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라면 나와 결혼할까? - 매일 조금씩 나아지는 나를 응원해
후이 지음, 최인애 옮김 / 미디어숲 / 2022년 7월
평점 :




[출판사로부터 도서 협찬을 받았고 본인의 주관적인 견해에 의하여 작성함]
매일 조금씩 나아지는 나를 응원해
이 책은 깊은 안도와 다시 시작할 수 있는 용기를 준다. 인생의 배우자, 반려자 라는 말을 쓴다. 여기서 배우자는(配偶者) 부부의 한쪽에서 본 다른 쪽《남편에 대한 아내, 아내에 대한 남편》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고 반려자(伴侶者)의 사전적 의미는 짝이 되는 동무를 뜻한다. 그렇다면 나의 장단점을 가진 이성과 나는 과연 결혼 할 수 있을까? 이런 발칙하고 끔찍한 상상력이 가득한 책 제목은 많은 이들로 하여금 호기심을 자극한다. 저자는 독자들에게 무엇을 말하고 싶은 것일까?
평생 같이할 반려자를 찾는다면 가장 중요한 것은 어쩌면 품위가 아닐까? 돈이 있다고 품위가 생기는 것은 아니다. 수수한 옷을 걸쳤어도 약자든 강자든 똑같이 배려하고 공손히 대하는 사람이, 온몸에 명품을 휘두른 채 어린 아르바이트생에게 벌레가 붙은 케이크를 먹으라고 소리치는 사람보다 훨씬 품위 있다. 견문이 많다고 절로 품위가 생기지 않는다. 평생을 작은 마을에 살았어도 점잖고 예의 바르며 남을 존중할 줄 아는 사람이, 세계 각지를 돌아다녔어도 공공장소에서 금연할 줄 모르는 사람 보다 훨씬 품위 있다. 품위는 사람 사이에 존재하는 보이지 않는 구분선이다. 품위 있는 사람은 반성할 줄 알고, 예의를 지킬 줄 알며, 쉽게 흥분하지 않고, 자기 고집에 매몰되지 않는다. 언제 어디서든 적절하게 행동하고, 늘 여유 있고 넉넉하며, 마음은 선의와 타인에 대한 존중으로 가득하다. 그래서 결혼은 꼭 품위 있는 사람과 해야 한다. 사랑은 포기해도, 품위는 포기하지 말아야 한다.
나이 든 반려자를 처음 사랑하던 때와 변함없이 아끼고 배려하는 것, 어린 자녀를 어른과 마찬가지로 존중하며 진심 어린 사과를 하는 것, 연로한 연장자에게 자신이 좋아하는 이성에게 쏟는 것과 똑같은 인내와 미소를 보이는 것, 부모와 허물없이 지내며 함께 웃고 이야기하고 감정을 나누는 것, 사랑은 가축을 기르듯이 의무를 이행하는 것이 아니다. 사랑은 마음과 마음이 맞닿아 어우러지는 것이다. 미처 겪어 보지도, 해 보지도 않아서 낯설고 어색한 그 사랑들이 이 세상에 있다.
자신에겐 관대하고 타인에겐 엄격한 것은 어쩌면 사람이 가지고 있는 이기적인 특성인 듯 하다. 그렇기에 누구도 자신을 있는 모습 그래도 볼 수 없다. 타인의 시선, 시각으로 바라보는 연습이 필요한 이유이기도 하다. 내가 있는 모습 그대로 인 나를 사랑하지 않는데 누군가 나를 나보다 더 사랑해주기를 바라는 것은 어쩌면 큰 착각 속에 살고 있는 것일 수 있다. 책에는 무엇인가 저자가 독자에게 말하거나 가르치거나 알려주려는 의도가 거의 보이지 않는다. 담담하게 용기를 주고 있다. 특히, 내가 초등학생 아들에게 종종 하는 말들이 여럿 보였다. 엄마의 집안일을 도와주는 것을 귀찮아 하는 아들에게 난 ‘더 많이 사랑하는 사람이 약자’라는 말을 자주 한다. 말로만 사랑한다고 말하고 아무런 행동을 하지 않는 것은 사랑하지 않는다와 동의어일 수 있기 때문이다. 내가 지금의 나를 인정하고 받아들이고 사랑하고 성장해야만 타인을 바라보는 시각도 같이 바뀔 수 있음을 깨닫게 된다. 9년 남짓 결혼 생활을 하면서 절절히 느끼는 건 가장 가까운 배우자를 진심으로 가장 많이 사랑하지 않고는 절대 다른 사람을 사랑할 수 없다. 심지어 자녀조차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