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제는 미투 운동 이후다
미 투 운동으로 예술가들의 민낯이 속속 드러나고 있다. 한 때 연예계를 휩쓸었던 학력위조 파문을 연상시킨다. 분명한 건 관행이었건 실수였건 과거의 행태가 더이상 자리잡을 수 없게 되었다. 크게 보면 낭만주의 예술가 시대가 막을 내린 것이다.
우리는 예술인에 대한 환상을 가지고 있다. 밤새워 글을 쓰거나 온갖 기행을 일삼으면서도 천진난만하고 돈에 어두워 사기를 밥먹듯 당하면서도 고귀한 정신은 결코 잃지 않는. 사실 이런 정의는 근대와 더불어 탄생한 것이다. 그 이전까지만 해도 예술인은 귀족이든 왕족이든 사대부든 철저하게 특정 계급에게 봉사하는 천민이었다. 동시에 특정 기량을 탁월하게 발휘하는 장인이었다. 바흐가 대표적인 예이다. 모차르트도 마찬가지였다. 베토벤에 이르러서야 소심하게나마 반항을 할 수 있었다. 곧 예술가는 기술자이지 자유로운 영혼이 아니었다.
예술이 자유와 동의어로 취급받게 된 것은 자본주의의 등장과 궤를 같이 한다. 문화도 소비의 대상이 되면서 다양한 요구에 부흥하기 위해 리버럴해진 것이다. 그 결과 괴팍하거나 특이할수록 더욱 각광을 받았다. 반 고흐가 그 예이다. 비록 살아있을 때는 대접을 받지 못했지만 죽고나서는 과다할 정도로 추앙받았던 이유는 그의 작품 자체보다 기행이 어필해서다.
우리 예술가의 전형은 일제강점기 때 형성되었다. 일본을 휩쓸던 낭만주의 사조를 그대로 본따 너나 할 것 없이 폼을 잡았다. 엄밀하게 말해 이상의 작품도 이 계열에서 벗어나지 못한다. 비록 식민지 시대였기 때문에 민족주의가 대두하기는 했지만 전체적으로는 낭만주의를 벗어나지 못했다. 이러한 사조는 해방과 전쟁을 겪으면서도 변하지 않았다. 도리어 독재정권이 들어서면서 낭만주의는 순수주의로 포장되어 예술가들을 더욱 기이한 존재로 만들었다. 동시에 여성편력을 포함한 난잡한 행동도 너그럽게 보아 넘기고 더 나아가 당연한 것으로 여겨졌다. 민중예술이라고 해서 예외는 아니었다.
일본도 마찬가지였다. 그러나 극적인 전환을 이룬 인물이 있으니 바로 무라카미 하루키다. 스승의 도움이나 추천을 받아 문학잡지에 글을 연재하며 명성을 얻는 방식에서 벗어나 일본을 떠나 다른 나라를 떠돌며 영어문법으로 일본어 소설을 썼다. 초창기 그에 대한 악평은 상상을 초월했다. 동시에 그의 남다른 집필방식도 비난의 대상이었다. 소설가 답지 않다는 이유였다. 아침 일찍 일어나 십킬로미터를 뛰고 밤늦게는 절대 글을 쓰지 않는 샐러리맨같은 일상은 예술가의 로망을 완전히 짓밟았다. 게다가 소설은 알듯말듯 요상한 추상세계를 헤매고. 만약 그가 다른 국가에서 인정을 받지 못했다면 하루키는 완전히 매장되었을 것이다.
우리도 무라카미를 흉내내는 몇몇 작가들이 있었으나 단지 겉모습뿐이다. 어깨에서 완전히 힘을 빼고 무거운 주제를 가볍게 쓸 줄 아는 소설가는 없다. 초창기 김연수나 김영하가 흉내를 낸 적은 있지만 이들도 어쩔 수 없이 진지해지고 말았다. 예순 넘은 하루키가 할아버지같은 글을 쓰고 있는가? 스티븐 킹은 인생은 어쩌구 따위의 괘변을 나불거리는가? 만약 자기 나이 또래 작가가 그렇게 말하다면 바로 퍽큐를 날렸을 것이다. 왜 우리는 하나같이 조금 나이만 먹으면 원로 대접을 받으려고 안간힘을 쓰는가? 실력이 없으니 권위라도 세워보자는 수작이다.
이름이 거론된 이들은 자의반 타의반 자리에서 물러날 것이다. 문제는 미투 운동 이후다. 과연 그들을 대체할말한 새로운 세력이 있는가? 배운게 도둑질이라고 비슷한 무리들이 집단으로 다시 권력을 잡지 않을까? 여전히 정부에 줄을 대고 예술가는 고독해야 한다는 뚱딴지같은 소리를 해대면서. 차라리 확 망해버리는 게 낫지 않을까? 마치 오로지 성적을 내기 위해 비정상적으로 운영된 빙상연맹을 해체하고 당분간 메달은 못따도 좋다는 각오를 할 수 있을까? 모르겠다. 그깟 예술따위 없어도 아무 상관없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더 많을지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