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가 그랬더라? 화순 운주사에 다녀왔다고 했더니 "운주사 참 아스트랄하지." 그랬는데. 운주사는 입구부터 크고 작은 부처님과 다양한 패턴을 자랑하는 탑들이 서 있어 가히 "천불천탑"이 가능했겠구나 하는 생각이 들었다. 약간의 등반 끝에 그 유명한 와불을 뵈었다.

감은 눈이 참 예쁜 부처님. 이 와불이 일어나시면 세상이 바뀐다지. 동거녀 왈, "네꼬 씨, 여기까지 와서 누군가를 벌해달라고 하면 벌 받을까?" 그 누군가가 MB라는 걸 잘 아는 나는, "속으로만 비는 건 괜찮지 않을까?"라고 답한 뒤 함께 와불 둘레를 돌며 그 누군가를....

넓은 운주사 곳곳에서 만날 수 있는 부처님들. 이 많은 불상들은 거북이의 도움으로 만들어졌다는 설도 있고, 거의 한 사람의 솜씨로 보이기 때문에 누군가 일생을 바쳤을 거라는 설도 있고, 이 운주사가 석공들의 연습장이었을 거라는 설도 있다고 한다. 괜찮다면 첫번째 설이 맞았으면 좋겠다. 바다에서 꽤 멀어서 거북이들이 고생은 좀 했겠지만, 상상만 해도 아름답다.
화순에서 강진으로 넘어가는 길, 내내 나를 흥분시킨 것은 나주평야에 우뚝 선 월출산이었다. 교과서에서만 보았던 나주평야. 곡창지대란 이런 것이구나, 약간 소름이 끼치려고 하던 찰나에 나타난 월출산은 그 포스가 어찌나 강렬한지, 산에 대해서 아는 바 전혀 없는 나조차도 "야, 이건 정말 명산이구나!" 하는 말이 절로 나왔다. 운전을 하느라 사진을 찍지 못한 것이 아쉽다. 야 근데 정말 굉장하네, 굉장해. 응? 굉장했죠? 역시 굉장해. 야 난 또 저런 건 첨 봤네, 굉장하죠? 응. 정말 굉장해. 와, 정말이지, 굉장해 굉장해. 월출산을 옆에 두고 가면서 나눈 우리 넷의 대화는 이게 다였다.
다산초당은 생각보다 높은 데 있었다. 바닥이 얇은 운동화를 신은 나는 할 수 없이 좀 투덜거리면서 산을 올랐다. 그 길에는 소나무 뿌리들이 땅 위로 올라와 자연스럽게 계단을 만들어주었는데, 정호승 시인이 "뿌리의 길"이라고 이름을 붙여주었단다.

다산초당. 지붕 위 나뭇잎에 묻은 햇빛과 마루 앞 그늘을 비교해보면, 이곳이 꽤 깊은 숲속임을 짐작할 수 있다. 아는 사람은 다 아는 얘길 그냥 한번 더 해보자면, 원래 다산초당은 말 그대로 초가였는데 후손들이 복원하면서 기와집으로 꾸몄다고 한다. 조만간 초가로 다시 고쳐 지을 예정이라고. 역시 아는 사람은 다 아는 얘긴데 그냥 한번 해보자면, 내가 가는 곳엔 반드시 적용되는 법칙이 있다. "모기가 있다. 네꼬씨가 물린다." 나는 이 깊은 산속에서 추운 계절에 맞서 사투를 벌이고 있는 모기들에게 무려 네 군데의 식사 포인트를 제공했다. '내가 청바지도 뚫는 전라도 모기인데 너 따위 티셔츠는 개콩으로 보인다' 하는 맹렬한 기세로 달려드는 모기 가족에게 등짝을 고스란히 헌납. ㅠㅠ
사진에는 없지만 초당 앞에 작은 연못이 있었는데, 설명하시는 분의 말에 의하면 다산은 이 연못에서 뛰노는 물고기들만 보고도 그날의 날씨를 맞혔다 한다. 슈퍼컴도 못하는 일을....

멀리 구강포가 보이는 천일각. 이렇게 저렇게 찍어봤지만 이 정자에서 평원과 바다를 내려다보는 개운함을 사진으로 담기엔 원망스러운 나의 고양이발. 내가 다산이었다면 초당보단 여길 더 좋아했을 것 같다. 뒹굴뒹굴 책을 끼고 놀다가 먼 데를 보다가, 빗소리를 들으면서 낮잠도 자고 모기에게도 물리고... 공부는 언제..? 그래서 나는 다산이 못 된다. (꼭 그래서만은 아니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