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러다 닉네임을 '베짱이'로 바꾸는 날이 올지도 모르겠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렇듯이 '개미와 베짱이' 이야기에서 베짱이 편을 드는 네꼬 씨이지만, 이렇다 할 장기도 하나 없는 처지에 오로지 게으르기 때문에 베짱이가 된다는 건 무척 부끄러운 일이다. 나름대로는 리뷰를 써보려고 연필 몇 자루 꼭지를 씹었는데, 맘 먹고 쓰려고 하면 석 줄 이상 써지질 않는다. 아니, 정확히 말하자면, 하려던 얘기를 꺼내기까지, 대문에서 현관까지 진입로가 너무 길다. 봐, 지금도 그렇잖아.
그래, 알았다 알았어. 가즈키가 돌아왔다. 그런데 이번엔 너무 의젓해졌다. 의젓한 게 나쁠 건 없는데 '너무' 의젓해진 게 문제라면 문제다. 이렇게 하면 뒷 이야기랑 연결되겠지. 이렇게 하면 다양한 시점을 보여줄 수 있겠지. 이렇게 하면 따뜻한 마무리가 되겠지. 가즈키는 이런 걸 다 생각해서 수첩에 적어 본 다음, 절대로 서두르지 않고 조금씩 이야기를 풀어낸다. 가즈키가 '감질맛'을 낼 줄 안다니 놀랍고 한편 반가운 일이지만 (어느정도 짐작을 하면서도 마지막 이야기 <로마의 휴일>에선 그만 감탄하고 말았다) 어쩐지 나는 <<Go>> 시절의, <<레볼루션 넘버 3>> 시절의, <<플라이 대디 플라이>> 시절의 그가 그립다. 플라이 대디 시절의 그도 나름 의젓했는데. "상상을 하면서 움직여. 우린 인간이지 기계가 아니야." 이런 명대사를 나처럼 암기력 떨어지는 고양이가 외우게 할 만큼.

"아내가 종이 위에 적어준 장거리들처럼 / 인생의 세목들이 평화롭고 단순했으면 좋겠다" (<장보러 가는 길>)
"가장 뚜렷한 손금인 줄 알았는데 / 깊이 파인 흉터이듯이 / 무엇을 쥐었다 베었던가 / 생각은 안 나지만 / 손이 아주 아팠던 기억은 있듯이 / 그렇게 남자는 여자와의 사랑을 되돌아볼 것이다" (<평범해지는 손>)
"인용과 각주 / 어제의 통화 내용 / 부르주아 대가족 / 불어의 R 발음 / 모교의 정문 / 옛 애인들 (가나다 순) / 컨설턴트의 고객 개념 / 칸트의 물(物) 자체 / 물 자체라는 말 자체 / 라벤더 향기 / 아래쪽 / 토성" (<나를 환멸로 이끄는 것들>)
시인이란, 우주 속에 지구 위에 이 땅에 혼자 굴을 파고 쪼그리고 앉아서 그가 떠나온 저 먼 별을 자꾸만 바라보고 아무에게도 들리지 않게 한숨을 폭폭 쉬는 족속들이구나. 잘해주고 싶다, 시인들에게. 이 시집을 읽으면 그런 생각이 든다.
이 책은 치과 의자에 앉아 의사를 기다리면서도 웃음을 참지 못하게 해준다는 것보다 더 큰 장점이 있다. 바로 (그 흔한) 여행 사진이 한 장도 실리지 않았다는 것이다. 좋으나 싫으나 빌 브라이슨이 걸어다니는 대로 끌려다닐 수밖에 없다. 그가 파리의 건널목에서 파란 불에 건넌다는 이유만으로 차들의 살해 위협에 시달리면 나도 "깜짝이야!" 소리를 내면서 사방을 살펴야 한다. 스웨덴과 노르웨이는 술 값이 얼마나 비싼지 은행 대출을 받지 않으면 술 한병 살 수 없다는 진술에 "이 허풍쟁이" 하면서도 그쪽 여행은 일단 뒤로 미루는 게 좋겠다고 결심하게 된다. 무엇보다도, 그가 길고 지루한 기차 여행과 숨이 턱까지 차오르게 하는 끝없는 계단을 극복한 끝에 "세상에서 본 것 중 가장 아름다운 광장"을 내려다 보며 "눈물이 두 뺨을 타고 흘러내렸다"라고 할 때 나 역시 카프리에 도착한 벅찬 기쁨을 느낄 수 있다. 사진이 없기 때문에. 그동안 내가 왜 사진이 멋진 여행서에 침을 흘렸던 거지? 의아할 정도. 이따금 등장하는 카츠 씨, 반갑다. (소설가 김영하 표현 대로라면, '옆에서 고소영이 정우성 어깨에 올라 타 상모를 돌린다고 해도 눈길을 줄 수 없을 만큼 재밌는' <<나를 부르는 숲>>의 그 친구다.)

어쩌면 조금 먼 곳에 떨어져 있을지도 모른다. 그 사람은. 아주 아주 재미있고 웃기면서 또 참을 수 없이 안타까워서 중간에 몇 번이나 책을 덮어야 했다. 몇 통의 편지가 사람 마음을 활짝 열어버릴 수가 있다. 어디까지가 친밀함이고 어디까지가 우정이고, 어디서부터가 사랑일까. 내가 제일 안타까웠던 건 (사실은) 에미의 남편의 편지였다. ㅠㅠ
좀 다른 얘긴데, 여기 나오는 에미의 말투는 독일의 그녀, 그러니까 하이디 씨와 말투가 거의 정확히 일치한다. 난 자꾸 하이디 씨의 편지를 엿보는 것 같은 미안함과 즐거움에 빠지곤 했다. 그러고 보니 이 책 독일책이구나. 하이디 씨 소개해줘야지.
--새벽 세시. 혹시 기억하시는 분이 있을지 모르겠는데, 나는 세벽 세시의 전화를 받아줄 준비가 되어 있는 고양이다.
치과에 갈 일이 생겼다. 그것도 갑자기. 이 충격과 슬픔과 공포를 극복하지 못해 쩔쩔 매다가 진정을 위해 책을 두 권 주문했다.

고미 타로의 <<악어도 깜짝 치과 의사도 깜짝>>은 이 세상에서 제일 귀여운 그림책 베스트 5에 들 책이다. 그래 치과의사도 무서울 거야. 남의 입 속에 머리를 들이미는 일이 자기라고 좋겠어? 끼이이 소름끼치는 기계 소리가 자기라고 좋겠어? 윌리엄 스타이그의 <<치과 의사 드소토 선생님>>은 "제발 도와주세요. 이가 너무 아파요"라고 울먹이는 여우의 표정이 가슴 미어진다. 한편 치료를 마치고 집에 가는 길에 치료를 다 받은 다음 (생쥐) 치과 의사를 잡아먹으면 "나쁜 일일까 아닐까" 라고('나쁜일일까'가 아니라, '나쁜일일까 아닐까'라는 게 중요하다) 심각하게 고민하는 여우의 표정은 폭소를 자아낸다.
치과에 가서 검사를 받으니, 내가 그리 아플 것은 아니지만 의사로서는 무척 까다롭고 귀찮은, 한마디로 "내가 이게 뭐하는 짓인가 싶어요" 하는 (그 의사가 정말 그렇게 털어놨어요) 치료를 받아야 된단다. 그 난감함을 나에게 표현하는 의사에게 내심 서운했지만, 혹시 그래서 나에게 앙심을 품고 아프게 치료할까봐 두번째 치료 때 <<치과 의사 드소토 선생님>>을 선물했다. 의사는 정말 깜짝 놀라서 마치 손을 대면 안 되는 물건을 받는 듯한 태도로 그림책을 받아 들었다. 세번 째 치료를 시작하기 전, 의사는 여섯살 난 아이가 그 책을 무척 좋아했다고 한다. (앗싸, 다행이다.) 아니나 다를까, 치료를 마쳤는데 의사가 엘리베이터 앞에 선 나를 굳이 붙잡고 앞으로의 치료 과정을 아주많이 친절하게 따뜻하게 설명해줬다. 책은 참 쓸모가 많다는 (오늘도 역시) 엉뚱한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