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는
큰다 큰다
기지개를 켤 때마다.
아기는
큰다 큰다
떼를 쓰고 울 때마다.
아기는
큰다 큰다
달음박질 할 때마다.
아기는 큰다 큰다
집집마다 동네마다.
윤석중 「아기는 큰다 큰다」 (1948)
문학이라는 게 시간이 지남에 따라 더 좋아지는 것인지 아닌지는 알 수 없지만 굳이 거슬러 옛날로 돌아가고 싶지는 않다. 예나 지금이나 작품들에는 편차가 있고 결정적으로 독자에 따라 호오가 갈리게 마련이니까. 그렇지만 간절한 마음으로 흐름을 되돌리고 싶은 장르가 있으니 바로 동시-동요다. 60년 전 동요의 “아기는 큰다 큰다 / 집집마다 동네마다”는 얼마나 간결하고 순박하며 따뜻하냔 말이다. 읽기도 외우기도 쉽고 노래를 붙이기도 쉽다. 게다가 자고 일어나는 것, 뛰어노는 것, 심지어 떼를 쓰는 것까지 어린이에겐 ‘크는 과정’이라는 통찰과 너그러운 시선을 보라지. ‘집집마다 동네마다’에 묻어있는 정겨움이란. 예쁜 노랫말이 주는 연둣빛 뚝뚝 떨어지는 감동은 다른 어떤 예술의 그것도 대신하지 못한다. 자, 이번 어린이날에는 진짜 동시와 동요를 읽어보아요.
『날아라 새들아』(윤석중 동요선집, 창비 1983; 1991)
개정을 했다지만 본문의 서체와 책의 모양새가 약간 오래된 것으로 보인다. 이렇게 훌륭한 동요집을 여태 재개정하지 않은 창비가 서둘렀으면 좋겠지만 또 막상 이 책의 동요들을 읽다 보면 생각이 달라진다. 화려한 요즘 동시집들에 비하면 촌스러워 보이지만, 시에 집중하기가 좋다. 그림이 간결하고 무엇보다 윤석중의 시 자체가 이미지를 떠올리기 좋은 덕분. 천여 편에 이른다는 윤석중의 작품들 중에서 추린 시가 무려 200여 편이다. “새 신을 신고 / 뛰어 보자 팔짝 / 머리가 하늘까지 닿겠네” “아가야 나오너라/ 달맞이 가자 / 앵두 따다 실에 꿰어 / 목에다 걸고 / 검둥개야 너도 가자 / 냇가로 가자” “퐁당퐁당 돌을 던지자 / 누나 몰래 돌을 던지자” “좁다란 학교길에 / 우산 세 개가 / 이마를 마주대고 / 걸어갑니다” “아버지는 나귀 타고 장에 가시고 / 할머니는 건너 마을 아저씨 댁에” 읽으며 자기도 모르게 속으로 노래를 부른 분들은 조용히 손을 듭니다. 어린 시절 조금쯤 윤석중에게 빚을 지셨군요. 갚으실 땝니다.
『귀뚜라미와 나와』(겨레아동문학연구회 엮음, 보리 1999)
‘한국 근대문학사의 횡재’라는 최원식의 추천사가 결코 과장이 아니다. 근대 아동문학의 성과를 정리한 ‘겨레아동문학선집’(전10권)은 한 권 한 권이 벅차게 귀하지만 나는 『귀뚜라미와 나와』를 특별히 좋아한다. “넣을 것 없어 / 걱정이던 / 호주머니는, // 겨울만 되면 / 주먹 두 개 갑북갑북” (윤동주, 호주머니-전문.) “방그죽 입을 벌린 밤송이에서 / 알암밤 형제가 내다봅니다 / 다람쥐 있나 없나 내다봅니다.” (현동염, 알암밤 형제.) “가갸 거겨 / 고교 구규 / 그기 가. // 라랴 러려 / 로료 루류 / 르리 라.” (한하운, 개구리-전문.) 정말 아무데나 펼쳐도 이런 시들 나온다. 신나는데 하나 더 읽어드릴까요? “비오는 날 / 빗방울들이 / 빨랫줄 위에서 / 동동동 / 줄타기 연습하오 // 뒤에 오는 / 빗방울 하나 / 앞선 놈 밀치다 / 뚜-욱-딱 / 둘이 다 떨어져요” (송창일, 빗방울-전문.)

『할아버지 요강』(임길택, 보리 1995)
어느 평론가의 말을 아주 거칠게 요약하자면 이렇다. ‘어린이가 아니고서 동심을 가진 채로 시를 쓰는 일은 불가능하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임길택의 시가 그 생각을 바꿔 놓았다’(원종찬의 『동화와 어린이』에 이런 내용의 문단이 있어요.) “마흔 여섯 살로 세상을 떠날 때까지 가난한 아이들과 함께 했습니다”라는 책날개의 작가 소개를 보고 그저 착한 시, 또는 결연한 이념(?)시를 떠올려선 안 된다. “공부를 않고 / 놀기만 한다고 / 아버지한테 매를 맞았다. // 잠을 자려는데 / 아버지가 슬그머니 / 문을 열고 들어왔다. // 자는 척 / 눈을 감고 있으니 / 아버지가 / 내 눈물을 닦아주었다. // 미워서 / 말도 안 할려고 했는데 / 맘이 자꾸만 흔들렸다” (흔들리는 마음-전문)
『노래하는 강아지똥』 (권정생 원작, 백창우 지음, 길벗어린이 2009)
네꼬씨가 이렇게 동시를 좀 읽어달라고 애걸복걸해도 ‘그래도 어른이 쑥스럽게...’ 라는 생각이 든다거나, 둘레의 어린이가 아무리 시를 읽어도 별 감흥이 없어한다거나(물론 그럴 땐 그냥 억지로 읽히면 된다), 역시 둘레의 어린이가 ‘쏘리쏘리쏘리쏘리 내카내카내카 먼저’ 이런 노래를 흥얼거리는 걸 못 봐주겠다거나, 아니면 그냥 색다른 (새로운) 음악을 들어보고 싶은 분들에게 맞춤한 책이 바로 지난주에 나왔다. ‘노래마을’과 ‘굴렁쇠아이들’을 이끄는 백창우. 복습해보자. ‘우리의 노래가 이 그늘진 땅에 햇볕 한 줌 될 수 있다면’ ‘나이 서른에 우린’ 또 있다. ‘부치지 않은 편지’(김광석) ‘내 사람이여’(임동원/김광석) 그렇다, 바로 그 백창우다. 알려진 대로 백창우는 ‘아이들에게 아이들 노래를 돌려주자’는 취지로 많은 동요 앨범을 냈다. 이원수, 이문구 등의 동시에 노래를 붙이기도 했고, 전래동요를 되살렸으며, 스스로 동시를 쓰기도 했다. 이번에 나온 『노래하는 강아지똥』은 권정생의 「강아지똥」에 영감을 받아 만든 노래들. 첫 곡부터 마지막 곡까지 노래극의 형태로 들을 수 있는데 때로는 잔잔하게, 때로는 신나게, 때로는 슬프게 원작의 감동을 전한다. 알라딘에서 미리듣기 이벤트중이다( 요기서 ). 굴렁쇠 아이들이 노래를 많이 했고 백창우 자신이 내레이션을 하기도 했으며(듣고 있노라면 어째 울컥한다) 이홍렬 아저씨가 우정출연(?)한다. 진짜 되게 좋다.
*
페이퍼의 제목 “물건이 좋지 않으면 권하지 않습니다”는 저의 완소 웹진 텐아시아 의 한 꼭지 10choice 카피에서 베껴왔어요. 텐아시아 자체가 제가 권하는 물건. 여러분, 네꼬씨는 물건이 좋지 않으면 권하지 않습니다. 싱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