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네 잘못이 아니야, 나탈리! ㅣ 책마중 문고
질 티보 지음, 이정주 옮김, 마리 클로드 파브로 그림 / 어린이작가정신 / 2021년 8월
평점 :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
아동 성폭력
이 책은 아동 성폭력이라는 민감한 사회 문제를 정면에서 다루고 있다. 주인공 '나탈리'는 간단한 비밀 이야기 정도는 친구들이랑 한다. 단짝 친구 '줄리'에겐 모든 비밀을 말한다. 딱 한 가지만 빼고, 그건 너무 끔찍해서 아무한테도 말할 수 없다. 끔찍한 비밀은 어떤 아저씨만 안다. 그 아저씨는 나탈리하고 자주 텔레비전을 보고 나탈리가 목욕하면 씻겨 주려고 한다. 아무한테도 말하지 말라며 사탕이랑 장난감을 사 주고 돈을 준다. 그 아저씨는 이 비밀을 엄마가 알게 되면 더 이상 사랑하지 않을 거라고 하고 경창리 잡아가서 평생 감옥에서 살게 될 거라고 한다. 또한 이 비밀을 아빠가 알게 되면 절대로 자신을 보지 않을 것이라고 한다. 과연 나탈리의 비밀은 드러날 수 있을까? 드러나게 되어도 나탈리는 괜찮을까?
기존 성폭력 예방 교육의 문제점은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중심으로 이루어져 왔다. ‘크게 소리 질러라’ ‘싫어요! 안 돼요!’라고 말해라 하지만 아동 성폭력은 상대방의 힘이 더 강할 때 일어나는 범죄 행위이기에 아동이 자기 몸을 스스로 보호하는 게 거의 불가능 하다. 더욱이 성폭력 상황에서 소리를 지르지 못하거나 싫다고 말하지 못한 아동에게 책임이 있다는 잘못된 메시지를 줄 수 있다. 성폭력은 무조건 가해자에게 책임이 있다.
아동 성폭력 교육은 피해 상황에서의 대처가 아니라, 성폭력이 발생하지 않도록 ‘사전 예방’이 중요하다. 일상생활에서 성폭력 예방을 위해 노력하는 것이다. 가장 좋은 방법은 아동이 평소 사람들과의 관계에서 자신의 감정이나 생각을 솔직하게 표현하도록 훈련하는 것이다. 아동이 자기 표현을 잘할 수 있으려면, 가정, 유치원, 어린이집, 학교 등에서 대화 분위기를 만드는 게 중요하다.
편안한 분위기에서 평소 대화를 많이 하면 아동에게 무슨 일이 일어났는지 금방 알 수 있고, 무슨 일이 발생 했을 때 아동 스스로 이야기할 가능성이 높아진다. 성폭력 사전 예방을 위한 '경계존중교육'이 필요하다. 경계(boundary)란 눈에 보이지는 않지만, 누구나 존중 받아야 하는 신체적, 물리적, 언어적, 정서적인 개인 영역을 의미한다. 나탈리는 미술 시간에 발작(?)에 가까운 행동을 보임으로써 선생님의 주의를 끌었고 그것을 놓치지 않은 선생님은 나탈리의 비밀스러운 행동의 전말을 알게 된다. 비밀을 털어놓고 무거운 짐을 벗어 던진 사람처럼 가벼움을 느끼는 나탈리의 모습은 많은 생각을 하게 한다. 아동 성폭력에 관해 잘 묘사한 동화인 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