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트 UE(Heat Ultimate Edition)
에스엠픽쳐스(비트윈) / 2005년 6월
평점 :
품절


˝Don‘t let yourself get attached to anything you‘re not willing to walk out on in 30 seconds flat if you feel the heat around the corner˝.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히트 UE(Heat Ultimate Edition)
에스엠픽쳐스(비트윈) / 2005년 6월
평점 :
품절


히 사운드에 주목하라


코로나 바이러스로 피해보는 곳이 한두 장소가 아니지만 극장은 그 정도가 매우 심하다. 두 시간 가량 밀폐된 공간에서 많은 사람과 함께 보내야 한다는 것 자체가 악몽이라는 인식 때문에 발걸음이 선뜻 내키지 않는다. 당연히 새로운 작품들도 줄줄이 개봉을 미루고 있다. 문제는 그렇다고 영화관을 폐쇄할 수도 없다. 어떻게든 운영을 해나가며 이미지를 유지해야 한다. 과거 히트작의 재상영은 고육지책이다. 어차피 신작도 없고 관객들도 오지 않으니 고정관람층을 노리는 전략을 편 것이다. 실제로 다시 보고 싶은 마음이 드는 영화들이 꽤 많이 선을 보인다. 이미 본 사람에게는 추억을 아직 보지 못한 이들에게는 새로운 경험을 제공하는 기회가 된다. 


영화 <히트>가 다음 주 재개봉한다(2020년 3월 22일 기준). 1996년 작품이니 20년도 훌쩍 넘었다. 지금은 상상조차 할 수 없을 정도로 팔팔한 로버트 드 니로와 알 파치노가 엘에이 거리는 숨차게 뛰어 다닌다. M16 총을 들고. 나는 비디오로 접했는데 그 때도 총격신이 가장 인상 깊었다. 마치 다큐를 찍듯이 거칠고 투박하게 묘사했기에 더욱 실감이 났다. 요즘 같으면 씨지로 훨씬 세련되게 포장할 수도 있겠지만 배우들의 동선에 맞춰 핸드 카메라를 들고 찍은 게 신의 한수였다. 마치 내가 길거리 한복판의 소용돌이로 휘말리는 듯 한 느낌을 주기 때문이다. 


사실 줄거리야 뻔하다. 은행털이범과 이들을 쫓는 경찰. 매우 단순한 구도이며 별다른 갈등이나 복선도 없다. 얼핏 보면 심심하기 짝이 없는 이 영화가 명작이 된 이유는 누가 뭐래도 대배우인 로버트 드 니로와 알 파치노 덕이다. 발 킬머도 살짝 빛을 발하고 애슐리 쥬드가 절정의 미모를 뽐내지만 앞 두 연기자에는 미치지 못한다. 그 때문인지 이 영화는 재개봉 요청이 매우 많은데, 이번에 코비드 19덕에 2017년에 이어 다시 극장가를 찾았다. 어쩌면 영화관에서 제대로 감상할 수 있는. 특히 사운드에 주목하라, 마지막 기회일지도 모르니 아직 보지 못한 분들은 어서 서두르시길. 


"Don't let yourself get attached to anything 

you're not willing to walk out on in 30 seconds flat 

if you feel the heat around the corner".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트러스트
프랜시스 후쿠야마 지음, 구승회 옮김 / 한국경제신문 / 1996년 10월
평점 :
품절


앞으로도 지구적 재난은 더욱 더 잦고 규모도 커질 것이 틀림없다. 인류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단지 돈이 아니라 서로간의 믿음이 더욱 중요해질 것이다. 트러스트야말로 인간 생존을 가르는 핵심 역량이기 때문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트러스트
프랜시스 후쿠야마 지음, 구승회 옮김 / 한국경제신문 / 1996년 10월
평점 :
품절


트러스트야말로 인간 생존을 가르는 핵심 역량


중국 사람들이 한국에 와서 놀라는 것 중에 하나는 화장실 휴지라는 이야기를 들었다. 어떻게 휴지가 도난 되지 않고 그대로 있느냐며. 물론 지금은 중국도 모두가 그러건 아니겠지만. 우리도 예전부터 그랬던 것 아니다. 어느 순간 자연스레 그렇게 되었다. 지하철과 공공장소에는 당연하다는 듯 손세정제가 비치되어 있고 주민센터나 아파트먼트 단지에서는 무료로 마스크를 나눠주기도 한다. 나이가 아주 많거나 어린 자녀가 있는 집은 통반장이 직접 가져다준다. 이른바 신뢰가 정착했다는 증거다. 


프랜시스 후쿠야마는 이데올로기의 종언을 주정해 화제를 모은 학자다. 곧 사회주의는 완벽하게 자유주의에 패배했으며 그 이유로 신뢰자본을 들었다. 곧 제대로 된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경제뿐만 아니라 윤리, 규범과 같은 사회적 도덕이 굳건히 자리 잡았다. 반면 사회주의는 겉으로는 평등을 외쳤지만 속으로는 독재와 비효율을 낳아 결과적으로 트러스트가 사라졌다. 당연히 책이 출간되자마자 논란이 일었다. 미국의 신자유주의를 대변하는 충견이라는 비난도 들었다. 


그러나 시간이 지나 그의 주장은 점점 더 설득력을 얻었다. 우선 현재 사회주의를 표방하고 있는 나라는 다 한 국가도 없다. 북한을 예외라고 할 지 모르겠지만 시장경제를 받아들인 지 이미 오래다. 중앙정부가 모든 자원을 관리하며 배급하는 방식 자체가 사라졌다. 요컨대, 지구 모든 국가가 시장경제로 통합되었다. 단지 정치적으로 일당 독재나 개인숭배 혹은 종교 이데올로기를 내세울 뿐이다. 


신뢰자본의이 힘은 더욱 더 강력해지고 있다. 코비드 19 사태를 보라. 한 국가, 보다 구체적으로 국민들 간의 신뢰도가 바이러스 방지의 성공여부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 기준에 따르면 기존의 선진 국가들은 허약하기 짝이 없다. 도리어 주요 선진국가에 속하지는 않았지만 규제와 자발성을 강조하여 성공적으로 방어하고 있는 대만과 싱가포르가 돋보인다. 앞으로도 지구적 재난은 더욱 더 잦고 규모도 커질 것이 틀림없다. 인류가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단지 돈이 아니라 서로간의 믿음이 더욱 중요해질 것이다. 트러스트야말로 인간 생존을 가르는 핵심 역량이기 때문이다. 



트러스트 관련 서평 : https://www.hankyung.com/opinion/article/201801032995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재기가 발생하지 않는 나라 


흔히 선진국하면 떠오르는 나라는 미국, 영국, 독일, 프랑스, 이탈리아. 호주, 일본 곧 G7이다. 이들 국가는 경제규모가 클 뿐만 아니라 주요 정책결정권을 갖고 있다. 중국이 아무리 대국이라고 해도 끼지 못하는 이유는 일인당 지엔피가 여전히 낮기 때문이다. 유감스럽게도 한국도 마찬가지 이유로 초대받지 못하고 있다. 그나마 다행인건 G20의 회원이며 12위권을 유지하고 있다는 사실이다. 


코비드 19는 빈부와 지위고하를 가려 전파되지 않는다. 그러나 국가의 역량에 따라 대처능력은 천차별이다. 이탈리아는 낙제점이다. 영국도 구멍이 뚫렸다. 프랑스도 사망자가 급속도로 늘고 있다. 미국은 큰소리 치고 있지만 이미 확진자 수가 만 명을 넘었다. 일본은 눈 가리고 아웅이다. 호주와 독일이 그나마 선방하고 있지만 만족할만한 수준이 아니다. 요컨대 이른바 선진 국가들이 바이러스 방역에는 최하점수를 맞았다.


반면 우수 국가들도 있다. 싱가폴, 대만이 대표적인 예이다. 진원지인 중국과 가깝다는 점을 고려한다면 경이적인 방어능력을 보여주고 있다. 3월 21일 기준 대만의 사망자는 2명이며 싱가폴은 0명이다. 인구규모를 비교하더라도 경이적인 수치다. 참고로 이 둘 나라의 전체 경제규모는 상대적으로 작지만 일인당 지엔피는 높다. 거의 준 선진국가라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한국은? 초기 대응실패로 무더기 확진자수가 나오고 사망자도 늘고 있지만 나름 선방하고 있다. 물론 아직까지도 위험이 도사리고 있지만 적극적인 검사와 자발적인 격리로 큰 고비는 넘어가고 있다. 특히 드라이브 스루와 워킹 스루 검사 방식은 세계적인 관심을 갖고 있다. 그러나 내가 더 중요하게 여기는 부분은 사재기가 없다는 점이다. 마스크를 제외하고는 생필품에 대한 패닉 바잉이 발생하지 않고 있다. 충분히 그런 상황이 벌어질 수 있음에도 모두가 자제하고 남을 배려한 결과다. 적어도 이 부분에 관해서는 한국이 선진국이라 할만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