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aniel Markovits, The Meritocracy Trap
게으른 부자가 지배하는 사회, 부지런한 엘리트 일꾼이 리드하는 세상
유튜브의 알고리즘은 놀랍다. 구독을 누르지도 않았는데 내가 관심 있는 동영상이 떡하니. 물론 엉뚱한 영상도 간혹 올라온다. 싫어요를 눌렀는데 좋아하는 줄 알고. 오늘 아침엔 엉뚱하게 조승연의 탐구생활이 화면에 떴다. 얼굴은 알지만 이름도 잘 몰랐는데. 아무튼 영상을 눌러보니 신작 소개였다.
책 제목은 Meritocracy Trap. 우리말로 하면 능력주의 사회의 함정. 저자는 Daniel Markovits 예일대 법대 교수. 핵심 내용은 현대사회는 능력 있는 엘리트들이 이끌고 있으며 그 결과 상류층간에 부의 격차가 더욱 벌어진다. 한편 중산층의 자산은 점점 쪼그라들어 하류층과의 격차가 줄어들어 사회안전망이 흔들린다. 더욱 큰 문제는 능력 엘리트들이 물적 자산이 아닌 인적자산에 더 가치를 두기 때문에 주변 사람은 물론 스스로도 착취의 함정에 빠진다. 부가 행복을 증명하지 못하게 된다.
과장된 내용이라는 지적도 있지만 조승연 씨의 말처럼 기존 사고에 도전하는 새로운 접근에 일단 박수를 보낸다. 한국사회가 아직 그 정도 수준에 이르지는 못했지만 수익창출의 구조를 보면 소수가 다수를 먹여 살리는 시스템으로 변화하고 있는 건 사실이다. 곧 능력 있는 스타들만이 살아남는다. 앞으로 신기술이 더욱 발전하고 고도화될수록 이 시스템은 더욱 공고해질 것이다. 게으른 부자가 지배하는 사회가 부지런한 엘리트 일꾼이 리드하는 세상으로 탈바꿈하는 것이다.
능력이 유일한 기준이 되면 소수뿐만 아니라 다수도 강요받는다. 곧 스스로 원하지 않아도 생존하기 위해서는 능력을 갈고 닦아야 한다. 이제 어느덧 흔한 단어가 된 스펙이 그 예다. 언제부턴가 힘들게 대학을 졸업하고도 토익 몇 점 이상, 해외어학연수는 기본, 봉사점수까지 챙겨야 할 것들이 차고 넘치게 되었다. 초등학생들은 친구를 사귀기 위해서라도 학원에 가야 한다. 강남 아파트먼트에 사는 게 하나의 신분이 된다.
그렇다고 과거로 회귀하자는 건 아니다. 귀족사회가 영원불멸의 음악과 미술을 남겼다고 해서 그 바탕에는 대중의 피와 땀이 있었다는 걸 부정해서는 안 된다. 새로운 시대에는 예기치 못한 문제가 나타나기 마련이다. 일단 추이를 면밀하게 관찰하자.
덧붙이는 말
좋은 책을 소개해 준 조승연씨에게 감사한다. 한국어 번역판이 나오면 읽어보고 추가할 내용이 있다면 따로 글을 쓰겠다.
동영상 출처: https://www.youtube.com/watch?v=8Vy2tGaw0Eo
사진 출처: https://theberkshireedge.com/book-review-the-meritocracy-trap-the-rich-and-the-r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