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화 <빅 피쉬>, 어렸을 때 자신이 언제, 어떻게 죽을지를 알게 된다면?

 



누군가 알려주지 않더라도


새해 들어 크게 아팠다. 그것도 첫날. 정확하게는 1월 2일 오후에 전날과 아침에 먹은 음식을 게워냈다. 떡국을 먹을 때부터 조짐이 있었다. 배가 살살 아파오기 시작했다. 뭔가가 상했다. 아들 해 먹인다고 고이 모셔둔 고기가 너무 오래되었겠지. 억지로 참고 어머님 집을 나섰는데 지하철에 타자마자 바로 후회했다. 아, 토를 하고 나올걸. 결국 강남구청역에 내려 역무원에게 양해를 구하고 화장실에서 1차 구토. 비몽사몽하며 집으로 와서 2차 우웩. 누워서 뒹굴거리다가 배에 따뜻한 병원용 물 담요를 대고 다시 3차로. 장장 서너 시간에 걸친 구토였다. 그러고 나면 대게 배가 덜 아프고 시원해지는데 이번에는 아니었다. 그냥 바닥을 떼굴떼굴 굴렀다. 이러다 죽을 수도 있겠다, 라는 생각이 들었다.  


내가 처음 죽음의 공포를 느낀 건 초등학생 때였다. 지금도 기억이 생생하다. 자전거를 타고 가고 있었다. 지하 경사로에 접어든 순간 맞은 편 벽에 부딪치리라는 걸 직감했다. 벽을 마주하고 90도로 꺾이는 구간이었다. 브레이크도 소용없었다. 내리막길이라 가속도가 붙은 자전거는 그대로 벽을 들이받았다. 그 와중에도 핸들을 꽉 붙잡고 있었다. 그 덕인지 자전거와 함께 동시에 옆으로 꼬꾸라졌지만 상처는 덜했다. 바퀴는 완전히 우그러졌지만. 사망의 골짜기에 곧장 다가선 정도는 아니었지만 정신적으로는 충격이 컸다. 죽음의 순간이 어떠하리라는 걸 간접 경험했기 때문이다. 책에서 본 내용에 따르면 사망에 이르게 되면 살아온 여정이 역순으로 순신간에 휘리릭하며 지나간다고 한다. 곧 최근 겪은 일부터 아주 어렸을 때까지. 그 당시 내가 그랬다. 시간상으로는 불과 몇 초에 불과했지만 내 전 인생이 머릿속에서 하나의 파노라마처럼 쏜살같이 지나갔다.


억울하지 않는 죽음은 없다. 가는 데는 순서도 없다. 그럼에도 인생의 전반전을 뛰고 후반전도 얼마 남지 않은 시기가 오면 언제 죽어도 이상하지 않다라는 생각을 하게 된다. 여한이 없어서가 아니라 받아들여야만 한다, 고 주변에서들 이야기한다. 나 또한 그런 나이가 됐다. 아무리 우겨도 지나온 날보다 더 살 자신이 없다. 아니 가능성이 제로다. 


영화 <빅 피시>를 보면 어렸을 때 각자에게 죽음의 순간을 보여주는 장면이 나온다. 그중에는 오랫동안 평온하게 살다 늙어 죽는 사람도 있지만 화장실에서 변을 보다 객사를 하기도 하고 불과 몇 년 후에 물에 빠져 죽기도 한다. 흔히 죽음은 누구에게나 공평하다고 하는데 과연 그럴까? 아무리 그렇더라도 어린아이에게 그런 장면을 보여주는 건 잔인한 일 아닌가? 그럼에도 한 가지 교훈은 자신이 언제 어떻게 죽을지를 알게 되었을 때 남은 삶을 대하는 자세다. 사실 누군가 알려주지 않더라도 사람은 모두 한 번은 죽는다. 자신이 사라질 때를 모른다고 하더라도 이 사실은 변함이 없다. 그렇다면 답은 간단한다. 죽음을 대비한 삶을 살아야 한다. 그렇다면 구체적으로 어떻게 준비해야 하는지는 다음 기회에 밝히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댓글저장
 
[수입] 스펙트럼 사운드 - 최초 공개 음원 박스 (아바도, 마르케비치, 파울 독터, 슈타커, 로린 마젤 등) [9CD 한정수량 단독판매] - 스펙트럼 사운드 창립 10주년 에디션 스펙트럼사운드 단독 판매 한정반 시리즈 15
아바도 (Claudio Abbado) 외 지휘, 슈타커 (Janos Starker) 외 연 / spectrum sound / 2019년 12월
평점 :
절판


그냥 레전드고 역사니 꾹 참고 들으라고 말 할 수는 없다. 그럼에도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수입] 스펙트럼 사운드 - 최초 공개 음원 박스 (아바도, 마르케비치, 파울 독터, 슈타커, 로린 마젤 등) [9CD 한정수량 단독판매] - 스펙트럼 사운드 창립 10주년 에디션 스펙트럼사운드 단독 판매 한정반 시리즈 15
아바도 (Claudio Abbado) 외 지휘, 슈타커 (Janos Starker) 외 연 / spectrum sound / 2019년 12월
평점 :
절판


클래시컬 음악 애호가들에게 지금처럼 호황기는 없었다. 과거라면 너무 비싸서 엄두도 내지 못했을 음반들이 염가로 마구 방출되기 때문이다. 그것도 전집으로. 가끔은 같은 음반이 겹치기도 하지만 그런에도 워낙 싸니까 보존용인 셈치고 지른다. 그 열기는 최초 공개 음반으로까지 이어가고 있다. 연주했다는 기록은 있는데 음반이 없다니 희소가치는 더욱 올라간다. 그러나 사실은 상품으로서의 가치가 떨어진 측면이 더 크다. 곧 실황이거나 모노 녹음인 경우다. 


<스펙트럼 사운드>가 창립 10주년을 기념하여 희귀음반을 복각했다. 이름만 들어도 어마무시한 거장들에 최초 공개라는 타이틀까지 붙었으니 혹할만하다. 정직하게 말해 음반 상태는 썩 만족스럽지 못하다. 세련된 녹음에 익숙한 이들에게는 견디기 어려울 정도로. 그냥 레전드고 역사니 꾹 참고 들으라고 말 할 수는 없다. 그럼에도 자꾸 듣다보면 글로 표현하기 어려운 매력이 있다. 구수하다고나 할까? 전체적인 조화는 다소 모자랄지라도 열기는 고스란히 전해진다. 


아쉽다면 포장이 너무 싸구려다. 낱장 캐이스도 없이 비닐에 담은 것이야 참는다쳐도 각 음반에 대한 설명없이 달랑 소개지가 한 장인건 심했다. 복각판임을 드러내기 위해 일본어를 그대로 표기한 것도 거슬렸다. 사은품으로 준 달력도 기대만큼은 아니었다. 표지 사진들에 잔뜩 기대를 했는데 저작권 때문인지는 몰라고 성의가 없어 보였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moonchase 2020-01-14 22:02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공감합니다. 스페트럭 사운드 기념 앨범은 다 샀는데 이번에는 진심으로 쇼크 먹었네요.

카이지 2020-01-14 22: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답글 감사합니다. 다음을 기약해야죠ㅠㅠ
댓글저장
 
본투리드 마그넷 만년 캘린더 - 셜록

평점 :
절판


큰 마음(?) 먹고 만년 캘린더를 구입한 까닭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본투리드 마그넷 만년 캘린더 - 셜록

평점 :
절판


연말이 되면 습관처럼 하는 행사는 다음 해 달력을 구하는 거다. 은행에 가서 달라고 하는 정도는 아니지만 그렇다고 돈을 사서 구입해 본 적도 없다. 희한하게 어디에선가 달력을 구하고 또 해를 넘긴다. 올해도 그렇다. 잡지 부록과 사은품으로 탁상 달력이 서너개 생겼다. 


그럼에도 큰 마음(?) 먹고 만년 캘린더를 구입했다. 이유는 말 그대로 언제까지나 쓸 수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마그넷 판을 옮겨 매달 새로운 달력을 만들 수 있다. 누군가는 요즘같은 전자시대에 누가 아날로그 달력을 원하느냐고 할지 모르겠지만 글쎄 ... 내 생각은 다르다. 달력이란 단지 오늘이 몇월 며칠이고 무슨 요일인지만 확인하는게 아니라 잠시 바라보며 잠깐이나마 스스로를 돌아볼 수 있는 거울이다. 한달이 지나 새로 자석판을 바꾸며 시간의 흐름을 음미하는건 꽤나 근사한 일이다.


덧붙이는 말 


세가지 디자인중 하나는 고르는데 은근히 골치가 아팠다. 스누피는 캐릭터가 독특하지만 금세 질릴 것 같아 우선 아웃. 남은건 원고지와 셜록인데. 두고두고 보기에는 원고지가 옛스럽고 좋았지만 결국 선택은 심플한 블랙과 화이트가 조화를 이루는 셜록이었다. 막상 받고 보니 선택에 후회가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