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부터, 詩作 - 테드 휴즈의 시작법
테드 휴즈 지음, 김승일 옮김 / 비아북 / 2019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누구나 시를 쓴 적이 있을 것이다. 혹은 시 비슷한 거라도. 나도 있다. 그 경험은 놀라웠다. 의자에 앉아 억지로 머릿속 생각을 짜내거나 사생대회에 가서 의무적으로 지어낸 것이 아니었기에. 그 날은 눈이 내렸다. 소리도 없이 날리기 시작하더니 어느새 함박눈으로 변해 앞이 보이지 않을 지경이 되었다. 워낙 순식간에 벌어진 일이라 경황이 없었지만 나는 그때 시상을 떠올렸고 집에 들어오자마자 휘갈기듯 시를 썼다. 그렇게 쓴 시는 대상을 받았다. 


<오늘부터, 詩作>은 뒤늦게 반가운 신작이다. 시를 사랑하거나 아니면 창작에 관심이 있는 사람이라면 당연히 보았을 이 책이 이렇게 늦게 번역된 게 신기할 정도다. 책은 아홉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글을 쓰는 구체적인 기술이 아니라 어떻게 하면 마음에 있는 글을 끄집어 낼 수 있는지 알려준다. 예를 들어 바람과 날씨, 사람, 풍경, 가족을 떠올리며 글을 쓰는 거다.


저자는 서두를 필요가 없다고 강조한다. 글이란 의무가 아니라 정말 쏟아내지 않고는 버티지 못할 지경이 되었을 때 토해내야 한다. 맞는 말이다. 그러나 연습은 꾸준히 해야 한다. 그 출발은 묘사다. 곧 사물이든 사람이든 구체적으로 자신의 감정을 담아 글을 써버릇해야 한다. 이 책은 그런 사람들을 위한 훌륭한 지침서다. 참고로 시뿐 아니라 소설 창작의 비밀도 담고 있어 큰 도움이 될 것이다.


덧붙이는 말


한글 제목은 위트가 넘친다. 원타이틀인 Poetry in the Making의 의미를 잘 살리면서도 참신함이 느껴진다. 다만 번역은 아쉽다. 전체적으로는 무난하지만 일본어 어투인 '~에 있어서'를 남발하여 읽는 내내 불편했다. 또한 시의 특성상 시만은 원어인 영어를 함께 실었으면 더 좋았을 뻔했다는 생각이 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Many Lonely Hours

  

봉준호 감독이 유명세를 타며 통역사도 덩달아 화제다. 우리말의 어감을 그대로 살리되 영어권 사람들에게 와 닿는 언어로 번역을 하기 때문이다. 주인공은 샤론 최. 그의 진가는 영국아카데미 시상식에서도 유감없이 발휘되었다. 

 

<기생충>은 외국어 영화상과 오리지널 각본상을 수상했는데, 각본상은 사실 뜻밖이었다. 영어가 아닌 한국어로 쓴 각본이 영국에서 인정받았기 때문이다. 역설적으로 영어권 작가들은 자존심이 상할 만도 하다. 우리로 치면 대종상에서 태국어나 베트남어로 쓴 각본이 상을 받은 셈이다. 여하튼 핵심은 번역이다. 봉 감독은 수상소감에서 기쁨을 마음껏 표현했다. 

 

"혼자 외롭게 카페에서 보낸 시간이 많았어요. 시나리오를 커피숍에서 쓰는데. 이제 이렇게 런던한복판 로얄 앨버트 홀에 이렇게 서게 될 날이 올 거라고는 상상도 못했죠. "

 

자, 그러면 통역을 어떻게 했을까?

"I spent many lonely hours at coffee shops. I never imagined that I'll be standing right here at Royal Albert Hall." 

 

아무래도 즉흥적인 반응이기 때문에 봉 감독의 말은 문법적으로도 어긋나고 중언부언이 많다. 만약 곧이곧대로 직역을 했다면 말은 되지만 왠지 지적수준이 다소 떨어진다는 느낌은 준다. 영어권에서는 같은 단어나 어구의 반복을 극도로 싫어한다. 샤론 최는 깔끔한 번역으로 이런 우려를 털어냈다. 우리말로 옮기면 이렇다.

 

"나는 커피숍에서 많은 외로운 시간을 보냈다. 나는 지금 여기 로얄 앨버트 홀에 서게 되리라고는 상상도 하지 못했다." 

 

뭔가 많이 빠진 듯 하지만 듣는 이들은 어떤 의미인지 다 알아듣는다. 어차피 영화 시상식이고 그가 커피숍에서 많은 시간을 보내며 한 일은 각본 쓰는 것일테니까. 게다가 각본상 수상이니.

반면 한국기사는 전혀 다른 이야기를 전하고 있다. 그나마 인터뷰를 요약하여 내보는 곳은 TV 조선뿐이다. 여하튼 무슨 말인지 모르겠다. 앞뒤 자르고 붙여 이상한 문장을 만들어냈다. 더우기 핵심적인 외로운 많은 시간은 아예 언급조차 하지 않았다. 최소한 모니터를 제대로 하며 봉 감독이 한 말은 그대로 전해야 하지 않는가? 참고로 나는 영국아카데미 홈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수상 영상을 서너 번씩 돌려보며 이 글을 썼다.

 

"감사합니다. BAFTA!(영국 아카데미) 시나리오를 커피숍에서 쓰는데 이렇게 영국 한복판에 로열 앨버트 홀에 서게 될 날이 올 줄은 정말 상상도 못 했던 거죠."_<TV 조선>_

TV 조선 기사: http://news.tvchosun.com/site/data/html_dir/2020/02/04/2020020490030.html

영국 아카데미 인터뷰 영상 : https://www.youtube.com/watch?v=1PYYuv_wZkk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댓글저장
 
스타트렉:더 비기닝 (1disc)
J.J. 에이브람스 감독, 존 조 외 출연 / 파라마운트 / 2011년 11월
평점 :
품절


오랫동안 익숙했던 장중하지만 느린 템포로 젊은 세대에게는 외면 받던 스타트렉을 완전히 탈바꿈시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스타트렉:더 비기닝 (1disc)
J.J. 에이브람스 감독, 존 조 외 출연 / 파라마운트 / 2011년 11월
평점 :
품절


전통을 유지하면서 변화를 꾀하기란 매우 힘든 직업이다. 양쪽에서 욕을 먹기 십상이다. 에이브람스 감독은 이 어려운 일을 해냈다. <스타드렉: 더 비기닝>은 제목처럼 새로운 출발을 알리는 영화다. 곧 오랫동안 익숙했던 장중하지만 느린 템포로 젊은 세대에게는 외면 받던 스타트렉을 완전히 탈바꿈시켰다. 


우선 돋보이는 건 스피드다. 서사를 과감히 생략하고 초반부터 내달린다. 마치 내가 엔터프라이즈호에 탑승하여 모험을 즐기는 기분이 든다. 젊은 배우들을 전전배치한 점도 성공요인이었다. 커크나 스파크의 청년모습을 볼 수 있어 좋았다. 비기닝의 성공에 힘입어 단숨에 3편까지 내달린 스타트렉은 또 다른 4편을 기대하고 있다. 제발 부탁이니 한국에서 어느 정도 흥행성공을 거두어, 천만까지는 바라지도 않지만 오백만 정도는, 배우들이 직접 방한하여 함께 즐거운 시간을 보낼 수 있었으면 좋겠다. 참고로 3편까지 평균 관객동원수는 백오십만 명 내외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54회 슈퍼볼 경기가 2020년 2월 3일 마이애미에서 열렸다. 샌프란시스코 나이너스와 캔서스시티 치프스가 맞붙었는데 승리는 캔서스시티에 돌아갔다. 


미식축구, 무식해보여도 무궁무진한 전략들이 지배하는 경기


해도 어김없이 슈퍼볼이 열렸다. 한동안 우리나라에서도 중계를 해주었는데 올해는 어쩐 일인지 하지 않는다. 이런 XX. 생중계는 물론 저녁때 다시 하이라이트 방송까지 해주더니. 미식축구를 그다지 좋아하지 않지만 슈퍼볼만큼은 챙겨 봤는데. 혹시 몰라 유튜브에 들아가보니 죄다 저작권 문제로 깜깜.


차라리 잘되었다 싶어 본업에 복귀해 열심히 일을 했지만 결과가 궁금해졌다. 개인적으로는 어느 팀이 우승해도 상관없지만 왠지 캔서스시티가 약팀 같아 응원했다. 나중에 알아보니 완전히 반대였지만. 


아무튼 결과는 모른 채 하이라이트를 보는데 10점이나 뒤지고 있었다. 물론 마지막 쿼터가 남아 있고 그보다 더한 점수 차도 역전한 슈퍼볼도 보았지만 이게 좀 어렵겠는걸 했는데 내 예상은 보기 좋게 빗나갔다. 마홈스가 동에 번쩍 서에 번쩍하며 볼을 공급해주더니 단번에 역전. 순식간에 점수 차를 31대 20으로 벌리더니 그대로 경기 종료. 역시 미식축구는 쿼터백 놀음이군. 축하해 치프스.


덧붙이는 말


미식축구는 복잡한 규칙으로 즐기기 어렵다는 편견이 있다. 맞는 말이다. 공격권을 어떤 기준으로 더 주는지도 헷갈린다. 게다가 자주 끊긴다. 심판들이 툭하면 타월을 던져댄다. 단체경기에서 미식축구처럼 자주 중단되는 경기도 드물다. 그러나 사람의 몸과 몸이 부딪치는 격렬함과 롱패스 성공은 보는 이들에게 극강의 격렬함과 쾌감을 선사한다. 또한 겉보기에는 무식해보여도 무궁무진한 전략들이 경기를 지배한다. 그만큼 두뇌싸움이 치열하다. 


참고로 경기만큼 관심이 높은 하프타임쇼의 주인공은 샤키라와 제니퍼 로페즈. 와! 붙여도 이렇게 둘을 한 무대에 올리다니. 얼핏 봤는데 정말 감탄이 절로. 한마디로 진짜 쇼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댓글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