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돈이 없을수록 서울의 아파트를 사라
김민규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17년 7월
평점 :
품절
문재인 정부는 집권 이후 집값 잡기에 열을 올리고 있다. 과거 노무현 대통령때와 비슷한 패턴이다. 내 생각에는 과하다는 느낌이다. 부동산 가격 상승에 문제가 없다는 게 아니라 정책이 과장되어 있다는 것이다. 집은 단순히 투기꾼의 놀음에 의해 움직이는 바둑알이 아니다. 전 국민의 욕망과 열망이 집약되어 있는 결정체다.
김민규의 <돈이 없을수록 서울의 아파트를 사라>는 상식에 근거한 부동산 재테크책이다. 우선 집을 사라. 돈이 없다는 핑계는 대지마라. 대출하면 된다. 그렇게 마련한 후 다시 팔아 수익을 남겨라. 저금리 시대에는 맞는 이야기였다. 그러나 고금리시대에는? 지금처럼 대출을 옥죄는 상황에서는?
그럼에도 그의 주장은 옳다. 이유는 간단하다. 우리나라는 보유 중심의 주택정책을 오래 유지해왔으며 그 중심에는 사고 파기 용이한 아파트먼트라는 집합 주택이 있다. 곧 아파트를 사서 되파는 과정을 거치면 유리해주는 구조다.
누구가는 집의 가치 운운하며 비아냥댈지도 모른다. 그런 닭장이 진짜 집이냐? 나도 한 때 그랬다. 어떻게 해서든 단독주택에 살고 싶어 안달을 냈다. 교외에 전원하우스를 마련하는 꿈을 꾸었다. 그러나 집은 단지 멋진 인테리어 상품이 아니다. 지역과 함께 움직인다. 곧 거주환경이 중요하다. 아무리 멋집 집이라도 교통이 열악하고 상업시설이 없고 게다가 가까운 곳은 응급시설을 갖춘 병원이 없다면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따라서 김민규의 말처럼 "우리가 막연하게 생각하는 것보다 서울 시내 집값이 훨씬 더 치밀하고 촘촘하게 형성되어 있으며, 어느 한 순간에 모든 것이 뒤바뀌기 어렵다. 전체적으로 부동사 가격이 상승하거나 하락하는 시기에 전체축이 위아래로 움직이는 일은 가능하지만, 서울 시내 집값 전체가 반 토막 나는 일은 발생할 수 없다."
이 책이 별 내용이 없으면서도 다른 부동산 재테크책과 다른 점은 저자의 정직함에 있다. 곧 구매자의 처지에서 함께 고민하고 있다. 그가 개발한 파인드아파트는 진작에 나왔어야 할 웹이었다. 쓸데없는 유혹에 흔들리기보다 자신의 상황에 걸맞는 집을 구하는 정보를 제공하고 있기 때무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