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82년생 김지영 ㅣ 오늘의 젊은 작가 13
조남주 지음 / 민음사 / 2016년 10월
평점 :
같은 영화에 대한 평이 갈릴 때가 있다. 관객들은 만점에 가까운 별을 주었는 데 반해 평론가들은 절반에도 미치지 못하는 평가를 하기도 한다. 그럴 때 나는 무조건 관람객들 편을 들어준다. 영화는 분석하며 보는게 아니라 마음에 와닿느냐가 중요하다. 소설도 예외가 아니다.
그러나 <82년생 김지영>에 대해서는 호의적으로 보기 어렵다. 한국사회를 뜨겁게 달구고 있는 미투운동의 도화선이 된 작품인은 분명하지만 소설로서는 자격미달이다. 주인공인 시댁식구를 만나 다른 사람에게 빙의되어 속시원한 말을 하는 장치는 놀라웠지만 나머지는 자전적 이야기로 떼우고 있다. 한국사회에서 여자로 살아가는 건 너무나도 힘들어요.
조남주의 문제의식에 동의하지 않는다는게 아니다. 적어도 소설이라면 스토리가 있고 등장인물들간의 관계가 있어야하는데 어쩐 일인지 죄다 행동도 생각도 고정되어 있다. 그저 억울하고 분하고 화가 난다는 하소연뿐이다. 게다가 그 원인을 누가 제공했는지도 불분명하다. 이럴 거면 굳이 소설로 낼 필요가 있나 싶다. 막판에 나온 여자 의사도 생뚱맞다. 한참 일인칭 시점으로 주욱 연대기식으로 에피소드만 나열하다가 갑자기 생각난 듯 치료운운하는건 어이없다. 별 두개도 과하다.
덧붙이는 말
아예 여성주의 소설을 표방하려면 제대로 된 소재를 포착해야 한다. 버지니아 울프는 <자기만의 방>에서 여자들이 바라는 욕구를 입체적이고 함축적으로 부각시켰다. 반면 조남주는 지루한 넋두리로 도리어 페미니즘의 영역을 축소시켰다. 여자가 아니라 지나치게 함부로 말한다고 하실 분들도 있을지 모르겠지만 잘 쓴 소설이 아니라는 사실에는 변함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