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난한 사람이 더 합리적이다 - MIT 경제학자들이 밝혀낸 빈곤의 비밀
아비지트 배너지.에스테르 뒤플로 지음, 이순희 옮김 / 생각연구소 / 2012년 5월
평점 :
절판


부잣집은 왜 항상 넓어보이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가난한 사람이 더 합리적이다 - MIT 경제학자들이 밝혀낸 빈곤의 비밀
아비지트 배너지.에스테르 뒤플로 지음, 이순희 옮김 / 생각연구소 / 2012년 5월
평점 :
절판


집안에 쓸모없는 물건들을 잔뜩 쌓아놓고 사는 사람들이 있다. 저장강박증 때문이다. 왜 그러느냐고 물어보면 다들 하나같이 "언젠가 쓸모가 있을 것 같아서", "버리기 아까워서"라고 말한다. 얼핏 들으면 맞는 말이다. 문제는 결국 단 한번도 써보지 못하지만. 


하루 날을 정해 집안 정리에 나섰다. 언제 샀는지 기억도 가물가물한 제품들이 끝도 없이 나온다. 분명히 살 때는 이리 보고 저리 재고 할인쿠폰에 사은품까지 다 고려해서 산 것인데 결국 비닐 포장도 뜯지 못한 채 구석에 처박혀 있었다. 


부잣집은 넓어 보인다. 단지 크기가 커서가 아니라 물건이 많지 않아서다. 정확하게 말하면 꼭 필요한 명품만 있을 뿐이다. 물건을 고를 때 큰 고민 없이 가장 비싸고 좋은걸 사기 때문이다. 반면 가난한 집은 좁은데 온갖 잡동사니가 뒹군다. 한 푼이라도 싼 걸 찾아 헤매다 산 물건들이 무덤처럼 쌓여 있다.


<가난한 사람이 더 합리적이다>는 편견을 깬 책이다. 우리는 흔히 게으르고 나태한 사람들이 빈곤의 늪에 빠진다고 믿는다. 그러나 태성적 한계는 일부다. 문제는 구조다. 곧 개인이 제대로 된 교육을 받고 좋은 직장에 가서 높은 연봉을 얻을 기회를 얻지 못하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 답은 인센티브다. 가난에 젖어 의욕을 잃기 전에 각종 지렛대를 놓아야 한다. 예를 들어 보험을 자동가입하게 하고 대출을 늘리고 일자리 교육을 확대하고 지역의 신뢰를 회복시킨다. 글쎄, 다 어디서 들어본 말 아닌가? 절대적 가난에서 벗어나기 위해서는 적절한 방법일지 모르지만 상대적 빈곤이 지배적이면 어떻게 해야 하지?


한국은 더 이상 가난한 나라가 아니다. 문제는 배가 아픈 거다. 나는 이렇게 열심히 일하는데 남들은 그렇지 않고도 잘 사는 것 같다. 노동의 가치는 점점 쇠퇴하고 다들 자산증가로 돈을 벌 궁리만 한다. 괜히 가상화폐가 부동산이 요동을 치겠는가?


올 설 연휴의 목표는 집안의 짐들을 절반이상 줄이는 거다. 집을 넓혀 가려는 꿈을 접고 대신 제한된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하려고 한다. 상대적 가난에 대한 대책치고는 꽤 근사하지 않은가? 주변의 시선에 흔들리지 않고 나만의 행복을 찾아 떠나는 길이.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스탠바이,웬디
벤 르윈 감독, 토니 콜렛 외 출연 / 인조인간 / 2018년 11월
평점 :
품절


Never stop writing!!!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스탠바이,웬디
벤 르윈 감독, 토니 콜렛 외 출연 / 인조인간 / 2018년 11월
평점 :
품절


김영하는 <여행의 이유>에서 영화 <스탠바이, 웬디>를 언급했다. 시나리오를 직접 써서 접수하러 가는 여자의 이야기정도로 소개했다. 직접 보고 나니 얼마나 엉성하게 감상했는지 어이가 없을 정도였다. 마치 영화 소개 한줄 평을 읽고 쓴 느낌이라고나 할까? 


모든 걸 자신이 정한 규칙에 맞게 살아야 하는 웬디. 요일별로 입는 옷이 정해져있고, 하루일과를 분초단위로 움직여야 직성이 풀린다. 그는 시설에 수용된 강박증 환자다. 유일한 취미는 알바 후 보는 <스타 트랙>. 어느 날 새로운 시나리오 모집 공고가 나고 자칭 덕후인 웬디는 삽시간에 4백 페이지가 넘는 글을 쓴다. 드디어 자신의 시나리오를 들고 파라마운트 영화사로 길을 떠나는데.


<스탠바이, 웬디>는 강박증을 앓고 있는 이가 실생활에서 얼마나 힘든 상황에 처하는지를 적나라하게 보여준다. 남과 눈을 제대로 맞추지 못하고, 사소한 소음에도 신경이 곤두서고, 쉽게 자포자기 한다. 반면 장점도 있는데 한번 잡으면 끝까지 물고 늘어진다. 글쓰기에 가장 필요한 재질이다. 우여곡절 끝에 전달은 되지만 결과는 안타깝게도.


그러나 거절 편지는 새로운 희망을 불어넣는다. Never Stop Writing. 아마도 웬디는 이 문장을 등대 삼아 계속 글을 써나갈 것이다. 논리적으로 생각할 때 커크 선장의 유일한 결론이 전진이었던 것처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기안84의 찌질한 모습은 연출이 아니라 실제 모습에 가깝다. 

그렇다고 건물주가 된 게 이상한가? 

그는 잘나가는 웹툰 작가다. 


만화가가 건물주가 된 게 이상한가?


한 때 기안84를 좋아했다. 틀에 박힌 연예인들과 다른 예측 불가능한 말과 행동이 매력적으로 느껴졌기 때문이다. 그러나 역설적으로 그런 점들이 나를 질리게 만들었다. 특히 시상식장과 같은 공개 장소에서 벌어지는 기행(?)에는 넌덜머리가 났다. 자연스레 그를 멀리하게 되었고 <나 혼자 산다>도 시청을 끊었다.


기안84가 상가를 구입하여 화제가 되었다. 석촌동 소재의 건물인데 매입가는 46억 원 가량이라고 한다. 연예인들이 건물을 사들이는 게 뉴스가 되는 건 당연하지만 문제는 기사 제목이다. "기안84, 월수입이 얼마길래?" 마치 기안84가 상가건물을 산 게 매우 의외라는 뉘앙스다. 더 깊게 들어가면 웹툰 작가의 수입이 어느 정도기에 강남 건물을 구입할 수 있는지 의아해하고 있다.


내가 만약 기안84라면 화가 날 듯싶다. 그는 일급 만화작가이다. 정확한 재산이 얼마인지는 모르겠지만 강남상가를 사들일 재력은 차고도 넘친다. 단지 그가 방송에서 보여주는 이미지가 왠지 어설프고 좀스러워 보여 가난한 예술가 취급을 받아야 한다는 게 이해가 되지 않는다.


번듯한 직장에 대한 환상도 기안84를 저평가하는데 기여했다. 이른바 사자 돌림 직장에 대한 선망이 기자들에게는 있는 게 아닌가 싶다. 자신들은 좋은 대학을 나와 뼈 빠지게 일을 해도 한 달 살기 빠듯한데(그래도 상대적으로는 잘 벌겠지만) 대학 중퇴한 만화작가가 억대 수입을 올리고 30대 중반에 건물주가 됐으니 배가 아프겠지? 


그러나 기안84가 놀고먹으면서 돈을 번건 아니다. 라면으로 끼니를 때우며 정말 마지막이다 하고 도전을 한 작품이 대박이 나서 고수익자가 됐을 뿐이다. 게다가 마감전쟁을 치르며 작품을 만들어가는 과정이 얼마나 고통스러운지 안다면 그런 제목을 감히 달지 못할 것이다. 


기안84에 대한 호불호를 떠나 창작자를 폄하하는 시선은 거두어야 마땅하다. 개인적으로는 학력과 경력으로 쌓아올린 소위 전문직의 대우는 지나치게 높다고 생각한다. 물론 그만한 노력을 한 것은 인정하지만 스스로의 가치를 높이기 위해 진입장벽을 치는 건 반칙이다. 제발 부탁이니 맨바닥에서 시작해 무한경쟁체제에서 독자들에게 인정받은 기안84에게 돌을 던지지는 말아 달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