좋다. 어차피 이 장르 수요는 거기서 거기라 국내 SF출간작은 절판을 늘 염두에 두어야 한다.

 

 

 

미시마 유키오의 'The Sea of Fertility' 4부작 영문소설. 모두 국내 미번역.

이하 시리즈 순 짧은 소개. (출처. 알라딘)

 

SPRING SNOW

Kiyoaki Matsugae's passionate and ill-fated love for the betrothed daughter of a Tokyo aristocrat brings him into disfavor at the Imperial Court

 

RUNAWAY HORSE

In Japan during the 1930s, a young man and his father discover they have conflicting views on patriotism

 
THE TEMPLE OF DAWN

A Japanese lawyer on pilgrimage to Bangkok and India in the early 1940's meets a beautiful young Thai princess and degenerates from spiritual seeker to sexual voyeur

 
THE DECAY OF THE ANGEL

During the last years of his life, Honda adopts an orphaned boy and teaches him about Japanese society and tradition

 

짧은 소개만 보면 제일 끌리는 건 3부 'THE TEMPLE OF DAWN'.

'from spritual seeker to sexual voyeur' 라니...... 우왕♥

이 연작은 검색해보니 1910-1960 까지 50년에 걸친 연인의 환생을 다루는 듯하다.

 

미시마 유키오는 이 시리즈의 마지막 원고를 출판사에 넘기고 할복자살을 했다.

미시마는 다자이 오사무를 대놓고 싫어했는데 아마 아쿠타가와상을 두고 심사위원인 스승 가와바타 야스나리와 다자이가 반목했던 이유가 크지 않았을까. 암만 그래도 죽은 사람을 두고 '생긴 거 운운'은 너무 찌질했지만, 본인이 아니니 그 속을 어찌 알리오.

현지인이 아니니 전후 일본의 분위기는 모르지만 가와바타, 미시마, 다자이 모두 결국 자살로 생을 마감한 걸 보면 문학을 하려면 역시 남다른 감성을 지녀야 하나 싶기도 하고. 그래도 다자이가 아쿠타가와상을 수상하고, 미시마가 노벨상을 받았더라면 글을 쓰기 위해서라도 아마 두 사람 모두 좀 더 오래 살지 않았을까, 가끔 그런 생각이 들기도 한다.

여튼 소설만 써도 아까운 삶인데 왜 엄한 데 영혼을 빼앗겼는지 참 알다가보 모를 양반 중 한 명. 이 양반의 생을 엿보면 작가로서 자부심이나 명예욕이나 욕심이 남못지 않았던 게 읽혀서 더 안쓰럽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새벽에 '리우의 불안한 치안'이라는 제목의 동영상을 봤는데 조금 보다가 화면을 껐다. 내 비위를 너무 과대평가했던 모양이다. 내 비위야 그렇다 치고 다음은 영상으로 인해 깨달은 몇 가지 사실들.

 

올해가 올림픽이 열리는 해라는 것,

올림픽 개최 도시가 브라질 리우라는 것,

리우 올림픽 개막식이 이번주 토요일이라는 것,

 

이 세 가지를 오늘 새벽에야 알았다. 그나마 잊고 있었던 걸 떠올린 것도 아니다. 불과 5분 여 본 것만으로도 끈적이는 타르가 정신에 들러붙은 것처럼 찜찜하고 불쾌하고 역겨운 동영상 아래 달린 댓글들을 보고서 알았다. 한마디로 나는 올림픽에 전혀 관심이 없었던 거다.

 

월드컵에 이어 올림픽까지. 왜 갑자기 브라질일까.

 

브라질은 내겐 개인적으로 두 가지 사건으로 기억되는 나라인데 첫 번째는 초5 때 단짝이 가족 이민을 간 나라로, 두 번째는 존 업다이크의 소설로 깊은 인상이 남은 나라다.

대개 이민이라 하면 미국이나 캐나다 등의 북미이거나 혹은 영국, 프랑스 등의 유럽이었기 때문에 '아마존' 밖에 안 떠오르는 브라질로 간다니 어린 마음에도 우리는 친구를 걱정했다. 구체적으로 뭘 걱정하는지도 모르면서 걱정했는데 초딩의 단순한 논리로 부유한 친구네가 왜 '하필' 브라질로 이민을 가는지 좀처럼 이해를 못했다. 브라질은 그만큼 내겐 오지였고, 지구 촌구석이었다. 나중에 머리가 조금 더 굵어진 후엔 내가 어지간히도 북미 중심의 사고를 했구나 싶기도 했지만 여튼 당시에는 그랬다.

 

그리고 존 업다이크의 소설『브라질』... 이 소설을 어떻게 얘기해야 할까.

 



 

 

 

 

 

 

 

 

 

 

 

 

'인식의 저변 확장'이라는 측면에서 본다면 내 이십대의 시작은 이 소설이 열었다고 봐도 무방한데 그때도 지금도 한결같이 하는 생각은 '이 소설을 읽다니 지지리 운도 없지'. 

카프카의 문학론은 언제나 공감하고, 추천 백만개를 날리고 싶고, 자주 인용하지만 그것도 객관화가 가능할 때 얘기이지 도끼와 망치가 두드리는 게 내 머리통이 되면 사정이 달라진다. 내 감성은 예나 지금이나 한결같이 보드랍고 연하고 깨어지기 쉬운 멘탈을 방패로 두르고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1학년 여름방학 때 친구네 책장에 꽂혀 있던 낡은 책을 우연히 꺼냈다가 앉은 자리에서 다 읽고 나는 한동안 후유증을 겪었다.

 

업다이크의 대표작이 '토끼 시리즈'라고들 하지만 내겐 업다이크 하면 단연 '브라질'이고 이후 내 머릿속에서 업다이크의 인상은 이 소설과 함께 박제되었다.

절판된 장편소설『브라질』은 인종, 계층, 계급, 성(性), 종교... 유사 이래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차별이 등장한다. 그럴 수밖에 없는 게 주인공인 연인들의 배경부터가 그렇다.

 

(아마 외교관인가 정치가였던 걸로 기억하는)고위급 공무원의 딸이자 백인인 이사벨과 빈민가 하층민이자 부랑아인 흑인 트리스탕은 사랑에 빠진 연인이지만 그들이 넘어야 할 장애물은 너무나 많다. 결국 겪을 수 있는 모든 시련을 겪은 끝에 마지막으로 이사벨은 주술의 힘을 빌어 자신과 트리스탕의 피부색을 바꾼다. 그리하여 백인의 피부색을 갖게 된 트리스탕은 그가 모체의 자궁에 배태되는 순간부터 유산으로 물려받았던 그 모든 편견과 차별로부터 벗어나 비로소 주류사회에 편입된다. 여기에서 끝났더라면 아마 이 소설은 그렇고 그런 로맨스 판타지에 머물렀을 것이다. 그러나 소설은 기어코 엔딩에서 화룡점정을 찍는다.

 

트리스탕은 피부색을 바꾸고 이사벨의 배경을 획득함으로써 자신에게 쏟아지던 모든 차별과 편견의 속박에서 벗어나지만 단 하나 자신의 근간을 이루는 본질은 벗어던지지 못한다. 피부가 하얗게 변하고 돈과 권력을 쥐어도 그의 본질은 하층민 부랑아 흑인이다.

부정할 수 없는 진실은, 본질을 규정하는 것은 형상이 아니며 형상은 말그대로 껍데기일 뿐이라는 것이다. 껍데기와 본질이 일치하지 않으니 트리스탕은 물리적으로는 모든 것을 다 가졌으나 정신적으로는 뿌리를 내리지 못하는 부초처럼 어딘가 불안하다. 그리고 트리스탕이 주류의 삶에 완전히 익숙해졌을 때 소설은 처음으로 되돌아간다. 처음 이사벨을 만났던 해변으로 간 트리스탕은 자신의 어린 시절과 닮은 흑인 부랑아의 칼에 찔려 죽어간다. 

이사벨은 모든 남자의 아이를 가졌지만 단 한 사람, 사랑하는 트리스탕의 아이는 가질 수 없었다. 이는 끝내 합일을 이룰 수 없는 이사벨과 트리스탕의 본질을 매우 강박적으로 보여준 일종의 우화이기도 하다.

 

『브라질』의 엔딩은 오랫동안 나를 놓아주지 않았는데 책장을 덮을 당시엔 작가 때문에 불쾌했고, 시간이 좀 지나서는 이사벨 때문에 슬펐고, 시간이 더 많이 흐르고서야 비로소 트리스탕을 위한 해피엔딩이라고 수긍하게 되었다.

트리스탕을 찌른 건 과거의 자신이며, 찔린 건 거짓 껍데기였으며, 거짓 껍데기를 벗어던지며 트리스탕은 본질을 되찾는다. 결국 트리스탕은 스스로 자신의 껍데기를 찌르고 그것으로부터 해방되었던 것이다.

쉽진 않았지만 어쨌든 나는 작가와 화해한 것이다.

 

나는 오랫동안 업다이크가 브라질리언이라 철썩같이 믿었다. 그만큼 소설 속 브라질은 사실적이고 섬세하다. 존 업다이크가 미국인이라는 사실을 알았을 때 잠깐이지만 인지부조화를 겪었는데, 그도 그럴 것이 94년에 출간되자마자 사회적 파장을 일으켰다는 얘기가 하나도 안 이상한 이 소설은 브라질을 정의하는 모든 것이나 마찬가지이기 때문. 금기와 본능과 광기가 전복되고 해체되고 조롱당한 후의 카니발의 새벽을 훔쳐본 기분이 드는 이 소설은, 다시 생각해도 스무살 새내기가 읽기엔 무리였다는 생각이 든다.

 

BLACK is a shade of brown. So is white, if you look. On Copacabana, the most democratic, crowded, and dangerous of Rio de Janeiro's beaches, all colors merge in one joyous, sun-stunned flesh-color, coating the sand with a second, living skin.

 

- i. The Beach, 『Brazil』

 

발췌는 소설『브라질』의 모든 것을 함축하고 있는 첫 문단.

 

 

그리고 별 거 아닌 얘기_.

 

i. 한때 절판된 이 소설이 다시 읽고 싶어 아마존닷컴 장바구니에 담아놓고선 까맣게 잊었는데 새벽에 오랜만에 생각이 나서 아마존닷컴에 접속했다. 그리고 연관 카테고리 '이 책 구매자가 구매한 다른 책'에 한강의『Vegetarian』이 있어 리뷰를 잠깐 읽던 중에 나도 모르게 하하- 웃었다. 이유는 카테고리만큼이나 두 소설에 대한 리뷰어들의 호불호가 비슷해서인데 두 소설을 좋아하는 이유도 같고 싫어하는 이유도 같으니 재미있기도 하고 신기하기도 하고.

 

ii. 문동은 나머지 토끼들을 언제 출간해줄건지...?

 

iii. 토끼도 있고 역자 김진준도 있는데 혹 문동이 복간을 해주려나 기대하면 무리수인가.

 

iv.  테리 길리엄의 <여인의 음모>는 원제가 <브라질>이다. 아닌 줄 알면서도 소설과의 연관성을 찾으며 봤던 이 영화는 다 보고 나면 두 번 분노한다. 국내판 제목에 한 번, 테리 길리엄의 제목에 또 한 번.

 

v. 올초에 나온 츠바이크의 신간이 마침『미래의 나라, 브라질』이다. 신간 소식을 보고도 조금 시들했는데 역시 읽어봐야겠다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Q1. 언제, 어디서 책 읽는 걸 좋아하십니까?

 

 

거의 대부분 서재의 리클라이너 소파에서 읽는다. 책 읽는 시간은 깨어있는 동안 무시로.

대중교통 이용 중에는 책을 거의 못 읽는데 이유는 버스는 멀미가 나서, 지하철은 집중이 흐트러져서.

그렇지만 읽든 안 읽든 외출할 때 책을 늘 챙기는데, 일정 중에 시간의 공백이 생겼을 때 책이 없으면 불안하다.

 

 

Q2. 독서 습관이 궁금합니다. 종이책을 읽으시나요? 전자책을 읽으시나요? 읽으면서 메모를 하거나 책을 접거나 하시나요?

 

실물이 가진 물성을 격하게 아끼는고로 아직까지는 종이책만 읽는다. 책 한 권을 손에 쥐었을 때 느껴지는 질감, 페이지를 넘길 때 손끝에 닿는 감각, 장정 등의 만듦새를 사랑한다.

앤 페디먼 식으로 말하면 책에 대한 내 애정은 궁정식 연애에 해당한다. 무엇보다 내킬 때 수시로 책장에서 책을 꺼내 아무 페이지나 펼쳐 보는 습관 탓에 아직까지는 전자책의 장점에 매력을 못 느낀다.

(자칭)원형보존강박증이 있어 책에 직접 뭔가를 하지는 않는다. 책을 읽을 때 플래그 포스트잇을 이용하고, 발췌는 메모지나 개인 SNS를 적극 활용.

 

 

Q3. 지금 침대 머리 맡에는 어떤 책이 놓여 있나요?

 

 

침대 머리맡은 아니고 책상에 최근 배송 받은 아리시마 다케오 소설 두 권, 뮐러 희곡선/산문선/해제집이 있다.

 

 

Q4. 개인 서재의 책들은 어떤 방식으로 배열해두시나요? 모든 책을 다 갖고 계시는 편인가요, 간소하게 줄이려고 애쓰는 편인가요?

 

 

현재 4천 권이 넘어섰는데 일단 내 손으로 책장에 꽂은 책은 모두 소장하고 아직까지 책을 판매한 적은 없다. 그래도 심정적 저지선인 5천 권은 안 넘겨야지 한다.

배열 원칙은 대분류는 해외와 국내, 소분류는 전집 - 작가 - 출판사 순으로 책장이 따로 있다..., 따로 있었지만 최근 들어 점점 책장이 정체성을 잃어가고 있다. 정리해야되는데 엄두가 안 나서 내버려두는 중.

 

 

Q5. 어렸을 때 가장 좋아했던 책은 무엇입니까?

 

해문에서 나오던 애거서 크리스티 시리즈. 용돈을 받을 때마다 서점으로 뛰어가서 한 권씩 사모았던 탓에 특히 애착이 가는 시리즈. 어린 내게 살인 사건의 동기는 돈 아니면 치정이라는 절대명제를 가르쳐 준 고마운 책, 고마운 작가.


 

Q6. 당신 책장에 있는 책들 가운데 우리가 보면 놀랄 만한 책은 무엇일까요?

 

'겐지이야기' 만화 원서. 나름 희귀본.

 


Q7. 고인이 되거나 살아 있는 작가들 중 누구라도 만날 수 있다면 누구를 만나고 싶습니까? 만나면 무엇을 알고 싶습니까?

 

헤르만 헤세. 데미안이 왜 전쟁에 참전했는지 꼭 묻고 싶다. 나만의 문학 속 3대 미스테리

 


Q8. 늘 읽어야겠다고 생각했지만 아직 읽지 못한 책이 있습니까?

 

 

박상륭 '죽음의 한 연구'. 10년이 넘도록 '읽어야지'에 머물고 있다. 책은 골동품 수준(이미지 클릭).


 

Q9. 최근에 끝내지 못하고 내려놓은 책이 있다면요?

 

 

 

 

 

 

 

 

 

 

 

 

 

 

아모스 오즈의 '사랑과 어둠의 이야기'. 도서관에서 대출했는데 1권 20여 페이지를 읽다가 반납.

이유는, 이 책은 사서 책장에 꽂아두고 읽어야겠다는 생각을 했기 때문.

 


Q10. 무인도에 세 권의 책만 가져갈 수 있다면 무엇을 가져가시겠습니까?

 

슬램덩크(이노우에 다케히코), 영어사전, 가톨릭성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6)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동친과 각자 볼일을 보고 중간 지점에서 만나기로 했는데 내 일이 조금 더 일찍 끝나 도서관에 들렀다. 그리고 신착도서 칸에서 발견한 황현산과 배수아의 에세이. 반납기일을 넘겨 대출정지 기간이라 대출은 못하고 일단 동친과 만나 나머지 볼일을 보고 점심도 먹고 동친은 집, 나는 다시 도서관으로. 그리고 일몰 직전까지 읽은 두 권.

황현산의 책은 시비평에세이, 배수아의 책은 여행에세이.

 

 

 

먼저, 황현산의『우물에서 하늘보기』

첫번째 목차가 청마 이육사의 '광야'인데, 사실 나는 광야 첫 구절이 해석의 논란에 있는 걸 이 책에서 알았다. 학교에선 배운 기억이 없는데;;;;;

논란이 된 구절은 '어데 닭우는 소리 들렸으랴',로 이중에서도 들렸으랴를 '들렸을리가 없다'는 부정형으로 해석할 것인가, '들렸다'는 감탄형으로 해석할 것인가 주장이 나뉜 것이다.

부연하면, 

 

'들렸을리 없다'(부정형)이면 앞 소절 닭우는 소리는 의미 그대로 '꼬끼오'인 거고,

'들렸다'(감탄형)이면 닭우는 소리는 개벽, 새로운 도래 등의 은유인 거고.

 

라는 것이다.

감탄형으로 해석해야 한다가 뒤에 나온 주장(70년 대 중반)인데, 양쪽 모두 상대를 완전히 설득시킬 의견을 내지 못해 지금까지 결론을 못 내렸다고 한다.

사실 작가는 원고지에 마침표를 찍는 것으로 제 할 일을 끝낸 것이고 또 그게 맞는데, 이렇게 후대에서 해석의 문제가 불거지는 광경을 볼 때마다 작가 스스로 '해제론'을 만들어 어딘가에 보물찾기로 숨겨두어야 하지 않을까, 생각하게 된다. 작품이 오역되면 제일 억울한 건 작가 본인이니까.

읽으면서 가슴 아팠던 목차는「박정만의 투쟁」편.

 

박정만은 1981년 5월 어느 날 그가 편집부장으로 근무하던 출판사에 출근하지 않았다. 사람들은 크게 놀라지 않았다. 그의 잠적은 드문 일이 아니었기 때문이다. 그는 유능했지만 무책임한 사람이기도 해서, 우리들의 관심은 또 한 차례의 잠적을 성사시켰을 어느 여성의 정체에 대해 더 많이 쏠렸다. 그러나 여자는 없었다. 그가 자신의 대학 동창이기도 한 어느 소설가와 함께 술을 마셨다는 오직 그 이유 하나로 검은 차를 몰고 온 사나이들에게 끌려갔다는 것도, 이제는 문학인들의 집이 된 남산의 어느 시설에서 내리 사흘 동안 "청동상"처럼 온몸에 퍼렇게 멍이 들도록 두들겨 맞았다는 것도 나중에야 알려진 일이었다. -p. 178

 

박정만은 결국 고문의 후유증을 못 이기고 7년 후 사망한다. 공식사인은 간경화.

내겐 생소한, 이름을 처음 듣는 시인 박정만은 죽음을 앞두고 보름동안 300여 편에 가까운 시작(詩作)을 했다. 유작시를 비롯, 시전집이 있다.

저자는 대안은 역사를 전제로 하는데 역사는 어떤 문제도 해결한 적이 없다.(p.192)라고 말한다.

씁쓸하지만 옳은 얘기다.

 

어렸을 때 아버지가 종종 하시던 얘기가 아직도 기억나는데 그때그시절엔 술집에서 술 마시다 끌려가고, 집에서 TV보다가 끌려가고, 길가다가 끌려가고 그랬다는 내용이었다. 아버지 사촌이 카투사 복무 중에 의문사한 일이 있어(가족이 연락을 받고 찾아간 곳은 영안실이었다), 아버지에겐 시대의 일부가 개인사가 된 그때그시절 얘기. 그래도 뭐. 선거가 있을 때마다 6시 땡- 하면 제일 먼저 투표소로 가서 우리가남이가당에 투표하신다.

제목은 잊어버렸고, 어렸을 때 TV에서 본 한국영화인데(흑백 분위기였던 걸로 보아 아주 옛날 영화였던 것 같다), 잘 나가는 교수(?)가 어찌저찌 알게 된 사람- 실은 남파간첩과 술을 마시는데 남파간첩이 "우리 건배합시다" 한다. 그리고 두 사람이 활짝 웃으면서 건배하는 순간 두 사람 뒤로 커튼이 걷히면서 김일성 '존영'이 나타난다. 그러니까 교수는 남파간첩의 덫에 걸린 것이다. 앞뒤 얘기는 기억 안 나고 유독 이 부분만 생생하게 기억에 남은 건 어린 마음에도 '누명 쓰는 거 참 쉽구나' 공포를 느꼈기 때문.

쓰면서 되새겨보니 제목도 기억 안 나는 이 한국영화는 아마 반공정신 고취를 목적으로 한 선전영화였던가 싶다.

지난 3월에 통칭 '테러방지법'이 통과되었다.

총선이 일주일여 남았다. 당연히 선거판에 나올 수 있는 온갖 세태가 벌어지고 있다.

히틀러의 유명한 선전관 괴벨스의 명언 몇 가지를 옮겨본다.

 

나에게 한 문장만 달라. 누구든 범죄자로 만들 수 있다.

선동은 한 문장으로도 가능하지만 그것을 반박하려면 수십장의 문서와 증거가 필요하다. 그리고 그것을 반박하려고 할 때에는 이미 사람들은 선동되어있다.

99가지의 거짓과 1개의 진실의 적절한 배합이 100%의 거짓보다 더 큰 효과를 낸다.

대중은 거짓말을 처음에는 부정하고 그 다음엔 의심하지만 되풀이하면 결국에는 믿게 된다.

 

대중은 정말 개돼지일까. 먹을거리, 유흥거리만 주면 만족하는 가축일까.

가끔 동친과 하는 얘기인데, 대한민국 역사에서 가장 뼈아픈 패착은 친일청산을 못했다는 거다. 해방 이후 대한민국이 겪고 있는 모든 불행과 부조리와 비극은 친일청산 실패에서 시작한다.

 

 

 

다음, 배수아의『잠자는 남자와 일주일을』

비유를 들자면 첫타석 삼진, 둘째타석 삼진인데 셋째타석에서 홈런을 치는 작가가 있다. 작가(or 작품)에 대한 호불호 얘기다. 여기에 해당하는 인물로 지금 딱 떠오르는 작가가 정혜윤인데 계속 별로다- 하다가『마술 라디오』에서 홈런을 친 경우로 이후 정혜윤의 신간이 나오면 눈여겨 보게 되었다. 나한테는 그렇다는 얘기. 반면 배수아는 계속해서 타석 삼진. 파울볼도 없고 사구도 없다.

『잠자는 남자와 일주일을』을 읽으면서 내내 들었던 의문은 잠자는 남자가 실존인물이긴 할까, 라는 거. 잠자는 남자와 나누는 대화도 마찬가지. 남자도 대화도 지나치게 소설적이라 이런 의문이 남는 것이다. 도중에 책 날개 안쪽의 프로필을 몇 번이나 확인하고도, 집에 돌아와서 키보드를 두들기는 지금도 나는 여전히 확신을 못하고 있다. 이건 분명 문제가 있는 거다. 뭐가? 작가의 글쓰기가. 혹은 글쓰는 스타일이. 혹은 글쓰는 방향성이.

블로그식 글쓰기던가? 아마 그런 표현이었던 것 같은데. 무슨 말인고 하니 개인 SNS에 쓰는, '나에' 의한, '나를' 위한, '나만의' 글을 의미한다. '스타일리쉬'하다는 건 다른 의미로 개성적이라는 얘기인데, 작가의 글쓰기가 지나치게 '스타일리쉬'하면 독자를 일방적인 청자로 만든다. 작가에겐 발산이고 힐링일지 모르나 독자에겐 타인의 꿈 얘기를 듣는 것만큼이나 의미가 없다.

배수아에 대한 나의 호불호는, 그리하여 여전히 유효하며 현재진행형이다. 그녀의 글은 소설, 수필, 번역- 장르 가리지 않고 여전히 불편하다. 하물며 그녀는 번역조차도 그녀의 언어로 채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책장에 그녀가 번역한 책이 꽤 있는 걸 보면(확인하고 심쿵;;;) 그녀의 글에 느끼는 불편함은 내 불호일 뿐, 대중은 그녀를 좋아하는 모양이다. 

그러거나 말거나, 기다렸던 혹은 끌렸던 책의 역자가 배수아라 구매를 포기한 경험이 다수 있는 탓에 페소아의 책이 다른 역자의, 그것도 중역이 아닌 완역이 나온 것에 새삼 '다행이다' 안도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8)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