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오르는 부동산의 법칙 - 문재인 트럼프 시대, 폭등하는 부동산
조현철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17년 8월
평점 :
대학다닐 때 경제를 공부해 보겠다고 관련 신문을 구독한 적이 있다. 가장 크게 놀란건 부동산 시세표였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아파트먼트 가격의 주간변동액수와 변동율을 기록해두었다. 세상에 집을 사고 파는걸 주식처럼 거래표를 만들어 놓다니.
지금 와서 생각해보면 순진한건지 멍청한건지 잘 모르겠으나 한가지 분명한건 지금은 관심있게 지켜본다. 딱히 투자할 돈이 있어서가 아니다. 어느 지역이 유망하고 어떤 집이 좋으니 궁금하기 때문이다. 아마 나같은 사람들이 대부분일 것이다.
<오르는 부동산의 법칙>은 이른바 집장사하는 사람들사이에서는 바이블로 통한다. 그만큼 실무와 이론이 탄탄하다. 저자인 조현철의 경혐도 큰 몫을 했다. 그는 자신이 살았던 강남구 압구정동 현대아파트를 채권, 주식과 비교하여 수익율을 계산해보았다. 결론은 연평균 수익율 10.3퍼센트로 가장 높았다.
누군가는 당연한거 아니냐고 하겠지만 경제학을 조금이라도 공부해본 사람은 놀라운 결과다. 우선 건물은 주택도 마찬가지이지만 완공되는 순간 가치가 하락한다. 이른바 감가상각법칙이다. 아무리 물가상승율을 반영하더라도 건축물이 수익을 낼 수는 없다. 그러나 현대아파트는 그 어려운 걸 해냈다. 그것도 안정적인 채권이나 지속적인 성장을 해온 주식을 제치고. 과연 무슨 비밀이 있는 것일까?
이유는 간단하다. 입지가 좋기 때문이다. 인프라, 생활편의시설, 학군 뭐 하나 빠지는게 없다. 여기에 부촌이미지까지. 곧 누구나 한번쯤 살고 싶어하는 동네가 된 것이다. 흥미로운 건 부동산 가격이 강남을 중심으로 뻗어나가고 있다. 곧 강남과의 연결고리가 있는 지역만 동반하여 상승한다. 성수, 옥수, 분당, 판교가 대표적인 예이다. 이쯤되면 왜 강남, 강남하는지 알만하다.
문제는 강남을 부동산 가격의 진원지로 지목하고 때려잡으려는 정부다. 물론 비정상적인 폭등은 우려가 되지만 희소가치를 반영한 자연스런 상승을 죄다 투기로 모는건 억지다. 그나마 강남대체지로 공급정책을 펼치는 것도 아니면서 수요억제 일변도인건 마치 끓어오르는 물뚜껑을 억지로 닫는 것과 마찬가지다. 언젠가 터질 것임을 모르는 척하며.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정책을 노무현 정권의 재편이라고 부르는 이유가 바로 이 때문이다. 게다가 정책을 펼친 이들조차 같은 인물이다. 엄밀하게 말하면 비전공자인 점도 똑같다.
이 책은 부동산 시장뿐만 아니라 자본주의 경제에 관심있는 사람들이라면 꼭 읽어볼만하다. 집을 사고 팔며 수익을 올리지 못하더라도 적어도 손해는 보지 않을 것이 확실하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