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전선언이야말로 평화로 가는 지름길
프로야구는 지역 연고로 성공했다. 고등학교 야구의 인기를 바탕으로 해당 지역 출신의 선수들이 활약하니 당연히 환호할 수밖에 없었다. 인천이 예외라고는 했지만 그래도 연고지 의식은 강했다. 삼미에서 청보로, 그리고 태평양에서 현대로 기업이 바뀌면서도.
그러나 현대가 난데없이 서울로 본적을 옮기겠다고 하면서 족보가 꼬이고 말았다. 차라리 서울에 자리를 잡았다면 다행이었을텐데 자금난으로 엉거주춤 수원에 임시로 터를 잡았다. 그 틈을 비집고 전주를 본가지로 했다가 망한 쌍방울 선수단이 인천에 에스케이로 이름을 바꿔 들어왔다. 나는 인천 출신이 아니라 잘 모르지만 토박이들은 아직도 에스케이를 응원할지 현대의 뒤를 이은 넥센을 지지해야할지 헷갈린다고 한다. 현대가 굳건이 인천에 뿌리를 내렸다면 이런 복잡한 사연이 생기지 않았을 것이다.
분단도 마찬가지다. 어제까지만 해도 자유롭게 오고가던 공간에 철책이 둘러지고 영영 돌아갈 수 없는 곳이 되어 버린다는건 비극을 넘어 비현실적이다. 그러나 우리는 어느새 장벽에 익숙해졌고 통일이 도리어 어색해져 버렸다. 북쪽에는 머리에 뿔까지는 달리지 않았지만 도저히 생각이 통하지 않는 이상한 집단이 살고 있다고 상상한다.
교육방송을 자주 보고 듣는다. 그 중에는 탈북한 여대생을 상대로 영어를 도와주는 프로그램도 있다. 아무래도 외국어가 익숙하지 않아 다소 답답하지만 열심히 배우려는 모습이 인상적이다. 자주 보다보니 나 또한 응원하게 되었다. 아무리 떨어져 있었다고 하더라도 우리는 조금만 지내보면 금세 친해질 수 있다. 같은 언어를 쓰고 비슷한 입맛을 가지고 오랫동안 같은 나라에서 살아왔기 때문이다.
4월 27일 역사적인 남북회담이 열린다. 소금 뿌리기를 좋아하는 이들은 이번에도 북한의 전술에 놀아나는 거라고 비아냥댄다. 설령 그렇다고 하더라도 그럼에도 불구하고 만날 기회가 생기면 자주 보는게 좋다고 나는 생각한다. 자동차로 한두시간이면 갈 수 있는 거리에 살면서 언제까지나 으르렁 거릴 수는 없지 않는가? 이번 회의에 가장 크게 기대하는 건 종전 논의다. 곧 전쟁의 종식을 선언하는거다. 문 대통령께서도 이점을 강력하게 주장하고 있다. 통일도 좋지만 사실 종전이야말로 평화로 가는 지름길이다. 종전이 확정된다면 굳이 당장 한나라로 살 필요도 없다. 서로의 체제를 존중하며 조금씩 서로의 문을 열어나가다보면 통일은 어느샌가 성큼 우리곁에 다가설 것이다.
고작 프로야구 연고지 팀의 이전을 두고도 찜찜한데 나라가 두동강이 나 갈라져 몇십년을 살아왔으니 오죽 답답한 세월이었나? 이번에야말로 통일의 물꼬를 제대로 열기를 간절히 기원한다. 북한이 핵을 포기하고 정상국가로 인정받고 싶다면 성심성의껏 도와주는게 우리의 도리다. 제발 정치적 목적이나 이익을 위해 초를 치는 짓거리는 하지 말아주시기를 진심으로 당부드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