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광야, 창조의 시간 - 자유한 삶을 위한 40일 광야 영성
이규현 지음 / 두란노 / 2021년 6월
평점 :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
자유한 삶을 위한 40일 광야 영성
이 책은 광야 경험을 통해 삶의 불순물을 걸러내고 단순해질 때 고독 가운데서 세밀한 음성으로 말씀하시는 하나님을 독대하게 되는 것을 알려준다. 외로움을 견뎌 낼 사람은 많지 않다. 홀로 있으면 버려지거나 무시당하고 있다는 느낌이 든다. 늘 사람들과 만나고 소란한 곳에 익숙하다면 홀리 있음은 고통이 된다. 외적인 활동에 열심인 이유는 홀로 있는 것이 두려워서일 수 있다. 사람들에 둘러싸여 있을 때는 내가 누구인지 알지 못한다. 홀로 있으려면 일시적으로 활동을 멈추어야 한다. 그때 찾아오는 불안과 조급함을 극복해야 한다.
홀로 있는 시간이 주는 유익은 많다. 홀로 있을 때 내가 누군인지를 발견한다. 그때 가장 진실한 순간이 된다. 평소에는 내 안에 숨겨진 무언가를 찾아내기 어렵다. 홀로 있음을 통해서 고독을 내면화해서 삶의 동력을 얻는다. 조직화되고 분주한 종교적 활동들 속에서는 자신을 얼마든지 속일 수 있다. 무서운 것은 자기기만이다. 홀로 있음은 단순히 사람을 피하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과 함께하기 위한 것이다. 홀로 있음은 독립(獨立)이 아니라 독거(獨居)다. 하나님과 동행하려면 고독을 끌어안야아 한다. 고독을 통해서 들려오는 내면의 소리를 들어야 한다. 사람들로부터 방해를 받지 않는 시간, 하나님의 음성에만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을 가져야 한다. 사람들과의 잡담 끝에서 밀려오는 것은 피곤함과 권태다. 채워짐보다 쏟아 냄으로 공허를 불러온다. 고독은 결핍이 아닌 풍요를 경험하는 시간이다. 고독은 불편한 칩거(蟄居)가 아니라, 하나님의 임재 가운데 들어가는 통로(通路)다.
고독의 경험은 처음에는 고통스럽지만 시간이 지날수록 풍성해진다. 고독은 단순히 홀로 있는 것이 아니라 하나님과의 동거다. 외로움을 이기지 못해 상처 입은 영혼들이 많아져 가고 있다. 외로움을 거부하지 말고 끌어안아야 한다. 외로움의 끝에서 다가오시는 주님을 깊이 만날 때 외로움의 수혜자가 된다. 고독은 혼자 칩거한다는 말이 아니다. 하나님의 임재 안에서의 오랜 머무름이다. 영성은 혼자 있는 시간을 확보하는 데서부터 시작된다. 하나님과의 독대다. 시간을 삭히며 하나님과의 친밀함이 농익어 가야 한다. 그 안에서 모든 것이 흘러나온다.
공동체적인 예배와 훈련들은 중요하지만 늘 모여 있을 수는 없다. 공동체와 홀로 있음의 적절한 균형이 필요하다. 홀로 있음이 공동체로 나아가는 일에 필요하고, 공동체의 생활이 건강하게 홀로 서 있도록 도와주는 상호성이 있다. 하나님과 독대하는 기쁨과 만족은 어떤 것과도 바꿀 수 없다. 홀로 있음을 통한 하나님과의 밀회와 공동체 안에서의 교제를 통해 누리는 일의 시너지가 이루어지면 내적 충만함을 경험한다. 일주일 중 일정한 시간을 떼어 홀로 있는 시간을 만들어야 한다. 핸드폰을 잠시 내려놓고 소란으로부터 벗어나야 한다. 고요한 시간을 통해 내가 어디에 매여 있는지, 하나님과의 교제를 방해하는 것이 무엇인지를 확인할 수 있다. 홀로 있을 때 '나는 홀로 있지 않다' 는 것을 깨닫을 때 삶은 자유로워지고 영적 풍요는 더 깊어진다. 홀로 있음을 통해 하나님에 대한 목마름이 깊어진다면 자유는 시작되었다.
고독을 내면화하는 작업은 외적 활동보다 우선적인 일이다. 자신의 영혼을 돌아보지 않는 사람은 삶의 방향이 외부로만 치우쳐 있다. 고독을 내면화하는 작업을 해야 삶의 동력이 생긴다. 조직화되고 종교적 활동들로 잘 짜인 곳에서는 겉으로는 모든 것이 잘 돌아가지만 오래 지속되지 못한다. 얄팍하고 깊이가 없다. 내용은 없고 겉만 타오른다. 예수님은 홀로 있는 시간을 통해 내적 충만 상태를 유지하셨다. 주님은 드러난 것에 승부를 걸지 않으셨다. 주님은 광야의 영성을 가지셨다. 고독을 통해서 끊임없이 내면의 소리를 들으셨다. 내면에 들려오는 미세한 소음에 귀를 기울일 줄 아는 영성이 절실한 시대다.
묵상과 금식, 단순한 삶, 고독 등은 모두 연결되어 있다. 이런 주제들은 현대인의 삶과는 거리가 멀다. 오늘날 문화의 특징은 조급하고 수다스럽고 산만하고 분주하다. 중독은 외로움을 잊기 위해 몰두하다가 생긴 병이다. 현대인들은 한 가지 이상에 병적인 집착을 하고 있다. 집착 하는 것에 돈과 체력을 탕진한다. 외로움을 빠르게 해소하려고 하면 유혹은 강해진다. 현대인들은 관계를 원하면서 동시에 거부하는 이중성을 드러낸다. 알고 지내는 사람은 많지만 삶을 깊이 있게 나눌 사람은 없다. 개인주의의 심화는 가족 관계조차 해체시키고 있다. 오래된 유대감마자 실낱같이 가늘어지고 있다. 깨어진 관계들로 울고 있는 영혼들이 많다. 인간관계 안에서 친밀함을 누리지 못할 때 대인공포증, 우울증, 자살, 각종 스트레스성 질환이 발생한다. 풍성한 삶을 위해서 묵상과 사색의 독거가 필요하다. 외로움의 순간에 자신을 객관화해야 한다. 불편한 자신과 마주 대해야 한다. 수련을 위한 독거는 광장에서의 배회보다 더 넓은 세계로 이끈다. 아무도 없는 홀로의 방은 미지의 세계다. 그 안에서 창조의 역사가 벌어진다. 홀로의 시간에 하나님과의 밀담이 일어난다. 자기중심적 병든 자아의 치유는 하나님과의 관계 안에서 일어난다.
영성은 그리스도께 깊이 뿌리를 내리는 일이다. 그리스도께 뿌리를 내릴 때 존재론적 변화가 일어난다. 그리스도께만 시들지 않는 생명이 있다. 종교 생활은 생명이 없는 외형적 열심으로 끝난다. 빛이 아니라 연기만 자욱하다. 그리스도 없는 열심은 꽃도 열매도 없다. 신앙생활이 굳어지고 있다면 생명이 소진되고 있는 증상이다. 하나님과 관련 없는 무의미한 일들로 분주한 곳에는 우상 숭배가 벌어진다. 외적 분주함으로는 도달할 목적지가 없다. 영성을 지속적으로 다루지 않으면 외식은 불가피해진다. 일상 속에서의 충만을 경험해야 한다. 영성은 하나님과 친밀한 관계를 맺는 것이다. 자신의 마음을 가꾸지 않는 사람들의 특징은 다른 사람을 바꾸려고 한다는 것이다. 다른 사람을 판단하고 통제하려고 한다. 다른 사람보다 나의 마음을 바꾸는 것이 더 쉽다.
공동체 활동이 끝나고 홀로 있는 시간이 오면 불안에 시달리는 사람들이 있다. 외로움의 고통을 완화하기 위해 관계에 집착하면 문제를 해결하기보다 더 깊은 고통으로 빠져든다. 자아가 충분히 준비되지 않은 미성숙한 청년이 결혼하면 배우자에게 과도하게 집착하는 경향을 띤다. 집착은 관계를 깨뜨리는 요인 중 하나다. 배우자에게 집착할수록 더 깊은 고독으로 인한 고통을 맛볼 위험서이 높다. 외로움 속에서 하나님을 깊이 만난 경험을 갖지 않으면 관계를 통해 상처를 입는다. 외로움이 또 다른 외로움을 만나고, 필요가 또 다른 필요를 만날 때 갈등은 불가피하다. 단순히 외로움 때문에 사람을 만난다면 이기적 교제로 전락한다.
교회를 가는 것도 사람을 만나는 것도 제약이 있는 시대 속에 살고 있다. 곧 끝날 것 이라 생각되었던 코로나 사태는 18개월이 지났지만 여전히 오리무중이다. 코로나블루 시대의 우울증과 외로움을 겪는 이들이 늘고 있다. 신앙 생활에 침체를 경험하는 이들에게 <광야, 창조의 시간>책은 고독의 영성이 무엇인지 잘 설명 하는 듯 하다. 홀로 있는 시간, 타인과 멀어져 있을 수 밖에 없는 이 시간, 하나님과 대면하는 시간을 가지면 좋을 듯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