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논어 (무삭제 완역본) ㅣ 현대지성 클래식 23
공자 지음, 소준섭 옮김 / 현대지성 / 2018년 10월
평점 :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



시대를 뛰어넘는 최고의 인문고전
이 책은 2,500년 동안 동양 사상을 지배해 온 공자의 말이 담겨
있다. 논어를 읽었다. 정말 문자 그대로 처음부터 끝까지
읽었다. 이해했거나 감탄하지는 못했다. 그냥 한번 쭉~ 읽어보았다. 몇 년전 100세
철학자인 숭실대 명예 교수인 김형석 교수님의 책과 강연을 통해 <논어>를 읽어보고 싶은 마음이 들었다. 그러다 이번 기회에 한번 읽어
보았다.
이번 <논어>는
현대지성 출판사에서 발간된 편으로 읽었다. 중국 전문가인 소준섭 조사관의 해설로 되어 있는데 그간 나왔던 <논어>의 몇몇 구절을 조금 더 해석을 혁신했다. 몇몇 예로 <논어>의
첫 문장인 학이시습지(學而時習之)는 '배우고 때로 익히니'라고 해석 되어 왔다. 그러나 여기에서 습(習)의 본래 뜻은 '어린 새가 날기를 연습하다'로서 어디까지나 '실천하다'로 해석되어야 한다고 역자는 주장한다. 이 밖에 무우불여기자(無友不如己者)는 이제껏 '자기보다 못한 사람과 교류하지 말라'로 해석되어 왔지만 이는 '자기와 길이 같지 않은 사람과 교류하지 말라'로 해석되어야 한다고
주장한다. 역자는 논어 해석은 좀 더 정교해져야 하며 이를 위해 한자 원어에 대한 연구와 함께 당시
시대 배경에 대한 이해화 공자 사상의 원칙과 기본을 결합시켜야 한다고 한다.
<논어>는 공자와
제자들이 세상 사는 이치나 교육, 문화, 정치 등에 관해
논의한 이야기들을 모은 책이다. <논어>를 통해
만나는 공자의 매력은 따뜻한 인간미가 느껴진다. 또한 너무 추상적이라 멀게 느껴지는 부분도 있다. <논어>는 동양의 고전 중 가장 많이 읽혀 왔고 지금
이 순간에도 많은 사람들이 읽고 있다.
<논어>를 통해
인간 공자를 읽어낼 수 있다. 책은 공자의 제자들이 스승의 언행을 정리한 것이지만 공자의 말투가 그대로
살아 있는 듯 한 느낌을 준다. 책의 구성은 산만하고 일정한 흐름도 없다. 하지만 공자의 언행을 날 것 그대로 받아 들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지금까지
논어와 관련된 책은 3천여 권 발간되었다고 한다. 논어는
동양 고전 중에서도 글이 매우 간략하고 함축적이며 구어체의 문투가 거의 그대로 살아 있다.
공자는 기원전 551년 노나라 추읍에서 태어나 기원전 479년 73세의 나이에 세상을 떠났다. 공자가 활동한 때는 주나라가 천자국으로서의 힘을 잃고 동쪽으로 쫓겨 가 동주를 세운 후 이미 춘추시대의 후반에
깊숙이 들어와 있는 시기였다. 공자가 태어난 시대는 불안한 질서가 지속된 때였다. 역자는 현재 논어 해석에서는 정확하지 못하고 부합되지 않는 부분이 적지 않게 있어 당시의 시대적 상황과 배경을
토대로 해석 하였다.
많은 제자들, 임금들의 이름이 나와 온전히 해석하려면 많은 배경 지식이
필요할 듯 하다. 하지만 그러한 것들이 없이 공자의 말, 대화만으로도
큰 울림을 많이 받을 수 있었다. 아래는 <논어>를 읽으면서 인상 깊은 구절들을 모아보았다. 다음 번에는 다른
해석으로 한번 더 읽고 언젠가는 스스로 읽어 볼 날을 기대해본다.
아버지가 살아 계실 때에는 부모에 대한 자식의 마음을 관찰하고, 아버지가
돌아가셨을 때에는 그 행동을 관찰하는 것이니, 3년 상을 잘 준수한다면 가히 효(孝)라 할 수 있다.
가난하되 아첨함이 없으며, 부유하되 교만함이 없으면 어떻습니까? 라고 자공이 묻자 '괜찮다고 할 수 있다. 다만 가난하면서도 도를 즐거워하며, 부유하면서도 예(禮)를 좋아하는 자만은 못하다'라고 공자는
대답한다.
나이 열다섯 살에는 학문에 뜻을 두었고, 서른 살에는 자립 하였으며, 마흔 살에는 미혹 되지 않았고, 쉰 살에는 천명을 알았으며, 예순 살에는 어떤 말이든 그대로 이해되었다. 그리고 일흔 살에는
마음에 하고자 하는 바를 좇아도 법도를 넘지 않았다.
지위가 없음을 걱정하지 말고 지위에 오를 때를 걱정하며, 자신을 알아주지
않음을 걱정하지 말고 알려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현인을 만나면 그를 본받아야 하고, 그렇지 못한 자를 만나면 스스로
그와 같은 잘못이 있는지 반성해야 한다.
덕을 수양하지 않고 학문도 구하지 않으며 의로움을 듣고도 행하지 않고 선하지 못한 것이 있어도 고치지 못하는
것, 이러한 것들이 곧 내가 걱정하는 바다.
공자는 네 가지 내용을 가르쳤는데, 곧 문헌과 덕행, 충실함, 그리고 신의였다.
사치하면 본분을 지키지 못하게 되고 검소하면 고생하게 된다. 본분을
지키지 못하는 것보다는 차라리 고생하는 편이 낫다.
백성들을 교화하고 이끌 수는 있지만, 그들에게 강요해서는 안 된다.
가난하면서 원망이 없기는 어렵지만, 부자이면서 교만이 없기는 쉽다.
군자의 도(道)가 세 가지인데, 나는 능한 것이 없다. 인자(仁者)는 걱정하지 않고, 지자(智者)는 미속회지 않으며, 용자(勇者)는 두려워하지 않는다.
여러 사람이 싫어하는 것은 반드시 살펴보아야 하며, 여러 사람이 좋아하는
것도 반드시 살펴보아야 한다.
군자에게 세 가지 조심해야 할 것이 있으니, 젊을 때엔 혈기(血氣)가 아직 안정되지 않았으므로 여색(女色)을 조심해야 하고, 장성해서는 혈기가 강하므로 싸움을 조심해야 하며, 늙어서는 혈기가 쇠하므로 소유욕을 조심해야 한다.
태어나면서 곧 아는 자가 상등(上等)이요, 배워서 아는 자가 다음이며,
곤경에 처하여 배우는 자가 그 다음이다. 곤경을 겪고서도 배우지 않는 사람은 하등(下等)이다.
군자에게는 아홉 가지 고려해야 할 일이 있다.
①사람이나 어떤 것을 볼 때 정확하게 볼 수 있는가
②다른 사람의 말을 들을 때 정확하게 듣는가
③얼굴빛이 온화한가
④용모가 공손한가
⑤말을 함에 있어 충심으로 하는가
⑥다른 사람을 모실 때 공경스러운가
⑦의심이 생길 때 묻는가
⑧분노가 생길 때 어려움을 생각하는가
⑨얻음이 있을 때 의를 생각하는가
자공이 “군자도 싫어하는 것이 있습니까?” 라고 물으니 공자가 대답했다. “싫어하는 것이 있다. 남의 나쁜 점을 떠벌리는 자를 싫어하며, 아랫사람으로서 윗사람을
비방하는 자를 싫어하며, 용감하기만 하고 예의가 없는 자를 싫어하며,
고집만 부리면서 융통성이 없는 자를 미워한다.”
나이가 사십이 되어서도 여전히 다른 사람의 미움을 받는다면, 그 인생은
끝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