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예능인이 특별한 분장을 하지 않아도 웃기는 말을 습관처럼 내뱉지 않아도 당당하게 자신의 주장을 펼쳐도 인기가 있는 시대를 맞아 새롭게 각광받고 있는 개그우먼 김숙
남이 부르지 않으면 내가 만들지 뭐
여성 예능인들 기운데 최근 대세는 박나래다. 코미디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예능, 토크, 여행방송까지 가리지 않고 등장한다. 재치있는 입담과 발빠른 순발력, 그리고 남다른 사생활(나래바)이 한몫했다. 게다가 기안84와의 케미까지.
그러나 주인공은 바뀌게 마련. 어느새 김숙이 치고 올라왔다. 의외다. 나이로 보나 경력으로 따지나 뜰 상황이 아니기 때문이다. 여자 나이 마흔에 전성기라니. 새롭게 주목받게 된 계기는 걸크러시 마력덕분이었다. 남성을 휘어잡는 카리스마로 고정된 성역할에 불만이던 여성들의 전폭적인 지지를 받게 되었다. 실제로 김숙은 토크프로그램에서도 거침없이 여성을 대변하는 발언을 자주한다. 그럼에도 공격을 받기 보다는 응원하는 댓글이 더욱 많은 이유는 웃음으로 승화할 줄 알기 때문이다.
사실 김숙은 한 때 따귀소녀로 유명세를 탄 것 말고는 오랫동안 침체기를 겪었다. 실제로 개그우먼이라는 직업을 그만둘 생각을 자주 했다고 한다. 누가 불러주지 않으면 아무 일도 할 수 없다는 속성때문에 인기가 떨어지면 바로 끝장이다. 그는 자포자기하는 대신 자신을 위해 투자하기 시작했는데 그건 여행이었다. 짬만 나면 가방을 싸고 돌아다녔다. 처음엔 머리를 식히려고 한 것이지만 다니면 다닐수록 노하우도 생기고 아이디어도 샘솟았다. 그러다 드디어 도약의 기회를 맞았다. 당당하게 자기 말을 할 줄 아는 여성이 각광받는 시대가 된 것이다.
김숙을 보면 단순히 웃기는 예능인이 아니라 삶을 진지하게 여기며 살아가고 있음을 엿볼 수 있다. 스스로 비혼임을 밝히는 것도 그렇고 남과 잘 어울리지 못해 역설적으로 자신만의 색깔을 내게 된 것도 그렇다. 스스로 재주없음을 알기 때문에 언제든 방송을 떠날 수 있다는 여유로움도 마음에 든다.
최근엔 남이 부르지 않으면 우리가 만들지라는 배짱으로 방송국을 설립했다. 송은이와 의기투합하여 만든 판벌려가 주인공이다. 팟케스트로 시작한 여성위주의 프로그램을 티브이로까지 확대한 셈이다. 그의 전성기가 언제까지 계속될지 모르겠지만 설령 인기가 다소 떨어진다고 해서 기죽을 사람이 아니라는 확신이 든다. 따라서 언제까지나 응원할 것이라는 입에 발린 말은 하지 않겠다. 다만 현재에 늘 충실하자라고는 말하고 싶다. 아마도 김숙씨의 모토가 아닐까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