콜 미 바이 유어 네임 - 《그해, 여름 손님》 리마스터판 콜 미 바이 유어 네임
안드레 애치먼 지음, 정지현 옮김 / 잔(도서출판)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간간이 책을 덮고 먼 산을 봐도 좋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5)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콜 미 바이 유어 네임 - 《그해, 여름 손님》 리마스터판 콜 미 바이 유어 네임
안드레 애치먼 지음, 정지현 옮김 / 잔(도서출판) / 201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책을 읽고 영화를 보면 대게 실망하게 마련이지만 반대로 할 경우 만족도가 대체로 높다. 아무리 영상으로 제대로 구현했다고 해도 글만큼 상상력의 여지가 크고 넓지는 못하기 때문이다. <콜 미 바이 유어 네임>도 그랬다. 영화로 먼저 접하고 호기심이 생겨 책을 읽었다. 두 인물이 이끌어가는 소품같은 작품이기에 대사나 독백이 돋보였다. 곧 미처 화면으로 담아내지 못하는 여백이 느껴졌다. 단숨에 읽어나가기 보다는 간간이 책을 덮고 먼 산을 봐도 좋다고나 할까? 리마스터 전 버전에 대해 구구한 말들이 많지만 개인적으로는 <그해, 여름 손님>이라는 독특한 번역 제목도 괜찮았고 무엇보다 표지가 시선을 끌었다. 반면 개정판은 책커버가 추상화같아 몽롱하다. 더우기 분홍을 주색으로 선책한 건 정체성을 안이하게 드러내고 있다는 느낌이 든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roseq0322 2019-12-28 11:1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안녕하세요! 아직 콜 미 바이 유어 네임 영화를 보지 않은 사람 중에 하나입니다. 이번엔 아직 영화를 접하지 않아서 책부터 보려고 하는데 <그해, 여름 손님>과 <콜 미 바이 유어 네임> 중에 어떤 책의 번역이 더 나은지 알 수가 없어서요 ㅠㅠ 서점에 가서 살펴보고 싶지만 제가 주말 내내 움직이지 못할 예정이라 인터넷으로 주문을 하려고 검색을 하던 중 리뷰를 보게 되어 댓글을 남깁니다.
물론 어떻게든 하면 서점을 갈 수도 있겠지만 번역을 따지려고 두 책을 비교해가며 내용을 미리 엿보며 사고 싶지는 않은 마음도 있어서요. 개인적으로는 <그해, 여름 손님>이 여러가지로 끌리는데 수식어구들이 정돈되지 못했다던 문장들에, 저 또한 집중하며 읽지 못하는 건 아닐까 싶어서요. 혹시 어떤 책의 번역이 조금이라도 더 나았는지 의견을 물어보고 싶습니다 :)

p.s. 저도 영화를 보고 나서 속편을 보는 느낌으로 책을 보고 싶지만 왜인지 뭐랄까 원작자라면 어떤 분위기로 이야기를 이끌어나가려는 건지가 더 궁금해져서요. 먼저 영화를 보게 되면 아무래도 영화의 분위기와 연출, 배우의 모든 것들에 압도당하기 때문에 책에서도 계속 감독이 보는 시선이 떠오를 것 같아서 책을 먼저 접해보려고 합니다 :) 지금으로썬 일단 영화는 아껴두고 있는 마음이에요 :)

카이지 2019-12-28 17:37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해 여름> 번역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지만 거슬릴 정도는 아닙니다. 아무래도 처음 읽고 감동을 받아서였을지도 모르겠네요. 그럼에도 마스터링판이 보다 꼼꼼하니까 구입은 새 책을 하시는게 좋을 듯 싶네요. 정 <그해 여름>이 궁금하시면 가까운 도서관에서 빌려 읽으셔도 좋을 듯 싶습니다. 영화도 나름 감동적이기는 한데 아무래도 책을 먼저 읽으시기를 권합니다. 두 책을 다 읽고 영화도 보셨다면 원서로도 접하시면 어떨까 싶네요.
댓글저장
 
오늘도 펭수 내일도 펭수
EBS.펭수 지음 / 놀(다산북스) / 2019년 12월
평점 :
절판


엣헴엣헴, 이거 어디 아까워서 쓰겠나? EBS 안되겠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오늘도 펭수 내일도 펭수
EBS.펭수 지음 / 놀(다산북스) / 2019년 12월
평점 :
절판


펭수를 알게 된 건 유튜브 조회수가 20만 남짓했을 때다. 서서히 인기를 얻어가던 무렵이었다. 펭수를 접한 첫 소감은 맹랑했다. 귀여운 듯 징그럽다고나(?) 할까? 걸걸한 목소리로 할 말 다하는 희한한 캐릭터라고 생각했다. 그러나 보면 볼수록 빠져들고 말았다. 이른바 어른들의 뽀로로 세상에 동참하게 된 것이다. 다른 펭덕처럼 관련 굿즈가 나오길 손꼽아 기다렸다. 다이어리는 첫번째 선물이다. 아무런 정보도 없이 사전주문만으로 순식간에 팔려나갈 만했다. 이거 어디 아까워서 쓰겠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
 
그린 북 - 아웃케이스 없음
피터 패럴리 감독, 마허샬라 알리 외 출연 / 노바미디어 / 201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린 북>은 논란이 많은 영화다. 그저 그런 평가에 그쳐야 마땅한데 덜컥 상을 타버렸다. 그것도 아카데미상을. 놀라지 마시라. 원래 오스카는 그렇다. 지독할 정도로 보수적이며 기득권의 마음에 들어야 한다. <그린 북>은 그들의 구미에 딱 맞는 차림상이다. 


천재 피아노 연주자와 무식한 매니저가 미국 전역을 돌아다닌다. 과연 무슨 일이 일어날까? <라디오스타>와 같은 감동을 전해줄까? 아니면 <델마와 루이스>처럼 비극으로 마무리될까? 불행하게도(?) 아무 일도 일어나지 않는다. 무사히 순회 연주회를 마치고 크리스마스날 매니저의 집을 찾는 것으로 영화는 끝이 난다. 아무리 실화에 기반했다고 해도 너무 안이하지 않는가?


물론 제작진은 항변할 것이다. 연주자가 흑인이며 동반자가 이태리계 백인이라면 달라진다. 게다가 흑인차별에 대한 저항이 정점일 때 남부를 순회한다. 연주장으로 쓰인 백인 레스토랑 출입이 금지되고 화장실도 실내가 아닌 실외로 나가야 하고 밤 12시 이후에는 돌아다니지도 못한다. 이게 다 흑인이기 때문에 겪는 수모다. 영화는 이 모든 정황을 고스란히 담고 있다. 


그러나 문제는 흑인이 겪는 차별을 에피소드 취급하며 둘 사이의 우정에 주목한다는 점이다. 박사학위가 있는 유식한 흑인과 일자무식의 백인이 처음에는 티격태격하다 서로를 알아가는. 아, 지루하다. 적당히 가미된 음악조차 듣기에 거북하구나. 결말은 해피엔딩이겠구나. 아니나 다를까 내 예상은 맞았다. 치열한 갈등을 먼 발치에서 홍차를 홀짝거리며 즐기는 이들에게 바치는 영화였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댓글저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