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잠깐만 회사 좀 관두고 올게 - 제21회 전격 소설대상 수상작
기타가와 에미 지음, 추지나 옮김 / 놀 / 2016년 1월
평점 :
아침 6시 기상. 회사 출근. 밤 10시 53분 귀가. 일요일을 제외하고 무한 반복. 일은 전혀 즐겁지 않고 어마무시한 가학적 학대만이 존재하는 세상.
밤 새워본 적이 거의 없다. 손가락으로 꼽을 정도니 얼마나 싫어하는지 알 수 있다. 그런 내게도 위기의 순간은 있었다. 마감이 임박한 회사. 야근은 기본이고 올나이트는 기본이라고 여겨지는 분위기가 팽배했다. 나 혼자 도망갔다가는 평생 먹을 욕은 다 먹을 상황. 자, 그럼 어떻게 극복할까?
세상에서 일본과 우리나라만큼 노동강도가 센 나라도 도물다. 단시 일하는 시간이 많아서가 아니라 이런 저런 눈치로 자리를 지켜야 하기 때문이다. 곧 회식조차도 업무의 연장으로 생각하는 인식이 팽배하다.
<잠깐만 회사 좀 관두고 올게>는 직장인의 애환을 마치 다큐처럼 담고 있다. 생계가 걸려있으니 과감히 그만두지는 못하지만 하루에도 몇번이나 때려치우고 싶은 마음이 솟구친다. 그러던 어느날 고등학교 다닐 때 별로 친하지 않던 벗이 연락을 해오고. 처음엔 약간 꺼렸지만 자꾸 만나다보니 신세한탄도 하게 되고 정말 이 친구 없으면 못살겠다고 여길 무렵 충격적인 반전이 전개된다.
다행인지 불행인지 지난 일은 쉽게 잊는 성격이라 내가 다니던 회사에 대한 그리움이나 증오는 거의 없다. 그렇다고 일개미처럼 직장을 다니는 이들을 부러워하거나 혹은 불쌍하게 여기는 마음도 없다. 그저 그들과 나는 다른 삶을 살고 있다고 느낄 뿐이다.
그럼에도 회사는 일종의 감옥이라는 느낌에는 변함이 없다. 내가 내 시간을 마음대로 조종하지 못하고 남의 세운 기준에 따라 똑같은 공간에 혹은 외부에 갇혀 지내야 한다는 건 상상만으로도 숨이 막히다. 언젠가는 사라져 화석에나 새겨질 운명이다. 기티가와 메미도 나와 같은 생각을 하고 있다. 얼핏 보면 가벼워 보이는 내용이지만 곰곰이 읽다보면 이건 집단생활의 추악한 면을 생생하게 드러낸 보고서라는걸 알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