푸동공항에 도착하자마자 다시 인천으로 돌아가야 한다. 젠장
낡은 아파트먼트, 정확하게는 36년 된, 에 살다보니 이래저래 성한 곳이 없다. 안방 전등이 나가서 고치면 욕조 수도꼭지가 말썽을 피우고 왕창 전체를 뜯어 갈고나면 윗집에서 물이 줄줄 새 벽에 번지는 식이다. 이럴 때 나는 관리실에 이야기하기 보다는 단지 내 수리 출장하는 분을 부른다. 당연히 돈이 더 들지만 깔끔하게 잘 마무리해주시기 때문이다. 수리비를 왜 꼬박꼬박 관리비에 포함시키는지 화가 나지만. 그 분을 볼 때마다 일머리는 따로 있다는 생각을 자주 한다. 미리 어떻게 고칠지 구상을 딱 하고 능숙하게 일을 추진해나간다.
작가는 글머리가 있어야 한다. 독자가 어떤 글을 읽고 싶어 하고 어느 지점에서 손에 땀이 나는지 잘 알아야 한다. 또한 결말에 이르러 후련한 기분이 들게 하기위한 특별한 장치들을 늘 닦고 조이고 기름칠 해야 한다, 특히 첫 문장은 소설의 성패를 가르는 중요한 상징이다. 최근 영국에서 글의 첫 문장을 보고 어떤 작가의 작품인지 척척 알아맞히는 학생이 등장해 화제가 되었을 정도다.
김영하의 <여행의 이유>를 읽은 후 혹평을 하고 나서 마음이 편하지 않았다. 혹시 내가 잘못 본 것은 아닌지? 그러나 기분전환도 할 겸 펼쳐 본 히가시노 게이고의 책을 읽고 확신했다. 나는 틀리지 않았다
"2005년 12월의 어느 날, 나는 상하이 푸동공항 티켓 카운터에서 서울로 가는 편도 항공권을 사고 있었다."
이 글을 읽고 어떤 기분이 드시는가? 요즘말로 투머치 토커의 정석이다,라고 나는 느꼈다. 정보는 지나칠 정도로 충실히 제공하고 있지만 호기심은 일(1)도 생기지 않는다. 다음에 어떤 이야기가 이어질지도 전혀 궁금하지 않다.
'9월 21일, 가고시마에서 묵는 날"
이번엔 어떤가? 와우, 놀랍지 않은가? 무슨 상황이지? 왜 하필이면 가고시마지? 불륜인가? 누가 죽었나?(책 제목이 연상되어서) 최소한의 사실로 엄청난 궁금증을 유발하지 않는가?
먼저 소개한 글은 김영하의 <여행의 이유> 첫 문장이고, 두 번째는 히가시노 게이고의 <살인 현장은 구름 위>다. 어떤 출발이 사람의 마음을 확 잡아끄는가? 내가 만약 김영하였다면 문장을 다음과 같이 바꾸었을 것이다.
"푸동공항에 도착하자마자 다시 인천으로 돌아가야 한다. 젠장. 크리스마스이브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