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셉션 - 일반판 (2disc)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 레오나르도 디카프리오 외 출연 / 워너브라더스 / 201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영화는 오락거리다, 라는 신념을 버린 적이 없다. 한두 시간 남짓 현실을 벗어나 쾌락을 즐기면 그만이다. 쓸데없이 철학적인 이야기를 담거나 심각하기 그지없는 작품은 감독의 자기만족에 지나지 않는다.


그러나 세상에는 예외가 있다. <인셉션>은 영화를 예술의 반열에 올린 위대한 작품이다. 곧 세월이 지나도 두고두고 화제를 불러 모은다. 마치 미켈란젤로의 <모나리자>처럼. 실제로 개봉된 지 10년이 지났는데 다시 극장에서 상영되고 있다.


이 영화는 단순한 심심풀이로 보면 짜증이 난다. 여러 스토리가 겹겹이 쌓여있어 종잡을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작정하고 볼 생각이 아니라면 아예 제쳐놓는 게 정신건강상 좋다. 그럼에도 굳이 보고 싶다면 미리 준비를 해야 한다.


우선 꿈을 떠올려라. 잠을 자다 꿈을 꾸면서 이게 꿈임을 아는 순간이 있다. 이른바 자각몽이다. 이 사실을 알게 되면 아무리 위기에 닥쳐도 심지어 총에 맞아 죽어도 깨어나면 살 수 있다는 걸 안다. 그러나 만약 잠에 빠져 헤어 나오지 못한다면 나는 어떻게 될까?


여기까지는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어떤 꿈을 꿀 지, 구체적으로 꿈속에서 무엇인가를 이루기 위해 작정하고 꿈을 꾼다면. 꿈 속에서 또다른 꿈을 떠올릴 수 있다면. <인셉션>은 현실이 주 무대가 아니라 다차원적인 꿈이 진짜 세계일 수 있음을 극적으로 보여준다. 도로가 기울어지고 건물이 뒤집히고 폭탄이 거꾸로 터지는 상황은 현실에서는 절대 일어날 수 없지만 꿈에서는 가능하다. 무의식이 잠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놀란은 이 지점에서 한발 더 나아간다. 현실과 꿈, 더 깊은 꿈 사이에 시간차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지금의 5분이 꿈1에서는 3시간, 꿈2에서는 일주일이 된다. 꿈속에서는 시간여행도 가능한 셈이다. 그렇다면 이 공간은 어떻게 자유자재로 옮겨 다닐 수 있을까? 차버리면 된다. 말 그대로 Kick이다. 물론 이 장치는 정교해야 한다. 


크리스토퍼 감독이 유명해진 이유는 영화 <메멘토> 덕이 컸다. 단기 기억상실증에 걸린 주인공이 까먹는 걸 잊기 위해 온 몸에 낙서를 남기며 고군분투한다. <인셉션>에서는 꿈과 시간차를 이용함으로써 절묘한 이야기를 만들어냈다.


영화의 결말은 첫 장면과 이어진다. 디카프리오는 무사히 미국에 돌아와 사랑하는 자식들을 만나며 죽은 아내를 그리워한다. 과연 이 상황은 현실인가? 꿈인가? 아니면 만들어낸 기억이 창조한 가짜 꿈인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울 증세는 날씨와 매우 관련이 깊다. 특히 일조량이 적다면 상태는 더욱 나빠진다. 칼바람이 불더라도 눈부신 푸른빛의 하늘을 볼 수 있어 좋았던 겨울은 이젠 추억이 되어버렸다. 어쩌면 더욱 더 나빠질 수도. 


한겨울답지 않은 영상의 기온임에도 마스크로 중무장하고 우중충한 잿빛풍경을 뒤로 하고 종종걸음을 치다보니 '이게 과연 제대로 사는 건가'라는 의구심이 떠나지 않는다. 코로나 바이러스까지 기승을 부리니 마음은 더욱 움츠러든다. 


어제는 일찍 잠자리에 들었다. 순간 치미는 우울감이 너무 심해 아무 것도 하고 싶지 않았다. 읽어야 할 책과 들어야 할 음악과 보아야 할 영화와 써야만 하는 글들이 산더미까지는 아니지만 꽤 되었는데도. 역설적으로 그럴 때일수록 잠들기가 더 어렵다. 그래도 누워야 한다. 경험상 수면보다 나은 어떤 치료제도 발견하지 못했다.


방법은 간단하다. 바닥에 몸을 대는 대신 살짝 비틀어 고개를 돌리고 휴대용 라디오를 켜놓는다. 주파수는 언제나 93.1. 처음엔 모든 클래시컬 음악이 온전히 들리다가 어느 순간 가물가물해지다가 또 불현듯 정신이 들어 보면 모차르트의 <마술피리> 선율이 들어온다. 그렇게 잠이 들었다 깼다를 반복하다 스르르 잠이 든다.


잠에서 깨어 바라본 하늘은 다행히 어제보다는 낫다. 햇살이 거실까지 들어 쳐 생기를 불어넣는다. 먼지가 풀풀 날리는 것이 더욱 더 생생하게 보이기는 하지만. 나를 심하게 괴롭혔던 우울의 원인을 제거하고 발걸음을 힘차게 내걷는다. 근본적인 해결책이 아니라 언제 또 도발할지는 모르지만. 그러면서 결심한다. 


"그래, 오늘 점심은 돈가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스타트렉 1 감독판 DE (2disc)
파라마운트 / 2002년 5월
평점 :
품절


오리지널 시리즈의 감성이 고스란히 남아 더 좋은 우주판타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스타트렉 1 감독판 DE (2disc)
파라마운트 / 2002년 5월
평점 :
품절


공상과학은 우리나라에서는 인기 장르가 아니다. 미국을 포함한 전 세계를 휩쓴 스타워즈 시리즈도 초대박은 아니었다. 하물며 스트트렉은. 그러나 자연과학에 관심이 조금이라도 있는 사람이라면 스타워즈보다는 스타 트렉을 추천한다. 전편이 우주액션이라면 후자는 스페이스판타지이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스타워즈는 우주를 배경으로 할 뿐 실제 스토리는 그리스로마 시대의 비극을 고스란히 따르고 있다. 아버지를 죽인 악당에게 복수하기 위해 찾아 나선 전사의 길, 우여곡절 끝에 원수를 만나 이제 죽이기만 하면 되는데(이미 다 아는 스포지만 혹시 몰라 생략한다). 반면 스타트렉은 첫 화면부터 끝없는 우주를 보여주며 이 이야기가 언제 끝날지 모른다는 암시를 준다.

 

<스타트렉 1>은 시리즈 최초의 극장 판이다. 1960년대부터 시작된 드라마와의 연결성에 주목하면서도 새로운 영역을 개척한다. 한 때의 적과 연합을 하고 웜홀로 위기를 극복하고 뜻하지 않은 위기에 처한다. 처음 접하는 이에게는 다소 밋밋한 특수효과에 아쉬울 수 있지만(1979년 제작이니 그럴 만도 하다) 스타트렉을 사랑하는 팬이라면 드라마의 감성이 고스란히 남아 더 좋기도 하다. 

 

한 가지 재미있는 팁은 감독이 로버트 와이즈라는 사실이다. <사운드 오브 뮤직>으로 유명한 그가 에스에프 영화를 만들었다는 사실이 흥미로우면서도 의외다. 비록 음악을 제대로 사용하지 않았지만 특유의 느릿하면서도 장중한 맛이 살아 있다. 호불호는 갈리겠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진흙발의 오르페우스 - 필립 K. 딕 단편집
필립 K. 딕 지음, 조호근 옮김 / 폴라북스(현대문학) / 2017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창작의 신은 딕에게 부여한 재능을 거두어들이지 않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