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골목길 자본론 - 사람과 돈이 모이는 도시는 어떻게 디자인되는가
모종린 지음 / 다산3.0 / 2017년 11월
평점 :
유행은 돌고 돈다. 언제는 도시의 흉물이라던 골목이 새롭게 부상하고 있다. 억지로라도 보존해야 할 박제물이 아니라 핫플레이스가 된 것이다. 그렇다면 왜 몰리는가? 우선 희소성이다. 무차별적인 개발로 골목이 사라지면서 과거에는 거들떠보지 않던 가치에 주목을 하게 된 것이다. 동시에 볼거리가 늘어난 것도 한 몫했다. 여기에는 먹을거리도 포함된다. 곧 걸어다니면서 다양한 체험을 할 만한 곳으로 골목만한 곳이 없어진 것이다.
모종린은 우리나라 뿐만 아니라 다른 국가들의 골목을 소개하고 있다. 그의 주장은 간단하다. 골목은 사람과 돈을 모으는 마력이 있다. 실제로 핫한 곳으로 떠오르는 장소는 죄다 자본이 지배하고 있다. 홍대 놀이터, 압구정 가로수실, 이태원 경리단 길이 대표적인 예이다. 비록 기존의 가난한 상인들이 쫓겨나고 땅값과 임대료만 뛰어오른 부작용은 있지만 그렇게 변신하지 않았다면 모두가 망했을 것이라는 얘기다.
맞는 말이지만 한편으론 씁쓸하다. 수익이 되는 곳이라면 지옥 끝까지라도 쫓아가는 자본주의의 속성같아서다. 실제로 골목은 전통적으로 소상인들이 지배하는 곳이었다. 동네 주민들을 상대로 한 자영업자들이 오랫동안 터를 잡아 장사를 했다. 그러나 자본이 들어오면서 상업적인 거리로 바뀌며 마을분위기를 완전히 바꾸고 말았다. 문제는 이익이 남지 않는다고 판단하면 대자본은 언제나 그 자리를 떠날 수 있다. 그러고 나면 그 장소는 폐허가 되고 만다. 누구도 책임을 지지 않는다. 모종린의 대답이 궁금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