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웅본색의 추억
내가 다니던 대학교주변에는 극장이 딱 하나 있었다. 극장이름은 잊어버렸는데, 지하에 있었던 것은 기억이 난다. 당시 대학가는 어수선했다. 1년 내내 제대로 수업을 치르지 못할 때도 있었다. 연일 데모, 데모, 데모였다. 물론 나도 그 대열에 낄 때가 많았지만, 그렇다고 매일 거리를 쏘다닌 것은 아니었다.
그럼 도서관에서 공부를 했냐구? 당시는 도서관에서 공부를 하면 배신자 취급을 당하는 분위기가 팽배했다. 지금 생각하면 어처구니가 없지만, 하여간 그때는 그랬다. 모진 압력에도 그 때 열심히 공부하던 친구들은 요즘 잘 나가고 있다. 그렇다고 그들이 부러운 것은 아니다. 남들 돌 던질 때 공부해서 출세한 사람들의 사고를 나는 아직도 이해하지 못한다.
이런 이야기를 하려고 한 게 아니었는데, 맞다 극장. 수업도 없고 데모도 뜸한 날이면 우리(여기서 우리는 내 친구들을 말한다)는 극장에서 만났다. 딱히 약속을 한 것은 아니었지만, 극장에 가면 늘 친구들이 있었다.
입장료도 쌌다. 천원만 내면 동시상영을 실컷 봤다. 참 갈 데들도 없구만. 서로 혀를 차면서도 낄낄대며 영화를 보곤 했다. 아참, 이건 정말 이해가 안 되겠지만 당시는 여자친구를 사귀는 것도 사치로 취급받곤 했다. 아 정말 암울한 시대였다.
각설하고 당시 최고의 히트작은 뭐니 뭐니 해도 홍콩영화였다. 영웅본색으로 몰아닥치기 시작한 홍콩영화붐은 “첩혈쌍웅”, “도박자”, “동방불패” 등 다양한 장르의 영화를 쏟아냈다.
그러나 역시 누가 뭐래도 홍콩영화하면 영웅본색이 최고였다. 지금도 그 생각에는 변함이 없다. 주윤발이 바바리를 걸치고 성냥개비를 씹으며 돌아다니거나 위조지폐에 불을 붙여 담배를 붙이는 장면, 그리고 장국영을 다그치며 형이 너를 위해 얼마나 희생했는지를 눈물로 호소하다가 총에 맞는 씬은 아직도 기억이 생생하다. 최루탄이 자욱한 거리에서 우리는 주윤발 형님을 생각하며 돌을 던졌고, 전경이 쏜 최루탄에 머리가 깨진 친구를 보며 눈물을 흘렸다. 마치 영웅본색의 한 장면처럼 말이다.
그런데 참 희한하게도 홍콩영화 붐이 사그라지자 학생데모가 줄어들기 시작했고, 학교주변에 있던 유일한 극장도 문을 닫았다. 남들은 우연한 일이라고 생각할지 모르겠지만, 나는 아직까지도 주윤발이 우리나라 학생운동과 민주화에 기여한 바가 크다고 믿고 있다. 진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