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사랑은 자유를 동반할 수 없는 것일까? 한 사람이 다른 어떤 사람을 사랑하게 되면 우선을 그의 모든 것에 관심을 가지게 되고 그것이 어느 순간의 마음속의 작용을 거치게 되면 그를 소유하고 싶은 욕망을 느끼게 되고 그의 행동 하나하나 그의 옷차림과 외모마저도 자신의 색깔로 꾸미려고 한다. 그래서 상대방의 의사도 묻지 않고 이상한 색깔의 옷을 사와서는 꼭 앞에서 입혀보고 혼자서 만족스러워 한다. 상대방은 싫어하든 말든...그런데 문제는 이러한 사랑의 왜곡된 생각들이 상대방의 자유를 침해할 때에 생긴다. 어느 순간 나의 취향이 그때문에 침해받고 있다는 생각이 들기 시작하면 어느듯 자유에 대한 깊은 갈구가 생기기 시작하며 그 때부터 처음에는 나를 묶어주었던 상대방과의 관계가 행복에서 불행의 깊은 늪으로 변하게 되는 것이다.
2.
물론 때로는 인생의 시련과 사랑의 실패를 겪고난 막다른 골목길에서 그녀를 처음 만났던 때를 생각하며 참기도 하고 시간이 지나가면 바뀔 것이라 위로하기도 한다. 하지만 상대방이 사랑에 대한 욕구를 더욱 소유하려하는 방향으로의 색깔이 짙어지면 어느듯 자유에 대한 목마름은 더욱 커지게 된다. 아침에 일어나 내가 세수하는 방식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던지 나의 옷차림이 마음에 들지 않는다든지 또는 아이를 사랑하는 나의 노력이 부족하다든지에 대한 일장 연설을 듣고 있을 때면 나는 왜 이런 불행한 곳에 무엇을 하고 있는가 하는 생각이 드는 것이다.
3.
사랑이라는 빛깔 속에 숨어 있는 구속의 사슬을 구별해낸다는 것이 늘 쉬운 것은 아니다. 때로는 아내로서 남편으로서 당연히 이런 것 정도는 요구할 수 있는 것 아니냐는 닥달을 받을 때면 대답이 곤궁해지는 것도 사실이다. 그래서 때로는 앞에서 대꾸하지 못한 불만이 속으로 누적되어 눈덩이처럼 불어갈 때가 있다. 사랑함에 대한 개념이 달라서 생기는 이런 오해들은 도대체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 서로에게 이해시키지 못할 사랑의 비뚤어진 욕망은 서로를 더욱 옭아매는 사슬일 뿐인데....
4.
하지만 인류는 이런 문제들에 대한 오랜 대안을 모색해왔다. 삶의 마지막 순간에는 이런 모든 애착들을 버려야만 하듯이 사랑도 버려야 한다. 그럴 때 여전히 남아 있는 사랑이 있다면 그것은 서로를 구속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바라보아주는 그런 사랑일 것이다. 때로는 동성 간에 참된 우정을 나누는 사람이 있다면 이런 관계를 유지하는 사례를 많이 찾아볼 수 있다. 나아가 이런 이성관계를 유지할 수 있는 사람이 있다면 그것은 이성으로서의 관계를 넘어서서 영혼의 동반자로 나갈 수 있지 않을까? 그것은 존재에 대한 깊은 통찰을 바탕으로 한다.
5.
인생을 살아가다 그런 사람을 만난다면 어떨까? 혹, 삶의 어떤 조건이나 나이, 연령, 성, 국적에도 관계없이 아주 오랜 시간들을 함께 공유했을 것 같은 사람, 그리고 그 사람에게 바라는 것이 어떤 자신의 욕구나 욕망이 아니라 있는 그대로의 모습으로 떨림을 충분히 느낄 수 있는 사람, 그런 사람을 만난다면 나는 어떻게 될까? 그 인생의 충격으로 달라진 내 모습이 나의 과거를 충분히 흔들만한 그런 만남이라면 나는 과연 어떻게 될까? 사랑과 자유를 동시에 충족시킬 수 있는 그런 사랑, 인류의 오랜 숙명적 과제를 동시에 해결해주는 그런 만남이 과연 있기는 한 것일까?