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하에게는 작은 개가 있어요
송미경 지음, 김종민 그림 / 모래알(키다리)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




각자의 경험과 감정에 따라 다르게 그려지는 결말




이 책은 작고 연약한 세계가 가진 내말함을 아름답고 쓸쓸하게 담고 있다. 주인공 ‘영하’는 작은 집에 할머니와 단 둘이 살고 있다. 지붕에 난 창으로 낮엔 햇빛이, 밤엔 별빛이 쏟아져 들어온다. 할머니 심부름을 다녀오던 길에 영하는 작은 개(?)를 만났다. 영하는 작은 개에게 ‘보리’라는 이름을 붙여 주었다. 보리는 매일 아침 영하의 집에 와서 해가 지기 전까지 함께 놀았다.



영하는 보리가 돌아갈 때면 보이지 않을 때까지 손을 흔들었다. 보리도 달리다 멈추고 뒤를 돌아보고 꼬리를 흔들었다. 영하와 보리가 마당에서 놀고 있을 때 옆집 아이들이 놀러 왔다.

아이들은 함께 살지 않으면 네 개가 아니라고 한다. 영하는 옆집 아이들이 한 말이 자꾸만 떠올랐다. 주인이 찾고 있을 지도 모르고 자신의 개가 아니라는 것만 같았다.


영하는 산딸기를 따러 보리와 함께 공원을 지나다가 토끼 한 마리를 보았다. 보리가 컹 하고 짖자 토끼를 숲으로 날름 도망가 버렸다. 보리가 짖기를 멈추고 바라본 곳에는 낯선 아이가 보리를 꼭 닮은 작은 강아지 두 마리와 가만히 서 있었다. 보리는 아이와 강아지들을 보고 다시 영하를 보고 다시 아이와 강아지들을 보고 영하를 보았다.



그때 낯선 아이가 날카롭게 휘파람을 불자 망설이던 보리가 아이쪽으로 달려갔다. 아이가 보리에게 '제롬'이라고 소리 쳤다. 보리는 두 번 뒤를 돌아보았지만 돌아오지 않았다. 우울해 하는 영하에게 할머니는 자신이 어릴 적 기르던 토끼 이야기를 해주었다. 그날 밤 영하는 꿈속에서 어린 할머니와 토끼 그리고 보리와 함께 뛰노는 꿈을 꿨다. 다시 한 번 보리는 영하에게 찾아와 멀리 간다고 알려주고 영영 떠나버렸다.




책의 맨 마지막 문장은 ‘그런데 아주 작고 하얀 것이 깜빡이며 달려오는 것이었습니다.’이고 그 뒤에 영하와 보리가 같이 멀리 떠나는 그림으로 독자들에게 마지막 열린 결말을 선사한다. 아이들마다 책의 결말을 자신이 정할 수 있는 쓸쓸함을 잘 표현한 동화인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블루버드
밥 스택 지음, 이정아 옮김 / 우리동네책공장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




퍼블리셔스 위클리 선정 올해 최고의 어린이책




이 책은 파랑새와 소년의 우정이 담긴 말 없는 그림책이다. 친구들과 어울리지 못하고 침울한 표정으로 수업을 하고 있는 한 아이에게 파란 새가 찾아왔다. 하교 시간 혼자 걸어가는 아이에게 파란 새는 계속 쫓아온다. 결국 아이는 파란 새와 친구가 되고 웃음띤 얼굴을 보인다.








축구를 하는 친구들을 부러운 눈으로 바라보는 것을 눈치 챈 듯 한 파란 새는 조각 배를 띄워놓고 노는 곳으로 먼저 가 주변 아이들의 관심을 받게 도와준다. 그러다 으슥한 곳에서 불량한 아이들 무리가 주인공 아이의 조각배를 빼앗으려고 휘두른 나뭇가지에 그만 파란 새가 맞고 쓰러진다.






불량한 아이들은 놀라 도망치고 주인공 아이는 눈물을 흘린다. 그때, 빨간 색 새가 를 시작으로 다양한 색깔의 새들이 아이에게 와 하늘위로 날아 올라 파란 새를 구름 저 편으로 보낼 수 있게 도와준다. 퍼블리셔스 위클리 선정 올해 최고의 어린이책, 뉴욕타임즈 선정 주목할 만한 어린이책, 반스앤노블스 최고의 어린이책으로 선정 되었다고 한다. 우연히 나타난 파랑새는 상상의 새인지 현실의 새인지 모호하게 느껴진다. 우울함을 나타내는 파랑색은 주인공 소년에게는 희망의 날갯짓처럼 보이기도 한다. 파랑 새의 죽음으로 더 다양한 색깔의 새들과 친구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암시하는 듯 하다. 외로움, 우울함, 따돌림 등을 파랑 새라는 상징적으로 나타내는 듯 하다. 또한 책의 배경에는 선과 면, 도형으로 묘사되어 있어 주인공에게 더욱더 집중할 수 있도록 구성 되어 있다는 점이 인상적이었다.









이 책은 글 없는 그림 책으로 되어 있다. 글자 없이 오직 그림으로만 되어 있기엑 독자인 아이가 그림을 보면서 자신만의 이야기를 상상해야 한다. 글자가 없기에 저자가 무슨 내용을 말하는지 파악 하기 위해서 매 장 마다 펼쳐진 그림을 꼼꼼하게 살펴야 한다. 등장 인물들과 배경 그리고 색깔과 주변의 풍경 하나 하나 놓치지 말아야 한다. 부모가 직관적으로 보고 생각한 내용을 아이에게 전달 할 수도 있지만 그림을 보면서 아이의 생각을 묻고 거기에 맞춰 내용을 수정해 갈 수 도 있다. 그렇기에 더욱더 많은 상상력을 자극하는 동화인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 집이 제일 좋아
박형철 지음, 지병욱 그림 / 학교앞거북이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

 

 

 

실제로 일어난 이야기

 

 

 

 

이 책은 수초어항을 떠나 금붕어어항에 들어간 새우의 좌충우돌 이야기를 담고 있다. 사람들은 모두 예쁘고 멋있는 금붕어들만 쳐다본다. 반면 수초어항에 있는 새우는 조용하고 재미없고 안 예쁘기에 당연히 아무도 안 본다. 주인공 '새우'가 다른 새우와 멋진 경기를 펼치고 거꾸로 헤엄치고 엄청난 힘자랑을 해도 아무도 보지 않는다. 주인공 새우는 누군가 자신을 봐줬으면 좋겠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그 생각을 실행에 옮기기로 한다. 과연 새우는 무슨 생각을 했고 어떤 일을 하려는 것일까?

 

 

 

새우는 금붕어어항에 직접 건너가 보기로 결심을 한다. 새우가 금붕어어항에 들어가자 사람들이 모두 새우를 쳐다본다. 금붕어들의 짓궂은 장난에 마음대로 수영을 할 수 없는 지경에 이른다. 새우는 힘도 들고 배고 고프고 냄새도 너무 심하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결국 다시 집으로 돌아간다.

 

 

집 떠나면 고생이라는 말을 많이 들었다. 어른이 되고 사회 생활을 하고 나니 그 말이 점차 와닿게 된다. 아무리 좋고 멋진 곳을 여행한다고 해도 집에 돌아오는 순간 느끼는 아늑하고 편안한 감정은 비교할 수 없다. 사람들의 시선과 주목을 끄는 금붕어어항이 부럽고 자신도 그런 시선을 느껴보고 싶은 새우는 자신이 살던 집을 떠나는 모험을 한다. 사람들의 시선을 한몸에 받았지만 어려운 환경에 곧 처하게 되고 결국은 다시 집으로 힘겹게 돌아간다. 이 짧은 이야기의 놀라운 반전은 책 맨 뒷장에 이 이야기는 포항 어느 수족관에서 실제로 일어난 이야기입니다.’ 이 문구 하나로 책의 내용이 더욱더 현실적으로 와 닿는 듯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상 모든 쌩쌩 기차 탈것박물관 23
안명철 지음, 탈것발전소 기획 / 주니어골든벨 / 2022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



 



이 책은 우리가 접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기차에 대해 모두 알려준다. 약 200년전 영국에서 증기 기관차가 나왔다. 증기 기관차는 뜨거운 증기를 만들어 운행을 한다. 우리나라에도 들어왔고 두 글자로 줄여 '기차'라고 불렀다. 현대에는 철로 위를 다니는 교통, 운송 수단을 모두 '기차'라고 부른다. 책에는 크게 다섯 가지 질문에 대한 답으로 기차의 모든 것을 알려준다. ➀기차의 목적지는 어디인가요? ➁기차는 어떤 힘으로 움직이나요? ➂기차 안은 어떻게 생겼나요? ➃우리나라 기차는 무엇이 있나요? ⑤미래 기차는 어떤 기술이 있나요? 각각의 질문에 대한 답을 책을 통해 알아보자.




기차의 목적지는 어디인가요?라는 질문에 대한 답은 기차는 승객들을 목적지로 실어나른다. 목적지별 거리와 운행 방식에 따라 두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일반 철도와 도시 철도가 있다. 일반(고속) 철도는 전국적인 범위에서 여객의 수송을 담당한다. 이용하기 위해선 표를 예매하거나 구매해야 한다. 도시 철도는 대도시 안에서 버스보다 많은 사람들을 이동시켜 준다. 전철이나 지하철이라고 부른다.


보너스 궁금증으로 ‘장거리 기차 여행에서 무엇을 먹을까?’라는 질문에 다양한 나라들의 먹는 이야기가 담겨 있다. 중국인들은 평소엔 컵라면을 즐겨먹지 않지만 유독 기차 여행을 할 때는

컵라면을 필수로 챙긴다. 아프리카의 기차는 자주 멈춘다. 잠비아에선 기차에서 열대과일과 빵을 먹는다. 이탈리아의 기차역에선 어디에서나 파니니 파는 곳을 발견할 수 있다. 한국인들은 기차 여행의 추억으로 삶은 계란과 사이다, 말린 오징어를 떠올린다. 일본에서는 역마다 지역의 특산물을 이용한 다양한 도시락을 판매한다. 미국은 기차에서 과일이나 육포, 빵을 먹는다.



두 번째 질문인 ‘기차는 어떤 힘으로 움직이나요?’ 증기기관 방식, 디젤엔진 방식, 전기구동 방식이 있다. 200년 전 기차의 첫 등장인 증기기관이란 수증기가 가진 열의 힘을 운동의 힘으로 바꿔주는 동력기관을 말한다. 디젤엔진 방식은 자동차처럼 석유로 달리는 방식이다. 증기기관보다 동력 시스템을 작게 만들고 석탄을 집어 넣지 않아도 되지만 대신 달릴 때 소음이 크고 배기가스를 배출하여 공기를 오염시킨다. 전기구동 방식은 전기를 동력원으로 모터를 회전시켜 움직인다. 현재의 기차 대부분이 전기 구동 방식으로 대체되고 있다. 고속철도 역시 전기구동 방식이다.



이 밖에 ‘기차 안은 어떻게 생겼나요?’ ‘우리나라 기차는 무엇이 있나요?’ ‘미래 기차는 어떤 기술이 있나요?’에 대한 질문에 답도 책에 구체적으로 명시되어 있다. 경기도 의왕에 <철도박물관>이 있다. 책을 읽고 아이가 기차에 더더욱 관심을 가졌다면 한번 직접 찾아가 기차를 보고 타보면 더 좋을 듯 하다. 


















<그동안 읽은 ‘탈것 박물관’ 시리즈>


여행, 뭘 타고 갈래? (https://blog.naver.com/chihanjjang/222570733034)

세상 모든 친환경 차차차(https://blog.naver.com/chihanjjang/222254611662)

세상 모든 중장비(https://blog.naver.com/chihanjjang/221472138219)

트럭의 모든 것(https://blog.naver.com/chihanjjang/221525422749)

트랙터의 모든 것(https://blog.naver.com/chihanjjang/221525413687)

트럭의 모든 것(https://blog.naver.com/chihanjjang/22152542274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여행, 뭘 타고 갈래? 탈것박물관 22
크리스 옥스레이드 지음, 존 하슬람 그림, 권여준 옮김 / 주니어골든벨 / 202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



 










 



 

이 책은 다양한 탈것들의 역사와 변천사를 알려준다. 땅, 하늘, 바다에서 신기한 자동차, 열차, 비행기, 배에 대해 알아보자. 수천 년 전에는 자동차, 버스, 비행기, 배가 없었다. 사람들은 약 5500년 전 간단한 바퀴를 만들기 시작했다. 1600년대는 말들이 전속력으로 달려서 역마차는 길에서 아주 빨리 달릴 수 있었다. 1800년대말까지 도시는 말이 끄는 버스들과 택시들이 있었다. 1886년 '칼 벤츠'가 최초의 자동차를 만들었다. 1908년 '헨리 포드'가 작고 싼 자동차를 생산했다. 자동차는 휘발유나 디젤유를 쓰는 자동차도 있고 전기 자동차도 있다. 그리고 자전거와 오토바이에 대해서도 간략하게 설명한다.


 

 


 










서울에서 부산까지 가는 현실적인 방법으론 자동차, 버스, KTX, 비행기가 있을 것 같다. 그 중에서도 KTX는 비행기보다는 느리지만 자동차보다는 편리하고 빠르게 갈 수 있다. 약 200년전 증기 기관차가 나왔다. 증기 기관차는 뜨거운 증기를 만들어 운행을 한다. 그런 열차는 기술의 진보로 현재는 고속열차가 전국 곳곳을 누비고 있다.


 











 

그 밖에 배, 비행기에 관해 간략한 역사와 변천사를 알려준다. 그렇다면 자동차, 열차, 배, 비행기의 미래는 어떻게 될까? 하늘에서 드론이 소포를 배달 하게 될 것이다. 아무도 운전하지 않아도 운행을 하는 자동차를 심심치 않게 볼 수 있다. 우주여행을 하는 날이 곧 도래 할 듯 하다.


 

 

 



 






책 뒷편에는 탈것들이 무엇인지 맞춰보는 퀴즈와 책 속에 나왔던 다양한 탈것들에 대한 8개의 퀴즈가 있다. 책을 꼼꼼히 본 사람이면 쉽게 맞출 수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아이는 다양한 탈 것에 관해 대략적인 역사와 변천사를 익힐 수 있을 듯 하다. 탈것을 좋아하는 아이가 보면 좋을 책인 듯 하다. 





 

<그동안 읽은 ‘탈것 박물관’ 시리즈>


 

 

세상 모든 친환경 차차차(https://blog.naver.com/chihanjjang/222254611662)


세상 모든 중장비(https://blog.naver.com/chihanjjang/221472138219)


트럭의 모든 것(https://blog.naver.com/chihanjjang/221525422749)


트랙터의 모든 것(https://blog.naver.com/chihanjjang/221525413687)


트럭의 모든 것(https://blog.naver.com/chihanjjang/221525422749)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