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족관의 뚱뚱한 돌고래


새벽 5시 30분에 일어나 부리나케 세수를 하고 아침식사도 먹는 둥 마는 둥 빵으로 때우고 6시에 집을 나서 지하철을 한 시간 가량 가서 버스로 갈아타고 40분 이상을 시달리고 나서 터덜터덜 10분쯤 걸어 회사 정문에 도착하면 이미 내 몸은 파김치가 되어 있기 일쑤였다. 사무실 의자에 앉아 인스턴트커피로 깨질듯 아픈 머리를 달래며 이곳저곳 전화를 걸며 밀린 일처리를 하다 보면 어느새 점심시간. 맨날 먹는 백반이 싫어 다른 메뉴를 떠올려보지만 거기서 거기. 차라리 일찍 후딱 먹어치우고 잠시라도 걷는 게 낫지. 오후는 또 다른 전쟁터. 퇴근시간만 보며 달려가지만 희한하게 상사는 딱 맞춰 일을 선사한다. 마치 야근을 하지 않으면 회사에 다닐 자격이 없다는 것처럼. 그렇게 능률 없이 일을 하다 집으로 가는 길. 버스를 타고 지하철에 몸을 싣고 집 앞에 이르는 길은 언제나 아득하다. 그래서인지 중간 중간 주저앉고만 싶다. 왜 직장인들이 바로 집으로 돌아가지 않는지 뼈저리게 깨닫는다. 어떻게 돌아왔는지 모르게 아파트먼트 문을 열고 돌아오면 책을 한 페이지라도 읽고 싶은 마음은 저 멀리 사라지고 이리저리 리모컨을 돌리며 왜 티브이 프로그램은 죄다 재미가 없지라는 쓸모없는 말을 내뱉다 쓰러지듯 잠자리에 든다. 


그 때 난 최소한 열심히는 살고 있다고 생각했다. 그러나 곰곰 돌이켜보면 그처럼 나태한 삶도 없었다. 스스로 보고 듣고 말하고 느끼지 못하고 주어진 틀에 철저히 복종만 했기 때문이다.


"이 시끄럽고 바쁘고 단조로운 현대의 삶 속에서 우리는 아무 의미도 없는 풍경과 소리들의 폭격을 받습니다. 교통 소음처럼 완전히 무의미한 것이기도 하고, 우리를 순전히 즐겁게 해줄 뿐인 텔레비전 소음이기도 하죠. 뭔가를 보든지 듣든지, 안 보든지 안 듣든지 별 상관이 없으므로 우리에게는 뭐든 대충 보고 대충 들으면서 흘려보내는 게으른 습관만 생깁니다. 우리 대부분은 아무것에도 관심이 없고 그저 삶을 떠돌아다닙니다. 수족관의 뚱뚱한 돌고래 같아요. 그곳엔 상어도 범고래도 없고, 사육사가 필요한 모든 음식을 가져다줘요. 우리를 괴롭히는 유일한 것은 지루함이죠. "_테드 휴즈, <오늘부터 시작> 가운데 _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네스프레소 에센자 미니 C30 



잔고장없이 꾸준히 커피를 잘 뽑아준다


술과 담배를 하지 않는 내게 커피는 유일한 기호식품이다. 중학교 때쯤 마시기 시작한 것 같은데 본격적으로 즐기게 된 건 대학 들어가서였다. 그렇다고 엄청 비싼 원두를 갈아 마시는 수준은 아니고 가끔 돈에 여유가 생기면 쟈뎅에 가는 정도였다. 지금 생각해보면 참 맛없는 묽은 아메리카노 커피였는데 그 때는 꽤 있어 보였다. 그 때나 지금이나 가장 즐기는 건 역시 자동판매기 커피다. 5백원미만의 돈으로 최고의 만족감을 느낄 수 있는 유일한 음료가 아닐까? 


집에서는 인스턴트커피와 캡슐을 번갈아 마신다. 아침에는 주로 베트남 커피를 주말에는 무조건 네스프레소 캡슐이다. 한 때 직접 원두를 사와서 갈아 마시거나 비알레띠 머신을 이용해 추출해 먹기도 했지만 지금은 이게 제일 편하다. 곧 기계에 캡슐을 넣고 누르기만 하면 짠하고 맛좋은 커피가 입안으로 바로 배달 가능하다. 다른 종류의 캡슐 커피도 마셔봤지만, 물론 제각각 개성이 있지만, 역시 가장 커피다운 커피 맛을 내는 건 네스프레소다, 라고 나는 생각한다. 


커피 기계에 따라 맛도 달라진다는 주장이 있다. 맞는 말이지만 캡슐 커피에는 적용하기가 어렵다. 어차피 압축된 커피라 기계가 할 일이 크게 없다. 다시 말해 잔고장없이 꾸준히 커피를 잘 뽑아주면 그만이다. 도리어 물맛이 커피를 좌우하는 되도록이면 생수를 사용하는 게 좋다. 


이 기준에 가장 적합한 머신이 바로 네스프레소 에센자 미니 C30이다. 어떤 경로로 사게 되었는지는 잘 모르겠는데, 함께 마시는 사람의 말로는 캡슐을 왕창 사면 기계를 딸려 주었던 것 같다고 한다. 캡슐이 주인이고 기계는 부록인 셈이다. 아무튼 별 탈 없이 잘 사용하고 있다. 가격도 적당하다. 다른 캡슐커피와는 호환이 어려운 단점이 있으니 골고루 드셔보실 계획이라면 다른 제품을 선택하시길 권한다. 


덧붙이는 말


참고로 정기적으로 주문하는 네스프레소 캡슐 커피는 여섯 가지 정도 된다. 우선 가장 기본적인 룽고는 커피 맛의 정석이니 처음 네스프레소 캡슐를 이용하는 분들께서는 꼭 드셔보시기를 권한다. 나머지는 취향인데 내 경우는 리스트레토, 아르페지오, 로마, 리바토, 카프리치오다. 어느 것 하나 빠짐없이 맛이 좋다. 


* 이 글은 해당 업체를 포함한 어떠한 단체나 기관의 후원 없이 썼습니다. 직접 사용해보고 정보차원에서 올리는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보이는 세상은 실재가 아니다 - 카를로 로벨리의 존재론적 물리학 여행
카를로 로벨리 지음, 김정훈 옮김, 이중원 감수 / 쌤앤파커스 / 201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계에 맞추어 돌아가던 일상이 갑자기 무중력의 세계로 빨려 들어간다면 어떤 기분이 들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보이는 세상은 실재가 아니다 - 카를로 로벨리의 존재론적 물리학 여행
카를로 로벨리 지음, 김정훈 옮김, 이중원 감수 / 쌤앤파커스 / 2018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과학과 관련하여 말을 하거나 글을 쓸 때는 사뭇 긴장이 된다. 문학을 이야기할 때는 어떠한 비판을 받아도 '아, 그러시군요? 저는 달리 생각해서요'라고 빠져 나갈 구멍이 있다. 그러나 사이언스는 다르다. '대체 기본 사실조차 모르면서 지금 뭐하는 겁니까?"라는 항의가 빗발친다. 


일반인들을 상대해서도 이런 지경인데 전공자 더 나아가 대가들은 오죽하겠는가? 누가 한마디 하면 득달같이 달려들어 집중포화를 퍼붓는다. 물론 세련되게. 그러나 희한한건 이런 모순된 현상이 실제 과학의 모습을 가장 근접하게 묘사하고 있다. 일반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이 그것이다. 


일단 숨을 돌리자. 책 소개부터 하자. 카를로 로벨리는 천재 물리학자다. 대중을 상대로 한 책도 많이 쓰는데 그 수준이 예사롭지 않다. <보이는 세상은 실재가 아니다>도 그 중 하나다. 강의 형식을 띠고 있는 이 책은 기원에서 시작하여 빅뱅과 블랙홀에 이르기까지 말 그대로 무한대의 끝을 향해 달려간다. 


과학하면 떠오르는 수식은 최소한으로 제시하고 있지만 그렇다고 쉽게 읽을 수 있는 수준은 아니다. 정확하게 말하면 두 번째 강의는 어찌어찌 따라갈 수 있지만 세 번째 수업부터는 정신을 바짝 차려야 한다. 일방상대성이론과 양자역학으로 여행을 떠나야 하기 때문이다. 이 두 이론은 현실에서는 도저히 공존이 불가능하다. 예를 들어 시계에 맞추어 돌아가던 일상이 갑자기 무중력의 세계로 빨려 들어간다면 어떤 기분이 들까? 


"중력장은 양자역학을 고려하지 않고서, 장들이 양자화 된다는 사실을 고려하지 않고서 기술됩니다. 양자역학은 시공이 휘며 아인슈타인의 방정식을 따르지 않고 공식화됩니다."


무슨 말인지 이해가 가는가? 나는 정직하게 말해 모르겠다.


"아침의 세계는 연속적인 굽은 시공입니다. 오후의 세계는 불연속적인 에너지 양자들이 상호작용하는 평평한 시공입니다."


앞의 글보다는 친절하지만 이 또한 애매모호하다. 당연하다. 여전히 논쟁이 치열한 주제니까. 로벨리도 이 사실을 알고 있다. 그는 길잡이면서 동시에 개척자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무한화서 - 2002-2015 이성복 시론집
이성복 지음 / 문학과지성사 / 2015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시에서는 폼 나는 말을 안 하는게 폼나는 거예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