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 이한열 씨의 운동화가 복원되어 전시장에 모습을 드러냈다


광장: 민중미술이 주가 된 짬뽕 전시회


설 연휴 기간에 짬을 내 현대미술관에 다녀왔다. 본가에 다녀온 터라 살짝 피곤했지만 오랜만의 방문이라 살짝 설렜다. 개인적으로 고미술보다 현대예술을 더 좋아한다. 평소 접하기 어려운 낯선 상황에 놓이는 경험이 짜릿하기 때문이다. 


이번 기획전 주제는 광장(광장 : 미술과 사회 1900-2019)이었다. 제목을 보고 불안한 느낌이 들었는데 불행하게도 예상이 맞았다. 민중미술이 주가 된 짬뽕 전시회였기 때문이다. 예술이 정치적 중립성을 지킬 필요는 없겠지만 억지로 이 둘을 연결시키려는 시도는 언제나 외면을 받기 마련이다. 진보나 보수의 문제가 아니다. 실제로 이명박 정권시절 G20 전시를 유도해(?) 국책이라는 비난이 있었다. 그나마 G20 전시회는 일방적인 선진국 찬가는 아니었다. 


민중예술의 가치를 폄하할 의도는 없지만 고 이한열씨의 운동화 한 짝을 가장 중요한 자리에 배치하거나 박수근 화백의 그림을 민중의 이름에 끼워 넣은 건 상식 이하였다. 아무리 진보진영이 정권을 잡아 그들의 가치를 우선순위로 내세우는 게 지상명령이라 할지라도 예술 고유의 영역은 존중해야 마땅하다. 관람 내내 씁쓸한 기분이 떠나지 않았다. 정권의 입맛에 따라 휘둘리는 예술의 처지가 너무도 초라하게 여겨졌다.


덧붙이는 말


민중미술 자체를 폄하할 생각은 추후도 없다. 그중에는 시대의 가치를 반영한 출중한 작품들도 많다. 나 또한 많은 감동을 받았다. 그러나 민중이 곧 광장은 아니다. 현 정권은 광장에 큰 의미를 두고 있는 것 같은데 광장이 도리어 자신들을 겨누게 될지도 모른다는 건 왜 생각하지 못하는가? 차라리 민중예술 몇 십 주년 같은 기획이었다면 더 나았을 뻔 했다.


사진 출처: 뉴시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우리말과 글은 더욱 더 마음과 힘을 다하여 떨쳐 일어나야 한다

 

나는 늘 한국어가 어려운 언어라고 생각하다. 물론 모국어이니 익숙하지만 다른 나라 사람 처지에서 보면 이해 안가는 부분이 꽤 된다. 한글로 표기가 가능하다지만 우리말의 대부분은 한자를 차용한 것이다. 곧 한자를 한글로 풀어쓴다. 그러다보니 단어의 뜻을 제대로 알지 못하고 외워서 대충 쓰는 경우가 잦다. 

 

하나 예를 들어보자. 이해의 정확한 의미를 알고 계시는 분이 있을까? 무언가를 안다는 뜻 같은데? 그렇다면 이해의 영어 말은 무엇인가? Understand다. 이 말은 Under와 Stand의 결합어다. 낮은 자세에 선다. 아하, 상대방을 알기 위해서는 겸손한 자세를 취해야 하는구나라는 깨달음이 순식간에 온다. 

 

최근 비슷한 사례의 단어를 발견하고 소심하게 기쁨을 느꼈다. 다른 사람은 모르는 나만의 발견이라고나 할까? Best Before가 그 예다. 과연 뭘 말하는 걸까? 정답은 '유통기한'이다. 딱딱하고 권위적이며 명령조의 말이 참신하고 산뜻하며 기발하게 탈바꿈한 느낌이 들지 않는가? 같은 뜻이라도 이렇게 달리 표현할 방법이 있다는 게 놀랍다. 우리말과 글은 더욱 더 분발해야 한다. 참고로 분발奮發도 한자어다. 본래 뜻은 마음과 힘을 다하여 떨쳐 일어남이다. 어디 분발 말고 이 의미를 온전히 담을 우리말은 없는 걸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세이버메트릭스 레볼루션
벤저민 바우머 & 앤드루 짐발리스트 지음, 송민구 옮김 / 한빛비즈 / 2015년 3월
평점 :
절판


<머니 볼>과 짝으로 읽으면 좋은 야구 분석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세이버메트릭스 레볼루션
벤저민 바우머 & 앤드루 짐발리스트 지음, 송민구 옮김 / 한빛비즈 / 2015년 3월
평점 :
절판


나는 야구소년이었다. 봉황대기 전국고교야구 전 경기를 직접 동대문야구장에서 관람할 정도였다. 프로야구가 개막하고 나서는 응원팀의 전적을 경기마다 기록지로 남겼다. 10월이 되면 메이저리그 포스트시즌과 한국의 가을야구를 만끽했다. 


지금은 그 정도는 아니다. 그러나 드라마 <스토브리그>를 빼놓지 않고 볼 정도로 여전히 야구를 사랑한다. 이유는 뭘까? 다양한 근거를 댈 수 있지만 통계로 구현이 가능한 점도 한몫 한다. 곧 경기 기록지를 보면 그날 어떤 일이 일어났는지 머릿속에서 떠올릴 수 있다. 


야구는 다른 스포츠와 달리 대면 접촉이 빈번하지 않다. 물론 코트로 구분지어 아예 부딪치는 상황을 방지하는 배구나 배드민턴, 개인플레이 위주의 골프보다는 부딪침이 강하지만. 여하튼 단체경기임에도 개인 활동이 많아 숫자로 기록하는 범위가 매우 넓다. 투수만 해도 투구 수, 방어율, 퀄리터피칭 등 파도 파도 끝없이 통계가 나온다. 


<세이버메트릭스 레볼루션>은 야구는 숫자놀음이라는 캐치플레이를 내세워 성공을 거둔 <머니 볼>을 비판적으로 다룬 책이다. 변변치 않는 선수구성과 작은 시장규모로 고전을 면치 못하던 팀이 단장의 통계야구를 바탕으로 상위권으로 뛰어오른 적이 있다. 주인공은 오클랜드의 빌리빈 단장이었다. 이후 그가 활용한 수단인 세이브메트릭스 열풍이 불었고 우리나라에까지 영향을 끼쳤다. 


그러나 최근 들어 열풍이 다소 수그러들고 있다. 선수는 장기판의 말이 아니다라는 주장과 함께. 그럼에도 강팀을 만들기 위해서는 강점을 강화하고 약점을 줄여야만 한다. 통계가 없이는 불가능한 목표다. 


올해 한국 프로야구는 새로운 중흥을 맞을 것이다. 젊은 단장의 등장, 외국인 감독의 지휘, 활발한 선수이동, 올림픽 야구 등이 어우러져 어느 때보다 흥미유발요인이 많다. 벌써부터 봄이 기다려진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tralala 2023-01-07 07: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앱스타인 아니고 빌리빈

카이지 2023-01-07 13: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감사합니다. 수정했습니다,
 
대변동 : 위기, 선택, 변화 - 무엇을 선택하고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
재레드 다이아몬드 지음, 강주헌 옮김 / 김영사 / 2019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현대 일본의 기원은 교과서적인 전개였고 장래 과제는 상식에 머물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