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스눕 - 상대를 꿰뚫어보는 힘
샘 고슬링 지음, 김선아 옮김, 황상민 감수 / 한국경제신문 / 2010년 5월
평점 :
스눕(snoop) : 직감을 넘어 과학적으로 상대를 읽다
"열 길 물 속은 알아도 한 길 사람 속은 모른다"는 속담이 있다. 알 수 없는 것이 사람의 마음이고, 그 알 수 없는 사람의 마음이 우리를 당황하게 할 때가 많다. 또 이와는 반대로 "내 속을 뒤집어 보여주고 싶다"는 말도 흔하게 한다. 속마음을 열어 보여주고 싶지만 생각만큼 표현되지 않을 때, 우리는 답답함을 느낀다. 알 수 없는 사람의 마음, 다 보여줄 수 없는 사람의 마음이 오해와 속임수와 소통의 단절을 불러온다. 그래서 우리는 본능적으로 사람을 꿰뚫어볼 수 있는 능력을 원하는지 모르겠다.
<스눕>은 단서를 통해서 그 사람을 꿰뚫어보는, 일종의 추리 법칙을 가르쳐주는 책이다. 다시 말해, 스눕은 단순한 통밥이 아니라, 직관을 넘어 단서를 바탕으로 유추하는 (심리학적) 추론 능력이다. 저자는 '스눕'(snoop)을 "직감을 넘어 과학적으로 상대를 읽다"라고 정의한다. 책을 읽다 보면, 사람의 심리를 꿰뚫어 보는 통찰력은 곧 주의력과 논리력으로 통한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심리학 교수인 저자 샘 고슬링은 인간이 어떻게 숨겨진 자신의 내면을 외부로 투영 또는 감추려 하는지에 관해 10년 동안 연구했다고 한다. 그리고 소지품이나 침실과 사무실과 같이 그 사람이 생활하는 장소를 보는 것만으로도 그 사람에 대해 얼마나 많은 사실을 알아낼 수 있는지를 검증해냈다. 한마디로 스눕은 사소한 물건들 속에서 '의미 있는 단서'를 찾아내어, 그것을 해석하는 과정이요, 작업이다. 마치 명탐정의 추리에 감탄하듯, 의미 있는 단서를 찾아내어 그것을 해석하는 (과학적인) 방법을 배우다 보면 절로 감탄사가 튀어 나올 것이다. 명탐정 셜록 홈즈도 다름 아닌 스누퍼였던 것이다. <스눕>은 상대를 꿰뚫어보는 노하우를 아낌없이 공개한다. 우리도 이제 스누퍼로 거듭나 보자!
<스눕>이 집중하는 것은 사소하고 일상적인 단서이다. 그 사람이 생활하는 장소나 소지품을 주의 깊게 관찰하는 것만으로도 그 사람의 성격이나 심리상태를 파악해낼 수가 있다. 인간은 자신의 내면을 외부로 투영하기도 하고, 반대로 감추려 하기도 한다. <스눕>은 우리의 소지품이나 생활공간, 그리고 사소한 버릇 등에 그러한 심리가 반영되어 있다고 말한다. 그리고 그것을 읽고 해석해내는 능력이 바로 '스눕'이다. 일상적인 단서들을 잘 살펴보는 것만으로도 그 사람이 개방적인지, 성실한지, 외형적인지 내향적인지, 동조적인지, 신경성이 높은 사람인지, 고지식한지 융통성이 있는지 알아낼 수 있다.
"우리는 방을 검토해나가면서 방주인들의 심리학적 족적을 인지하고 성격이 표현된 각기 다른 방식들을 어렴풋이나마 확인할 수 있었다. 크게 3가지 분류, 즉 '자기정체성 주장', '감정 조절', '행동양식'의 흔적이 주로 사람들이 주변 환경을 다루는 매커니즘인 듯했다"(32).
가구 배치나 수집품, 책장, 사진이나 포스터 등에 자기정체성을 주장하는 상징, 감정을 조절하고자 하는 장치, 행동양식을 반증하는 흔적이 반영되어 있다는 것이다. 다시 말해, 자아확인, 감정 조절 장치, 행동양식의 잔여물이라는 3가지 매커니즘이 개인적인 공간을 지배하고 있으며, 그 3가지 매커니즘에 따라 개인적인 공간에 스스로 대한 단서들을 남긴다는 것이다. 스누퍼는 이러한 소지품이나 생활공간을 보며 질문을 던져보면 된다. 그의 공간이나 소지품에 분명 증거가 있다. 예를 들면, 책장을 볼 때는 책을 정리하는 방식은 무엇인지, 그리고 어떤 종류의 책을 가지고 있는지 묻는 것이다. 일반적인 정리방식대로라면 상대는 책임감 있고 안정된 사람일 것이지만, 도서관에서나 사용하는 분류법을 적용시켰다면 상대는 신경증 환자일지 모른다. 또한 하나의 분야에 관련된 책 100권 보다 다양한 주제의 책 10권이 꽂혀 있는 책장의 주인이 보다 융통성 있는 사람이라고 말한다.
<스눕>은 사람이 어떻게 공간과 연결되어 있는지를 보여주는 흥미로운 보고서이다. 사실 우리는 얼마나 다양한 방법으로 끊임없이 자신을 외부에 알리고 있는가. 소통을 원하는 수많은 신호가 주변에 널려 있는데도, 그것을 눈치채지 못하고 살아가는 것이다. <스눕>에서 설명하는 추론은 어찌 보면 지극히 당연하게 느껴지는 것들이다. 다만 우리가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다는 것이 문제이다. 생각하고 싶은 대로 생각하고, 보고 싶은 대로 보면서 마음대로 판단해버리는 것이다. <스눕>은 일상적인 생활공간이나 사소한 소지품을 등을 통해 우리가 서로에게 의식적으로든, 또는 무의식적으로든 공개적으로 내보고 있는 내면의 신호가 있다는 것을 알려주고, 그것을 감지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준다는 데에 의의를 두고 싶다. 다만, <스눕>이 가르쳐주는 추론은 그 사람을 이해하는 하나의 실마리로 이해해야 할 것이다. 하나의, 또는 몇 가지의 단서로 그 사람을 규정하는 것은 선입견이라는 오류에 빠질 위험성을 내포한다고 본다. 사람의 마음이라는 것은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복잡하고 역동적이고 복합적이여서 하나의 틀 안에 가둬둘 수 없는 것이니 말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